신한은행이 소상공인진흥공단과 함께 ‘소상공인 정책자금 대출’을 지원한다. 이번 정책자금대출은 비대면으로 기관 및 은행의 방문횟수를 줄이고 대출시행 기간도 단축시켜 고객 업무 처리 절차를 간소화한다는 방침이다. 대출 신청자는 신한 쏠 비즈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소상공인진흥공단 정책자금 확인서를 발급하고 대출 신청을 하면 된다. 신한은행은 향후 보증재단의 플랫폼 참여를 통해 소상공인 정책자금 대출업무의 완전 비대면화를 계획하고 있다. 신한은행이 완전 비대면화를 위해 내세운 플랫폼은 자체 블록체인 통합 플랫폼으로 2019년 11월에 소상공인진흥공단과 협약을 체결한 뒤 개발에 착수했다. 플랫폼을 통해 대출을 신청하면 기존 최장 22일에 소요되는 시간을 10일로 단축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블록체인을 통한 원장 공유로 차후에 신한은행의 여러 서비스들을 접목할 수 있을 지에 대한 파일럿 테스트 성향도 포함됐다. 신한은행 디지털R&D센터 김현조 센터장은 “다양한 금융기관과 정책자금기관들이 연계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블록체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가속화할 것”이라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안전성과 신속성을 기반으로 고객 중심 서비스 제공에
교촌치킨이 코스피 상장예비심사 승인을 받았다. 한국거래소는 지난 10일에 상장위원회 심의에서 교촌에프앤비가 신청한 유가증권시장 상장예비심사를 승인했다. 2018년 3월에 상장 추진을 발표한 지 3년만의 성과다. 교촌에프앤빕는 상장 준비를 위해 전문경영인 체제를 도입하는 등 준비에 박차를 가해 왔다. 승인을 받음에 따라 교촌에프앤비9월 중으로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주관사를 미래에셋대우를 선택했다. 교촌애프앤비는 1999년 설립된 외식 프렌차이즈 기업으로 교촌치킨을 운영 중이다. 지난해 매출액은 3693억원, 영업이익은 319억원이며, 권원강 전 회장 등 9명이 지분 96.8%를 보유하고 있다. 2014년부터 업계 1위를 기록 중으로 2018년 기준으로 가맹점의 평균 매출이 공정거래위원회 가맹사업거래에 등록된 치킨 브랜드 중 가장 높은 6억 1827만 원을 기록했다.
HDC현대산업개발과 아시아나항공의 인수합병이 결렬됐다. 아시아나항공의 부실한 재무구조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리스크 중첩이 결국 결렬의 원인으로 분석된다. 2019년 11월 인수합병(M&A) 우선협상자로 선정된 HDC현대산업개발은 10개월이 지나 최종시한까지 결정을 내리지 않으면서 M&A계약이 최종 결렬됐다. 2019년 12월에 양측은 인수 계약을 체결하고 금호산업과 HDC현대산업개발은 선행조건이 모두 충족되는 날을 기준으로 10일이 경과한 날까지 유상증자 및 구주매매계약을 마무리하기로 했으나 2020년 코로나19가 아시아나항공에 직격타를 날리면서 상황이 악화됐다. 아시아나항공의 2020년 상반기 연결 기준 부채비율은 2291%로 2019년 말 1386% 대비 900%이상 급증했고 자본잠식률도 2019년 연말 기준 18.6%에서 2020년 6월 말 기준으로 49.8%로 악화됐다. 인수협상이 무산되면서 산업은행에서는 아시아나항공에 기간산업안정기금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11일 산업은행 기업금융부문 최대현 부행장은 “금호산업이 현대산업개발에 계약 해지를 통보했다고 전했다. 아시아나항공에 기간산업안정기금 2조 4000
미국 3대 항공사들이 국내선 변경 수수료를 폐지하면서 출혈경쟁을 예고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국 유나이티드 항공(United Airline)이 처음으로 국내선 변경 수수료를 폐지한데 이어 아메리칸 항공(American Airline)과 델타 항공(Delta Air)도 국내 변경수수료 폐지에 동참했다. 아메리칸 항공은 국내 항공에 적용한데 이어 국제 항공 수요의 회복이 될 경우 장거리 노선에 대한 수수료 변경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미국 국내선을 비롯해 캐나다, 멕시코, 캐러비안을 오가는 국제선을 대상으로도 항공료를 낮출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좌석 변경이나 환불이 불가한 이코노미석에 업그레이드를 허용하는 방안도 검토해 저가항공사(LCC)인 사우스웨스트항공이나 스피릿에어라인 등과의 경쟁도 불사할 수 있음을 암시했다. 미국 3대 항공사의 이러한 행보는 코로나 장기화로 인한 항공 수요의 감소와 시장 전망이 지속적으로 정상화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에 나온 궁여지책으로 보인다. 대형 항공사들은 고용 유지를 조건으로 한 연방정부의 자금지원이 끝나는 10월을 앞두고 대규모 감원 계획을 연이어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유나이티드항공이 정부의 추가 지원이
엔씨소프트(NC소프트)가 게임 '리니지M'과 '리니지2M'의 기세에 힘입어 2분기 영업이익 2090억 원을 달성하며 쾌속질주했다. NC소프트는 2분기 매출 5386억 원, 영업이익 2090억 원, 당기순이익 1584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1%, 영업이익은 61%, 당기순이익은 36% 상승했고, 1분기 대비 매출 26%, 영업이익 13%, 당기순이익은 19% 감소했다. 지역별 매출은 한국은 4276억 원, 북미‧유럽 241억 원, 일본 151억 원, 대만 95억 원이며, ㅗ열티 매출은 623억 원을 기록했다. 제품별로는 모바일 게임 매출 3571억 원으로 리니지M이 1599억 원, 리니지 2M 1973억 원을 기록했고, PC 온라인 게임은 리니지 343억 원, 리니지2 258억 원, 아이온 82억 원, 블레이드&소울 198억 원, 길드워2가 156억 원을 기록했다. 엔씨(NC)는 프로젝트 TL, 블레이드 & 소울 2, 트릭스터M 등 PC‧콘솔과 모바일 플랫폼에서 다양한 게임을 개발하고 있다. 신작은 2020년 하반기부터 순차적으로 선보일 계획이다.
연일 화제를 뿌린 카카오게임즈가 청약 경쟁률은 1524대 1이었고, 청약 증거금은 58조5543억 원이었다. 카카오게임즈의 기업공개(IPO)를 위한 공모주 청약에 58조5000억 원이 넘는 자금이 몰렸다. 청약 광풍 열시 속에 일반 투자자 대상 청약 경쟁률은 1500대 1을 돌파했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게임즈는 1일과 2일 이틀간 진행된 공모주 청약 절차를 이날 오후 4시에 마무리했다. 3개 주관사에 접수된 카카오게임즈의 청약 경쟁률은 1524대 1이었으며, 청약 증거금은 58조5543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6월 SK바이오팜이 기록한 최대 증거금 기록 30조9899억 원의 약 2배에 달하는 기록이다. 각 증권사의 경쟁률은 한국투자증권이 1546.53대1(증거금 33조6627억원), 삼성증권 1495.40대1(증거금 22조9694억), KB증권 1521.97대1(증거금 2조9221억원)로 나타났다. 증권사별 경쟁률의 차가 크지 않아, 어느 증권사를 이용하더라도 받게 되는 주식은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 일반인 투자자들이 대거 몰리면서 높은 경쟁률을 기록한 탓에, 증거금 1억 원을 넣었을 경우 약 5주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홍콩 최대 갑부인 리카싱(李嘉誠.92) 청쿵(長江)그룹 창업주가 미국 화상회의 플랫폼 줌(Zoom)주식 투자로 대박을 냈다. 2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리카싱은 2013년과 2015년 두 차례에 걸쳐 3650만 달러(약 433억 6200만 원)를 투자해 줌 주식 지분 8.6%를 사들였다. 하지만 리카싱 회장이 보유한 줌 주식의 현재 가치는 110억 달러(약 13조 680억 원)다. 코로나19 확산이후 비대면 특수의 바람을 타고 줌 주가가 급등했기 때문이다. 줌 주가는 1일 하루만 40%가량 상승했다. 20년째 홍콩 갑부 1위를 지키고 있는 리카싱의 전 재산 규모는 326억 달러(약 38조 7288억 원)로 알려졌다. 리카싱은 단순한 갑부를 넘어서 청렴한 삶 때문으로도 더 유명하다. 항상 낮은 자세로 부하 직원들을 한 사람씩 보살폈다. 특히 단체로 식사를 할 때도 주요 측근들만 이끌고 최고급 식당에 가서 밥을 먹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가장 믿을만하며 계급에 상관 없이 일을 잘 하는 사람들과 회사의 구내 식당에서 식사를 같이 한다고 알려졌다. 리카싱 선견지명 투자? 리카싱은 선견지명 투자로 유명하다. 그가 운영했던 호라이즌벤처스는 ‘줌’뿐만 아니라 인터넷전화
네이버쇼핑을 담당하는 포레스트 CIC가 ‘동네시장 장보기’ 서비스를 확대해 홈플러스・GS Fresh・농협하나로마트와 제휴를 맺고, ‘장보기 서비스’를 리뉴얼한다. 지난 2019년부터 운영해온 ‘네이버 동네시장 장보기’는 우리 동네 전통시장에서 파는 신선 식재료와 반찬, 꽈배기・찹쌀떡 같은 먹거리를 온라인으로 주문해 2시간 내에 배달하는 서비스로 현재 서울・경기 및 경남 일부 지역을 포함한 전통 시장 32곳에서 이용할 수 있다. 코로나19 여파로 언택트(Untact) 소비를 원하는 이용자와 전통시장 상인의 온라인 판로 확대 니즈에 대응한 결과, 2020년 2분기 전체 서비스 주문량이 2019년 2분기 대비 12.5배 증가하고 매출은 2억 원을 넘어서는 등 서비스 이용률이 높아지는 추세다. 네이버는 동네시장 외에도 제휴 스토어 확대를 통해 급증해가는 온라인 장보기 수요에 발맞춰 나간다는 계획이다. 리뉴얼해 선보이는 장보기 서비스에서는 전통시장 상품에 이어 마트나 현대백화점 식품관 등 스토어별 다양한 상품을 둘러보고 스토어별 원하는 배송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마트 제휴사의 경우엔 이용자가 원하는 배송 시간을, 전통시장 및 백화점 식품관은 주문 당일 배송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