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ngil Engineering Co., Ltd. (Chairman Choi Tae-won), a manufacturing company based in Daegu, has completed its evaluation under the Integrated Technology Protection Support Program. Through on-site consultation with security experts, the company received a professional assessment identifying vulnerabilities and areas for improvement in its internal security framework. The program is part of the “Technology Protection Fence” initiative led by Korea’s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MSS). It integrates two previously separate programs—“On-site Expert Consultation for Technology Protection” and
대구 제조기업 영일엔지니어링㈜(회장 최태원)가 ‘통합 기술보호지원반’ 평가를 완료했다. 전문가의 현장 자문을 통해 영일엔지니어링 보안 취약점 및 개선점 등에 대해 자문 평가를 받게 됐다.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 기술보호울타리(이하 ‘울타리’)가 주관하는‘통합 기술보호지원반’ 사업은 ‘기술보호 전문가 현장자문’과 ‘기술보호지원반’이 통합된 사업이다. 영일엔지니어링은 통합 이전 사업인 ‘기술보호 전문가 현장자문’을 지난 2023년에 받은 바 있다. 통합 후 사업인 ‘통합 기술보호지원반’ 사업을 다시 받은 것은 회사가 다시 한번 보안 상태를 점검하고 사내 보안을 강화하겠다는 취지다. 영일엔지니어링 최태원 회장은 “보안 위험은 외부로부터의 위험 뿐 아니라 내부에도 존재한다. 기술 유출로 인해 회사가 피해를 입기도 한다.”면서 “그런 사례들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사업을 수행하게 됐다.”고 밝혔다.
The Daegu Center for Creative Economy and Innov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Daegu CCEI”) held a meeting with the Daegu Chapter of the Korea Women Entrepreneurs Association (hereinafter “Daegu Women Entrepreneurs Association”) to explore collaboration strategies for supporting women-owned businesses. The meeting, held on April 17 at 10 a.m. at Daegu CCEI, focused on discovering and nurturing startups, as well as supporting women entrepreneurs. The two organizations engaged in in-depth discussions on how to effectively cooperate in these areas. This initial meeting was organized to introdu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이하 ‘대구창경’)가 여성경제인협회 대구지회(이하 ‘여경협 대구지회’)와의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간담회를 가졌다. 4월 17일 오전 10시 대구창조경제센터에서 개최된 간담회에서 양 기관은 스타트업 발굴・육성 및 여성 창업 기업 지원 방안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를 나눴다. 이번 간담회는 센터가 수행하고 있는 주요 사업과 운영 현황을 소개하고, 여성 창업 생태계와의 연계 가능성을 모색하는 취지로 마련됐다. 이날 회의에서는 여성 창업자들과 기존 여성 기업 간의 멘토링 프로그램 확대, 여성 스타트업과의 매칭, 졸업 기업의 지속 성장 유도 등 실질적 협업 방안들이 제안됐다. 회의에 참석한 이인현 총무부회장(구친씨앤씨㈜ 대표)은 “센터의 기술 기반 창업 지원 체계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라면서 “여성기업들도 기술 창업에 도전할 수 있도록 협회 차원의 유입 전략이 필요하다고 느꼈다.”며 의견을 개진했다. 여경협 대구지회는 향후 정기적인 교류회 및 IR 피칭 기회를 마련하는 등, 적극적인 네트워킹을 추진할 계획이다. 양 기관은 오는 7월 예정된 여성경제인대회에서 스타트업 발표 세션 등을 통해 실질적인 협력 성과를 도출할 예정이다. 이번 만남을 계기
사모펀드 MBK파트너스가 인수한 홈플러스가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과정에서 또 다시 600억 원 규모의 대출을 받았다. 이미 MBK의 차입매수(LBO) 여파로 10년 가까이 과중한 부채에 시달려온 홈플러스가 이번에는 또 다른 사모펀드로부터 고금리 자금을 조달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재무 건전성 회복’이라는 기업회생 취지를 스스로 무색하게 만들었다는 비판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특히 이번 대출이 최우선 변제 대상인 ‘공익채권’으로 분류되면서 기존 채권자들의 손실 우려가 커지는 중이다. 지난 4월 11일 홈플러스는 사모펀드 운용사인 ‘큐리어스파트너스’에서 600억 원 규모의 DIP(Debtor-In-Possession) 파이낸싱 대출을 받기로 했다. 대출 금리는 연 10%, 만기는 3년이다. 대출금은 홈플러스 매장에 입점한 소상공인들에게 정산대금을 지급하는 데 쓰일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의 핵심은 ‘법정관리’ 중인 기업이 고금리로 다시 대출을 받은 부분이다. 지난 2015년 MBK는 홈플러스를 인수하면서 전체 거래금액 7조 2,000억 원 중 절반이 넘는 4조 3,000억 원을 홈플러스 명의의 차입금 등으로 조달했다. 이후 홈플러스는 10년에 가까운 기간
지난 4월 10일 현지 일간지 코리에레델라세라에 따르면,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프라다(Prada)가 베르사체(Versace)를 12억 5,000만유로(원화 약 2조 원)에 인수했다. 프라다는 이날 베르사체의 모회사인 미국 카프리 홀딩스(CAPRI Holdings)에게 베르사체 지분 100%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탈리아 고가 패션업게 1위인 프라다는 이번 계약을 통해 몸집을 키워 루이뷔통・크리스챤 디올・펜디 등을 보유한 프랑스의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 구찌를 소유한 프랑스의 ‘케링’(Kering) 등과 본격적인 경쟁 명품 경쟁에 나설 예정이디. 프라다그룹 안드레아 구에라 최고경영자(CEO)는 “베르사체는 프라다그룹에 새롭고 상호 보완적인 가치를 더할 것.”이라며 “성공까지 긴 여정이 될 수 있으나 베르사체는 막대한 잠재력을 지닌 브랜드.”라고 강조했다.
지난 4월 10일 LS전선은 ‘싱가포르 전력청’으로부터 약 2,000억원 규모의 초고압 전력 케이블 공급 프로젝트를 수주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인도네시아에서 태양광으로 생산된 전력을 싱가포르로 송전하는 대규모 에너지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LS전선은 변전소까지 연결되는 지중 송전 구간에 230Kv급 초고압 케이블을 공급하며, 케이블의 제조부터 시공, 설치까지 포함하는 턴키(Turn-Key)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할 예정이다. 싱가포르 정부는 오는 2035년까지 전체 전력의 25%에 해당하는 6GW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정책을 추진 중이다. 특히 송전탑을 건설하지 않고 지중 케이블만으로 전력망을 구성하는 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고부가가치 지중 케이블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현재 LS전선은 추가 지중 케이블 구간에 대한 협상도 진행 중이다. 계약 규모는 약 1,500억 원에 이르며, 협상이 최종 체결될 경우 총 수주 금액은 약 3,500억원으로 늘어나게 된다. LS전선은 LS에코에너지와 함께 싱가포르 초고압 케이블 시장에서 10년 넘게 1위를 유지하고 있다. LS에코에너지는 최근 베트남 국영 페트로베트남 그룹과 협력해 베트남 해상풍력
독일 자동차 브랜드 아우디(Audi)가 미국 수출 전면 중단 조치를 취했다. 독일의 자동차 전문 매체 ‘자동차 주간’(Automobilwoche)는 아우디아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에 대응해 미국행 차량 인도를 중단했다고 보도했다. 지난 4월 2일 미국 트럼프 대통령 자동차 수입에 25%의 관세를 추가 부과하기로 하면서 글로벌 무역시장에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이에 아우디는 4월 2일 이후 미국에 인도되는 아우디 차량을 압류할 것을 요청하면서 미국 내 딜러들에게는 기존 재고 차량들을 판매할 것을 전략적으로 내세웠다. 아우디 대변인은 “현재 미국 내에는 새 관세의 영향을 받지 않는 차량 약 3만 7천 대가 재고로 남아 있다.”며, “이 재고는 약 두 달간 판매를 유지할 수 있는 규모.”라고 설명했다. 아우디는 미국 내 자체 생산시설을 보유하고 있지 않아 미국에 판매되는 모든 차량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SUV 모델인 Q5는 멕시코 공장에서 생산되며, 그 외 주요 모델은 유럽의 ▲독일 ▲헝가리 ▲슬로바키아의 공장에서 제조된다. 많은 전문가들은 아우디의 이번 조치가 미국 소비자들의 선택지를 줄이고, 독일-미국을 넘어 유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