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이 1조 4,000억원 규모로 자금 조달을 추진 중인 가운데 메리츠증권과 약 6,600억 원 규모 주가수익스왑(PRS) 계약을 맺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월 28일 메리츠증권은 최근 롯데케미칼과 미국 자회사 LCLA 지분 40%를 대상으로 하는 4억 7,700만 달러(원화 약 6,626억 원) 규모의 PRS 계약을 맺었다. 메리츠증권을 포함한 메리츠금융그룹 계열사가 LCLA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해 지분 40%를 확보한다. 주가수익스왑(PRS)은 주가 수익을 교환하는 파생상품 계약으로 일종의 담보 성격으로 메리츠금융 측이 LCLA 지분을 보유한 상태에서 롯데케미칼에 주가 수익을 기반으로 한 수익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롯데케미칼은 일정 수수료를 지불하는 방식이다. 5년 후 주식 가치가 오르면 메리츠금융 측은 롯데케미칼에 차익을 물고, 지금보다 가치가 떨어지면 롯데케미칼이 메리츠금융 측에 차액을 보전한다. 이번 계약은 롯데케미칼이 해외 자회사 지분을 활용해 총 1조 4,000원 규모의 자금을 조달하는 계획의 일환으로 알려진다. 롯데케미칼은 나머지 약 7,000억원은 인도네시아 자회사 LCI 지분을 대상으로 한 PRS 계약을 통해 조달할 예정이
지난 9월 24일 롯데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이하 ‘롯데리츠’)의 유상증자에 모회사인 롯데물산이 참여한다고 공시했다. 출자 주식수는 1,840만 주, 출자 금액은 669억 7,600만 원이다. 이는 롯데리츠의 전체 유상증자 금액인 1,640억 원의 40% 수준에 달한다. 지난 9월 23일 롯데리츠가 확정한 1차 발행가액은 주당 3,565원으로 출자 후 롯데물산의 롯데리츠 지분율은 6.4%에 달하게 된다. 롯데리츠는는 “출자 금액은 추후 확정되는 최종발행가액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출자 목적에 대해서는 “사업 관련 시너지 제고와 투자수익 확보를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9월 11일 롯데리츠는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하면서 운영자금 20억 원과 채무상환 1,620억 원 자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도급순위 8위의 롯데건설이 총 2조 3,000억 원을 융통해 유동성 위기를 벗어날 것으로 보인다. 오는 3월에 약 1조 5,000억 원의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만기가 도래하는 롯데건설은 대출금리가 종전 대비 약 4%p 가량 낮아지고 대출만기가 2년 이상 길어지게 된다. 롯데건설의 신디케이트론(공동대출) 협의에는 1순위로 5대 시중은행과 KDB산업은행이 참여하고 2순위로는 증권사, 후순위로 2금융권과 롯데그룹 계열사가 거론되고 있다. 지난 2023년 1월 메리츠증권과 투자협약을 맺고 빌린 1조 5,000억 원의 PF 대출이 오는 2024년 3월 6일 만기가 도래하는데 이번 공동대출이 성사된다면 대출을 전액 상환하면서 낮은 금리로 대출 규모를 8,000억 원 상환하면서 자금을 확보하게 된다. 롯데건설 또한 2021년 하반기 레고랜드 이후 유동성 위기에 직면하면서 2023년 1월 메리츠증권을 통해 자금을 긴급 수혈한 것으로 알려졌다. 메리츠증권은 수수료 4%를 포함해 도합 13%의 대출금리로 대출협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기존 대출의 만기연장을 제안했은 롯데건설이 이를 거절했다. 이번 신디케이트론은 메리츠증권의 대출금리인 13%보다 최소 4%p가 낮
롯데마트가 외국인 특화 매장을 만들고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9월 6일 롯데마트는 ‘머스트 해브 오브 코리아 : K푸드(Must-Haves of Korea : K-Food)’라는 20m 길이의 외국인 특화 매장을 서울역점에 신설한다고 밝혔다. 외국인 고객 구매 빈도가 높은 과자, 커피, 견과 등 식품 상품군 내 인기 상품들만 모아 구성했으며, 판매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매장 진열 프로그램 ‘플래노그램’을 통해 최적 상품만을 선정해 진열할 예정이다. 자동발주 시스템 연계로 기존 매장보다 3배 이상 재고를 유지해 갑작스러운 대량 판매에도 결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물품 보관 서비스 ▲외국인 캐리어 전용 정리대 ▲외화환전기 ▲무인환급기 ▲국제택배 서비스 등을 운영하며 외국인 특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코로나19 유행 이전 외국인 고객 매출 비중이 50%에 육박했던 서울역점은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동안 외국인 고객 매출 점유율이 1%대까지 떨어졌다. 이후 외국인 관광객이 늘어나며 2022년에는 점유율이 10%, 2023년 8월에는 약 30% 수준까지 회복됐다. 롯데마트는 서울역점을 중심으로 외국인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 고객을 적극 유치할 계획이다. 서
2023년 1월 1일부터 국내 면세업계 1위 기업 롯데면세점이 제주항공과 함께 기내 면세점을 그랜드 오픈한다. 지난 9월 28일 제주항공과 롯데면세점은 ‘기내 면세 위탁운영’ 계약을 체결했다. 제주항공은 한정판 위스키와 와인 등 주류 브랜드를 대폭 강화하고 화장품과 향수, 담배, 액세서리, 건강식품 등을 선보일 계획이다. 130여 개 제품으로 시작해 2023년 말까지 260여 개로 확대할 계획이며 해외 유명 브랜드 상품 입점도 예정돼 있다. 기내 면세는 제주항공이 운항하는 인천‧김포‧부산 발 국제선에서 이용할 수 있다.
바이오의약품 CDMO 공장 국내 신설 1조원·유통 사업군 8조1천억원 투자 롯데가 바이오와 모빌리티 등 신사업을 중심으로 5년간 37조 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5월 24일 신성장 테마주인 헬스 앤 웰니스(Health&Wellness)와 모빌리티, 지속가능성 부문을 포함해 화학‧식품‧인프라 등 핵심 산업군에 집중 투자하겠다고 qkfrugTek. 37조 원 wnd 41%가 신사업과 건설, 렌탈, 인프라 분야로 투입되고 바이오 사업이 포함된 헬스 앤 웰니스 부문에서는 국내에 바이오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을 위한 공장을 신설하는데 1조 원이 투입된다. 모빌리티 부문에서는 올해 실증 비행을 목표로 하는 도심항공교통(UAM)과 전기차 충전 인프라 중심으로 투자될 계획이다. 시설 투자를 통해 연간 충전기 생산량을 1만대 이상으로 확대하고, 롯데렌탈은 8조 원 규모의 전기차 24만 대를 도입한다. 화학사업군에서는 롯데케미칼이 5년간 수소 사업과 전지 소재 사업에 1조 6000억 원 이상을 투자한다. 재활용 분야인 리사이클과 바이오 플라스틱 사업은 2030년까지 1조 원을 투입해 리사이클 제품 100만t를 생산한다. 고부가 스폐셜티 사업과 범용 석화
“베트남 스타트업 성장을 돕고, 아세안 진출 돕겠다.” 롯데벤처스(Lotte Ventures)가 한국 스타트업의 베트남 진출을 지원하고, 현지 스타트업을 육성하가 위해 '롯데벤처스 베트남(Lotte Ventures Vietnam)'을 설립했다고 17일 밝혔다. 베트남 정부의 기업등록 발급 승인을 받은 외국계 벤처투자법인은 롯데벤처스가 처음이다. 롯데벤처스는 동남아 지역에서 빠른 성장이 예상되는 베트남에 선제적으로 법인을 설립해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계획이다. 베트남은 외국 투자기관 유치 법 개정을 추진하는 동시에 정부 차원의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베트남은 평균 연령이 30세로 생산 가능 인구가 풍부하고, 해외 유학파 창업이 이어지고 있어 스타트업 시장 잠재력이 크다. 롯데벤처스는 지난 2월 베트남 신선식품 유통사 한국계 '샤크마켓(Shark Market)'에 투자하는 등 베트남 내 한인 창업을 지원하고 있다. 2016년부터 베트남 최대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인 베트남 실리콘밸리 캐피탈(Vietnam Silicon Valley Capital)와 함께 우수 스타트업 발굴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현지 롯데 계열사와 유통, 물류, 커머스
롯데케미칼이 글로벌 수소 펀드 ‘클린 H2 인프라 펀드(Clean H2 Infrastructure Fund)'에 핵심 투자자로 참여한다. 롯데케미칼은 글로벌 수소산업 가속화에 대비해 선진 기술 선점과 인프라 구축을 위해 ‘클린 H2 인프라 펀드’에 핵심 투자자로 참여한다고 밝히고, 1억 유로(원화 약 1400억 원)을 투자한다. ‘클린 H2 인프라 펀드(Clean H2 Infrastructure Fund)'는 2017년 다보스포럼에서 발족된 수소 경제 글롭러 기업 협의체인 수소 위원회(Hydrogen Council)의 공동 의장사 에어 리퀴드(Air Liquid)와 회원사 토탈(Total)이 공동으로 주도해 만든 펀드다. 프랑스의 에어리퀴드, 빈치(VINC), 미국의 플러그파워(Plug Power) 등 8개사가 속해 있고 롯데케미칼은 아시아 화학사 중 유일하게 핵심투자자로 참여하게 된다. 총 15억 유로(원화 약 2조 원) 규모의 자본을 형성해 전 세계 수소 저장, 유통 인프라, 수소차량 활용 분야와 신재생 에너지와 연계한 수소 생산 등 프로젝트에 전략적으로 투자한다. 롯데케미칼은 글로벌 수소 산업 가속화에 대비해 관련 기술 동향을 파악하고 산업 신규투자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