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세계 3대 채권지수라 불리는 세계국채지수(WGBI)에 편입된다. 2022년 9월 편입 직전 단계인 ‘관찰대상국’ 지위에 오른 이후 2년 만의 일이자 4번째 도전 끝에 편입에 성공했다. 2025년부터 70조 원 이상의 해외 자금이 국내로 유입되면서 환율 안정 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10월 8일 글로벌 지수 제공업체인 영국 파이낸셜타임스스톡익스체인지(FTSE) 러셀은 채권 국가 분류 반기 리뷰에서 한국을 WGBI에 추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1년 가량 유예기간을 거친 후 2025년 11월부터 실제 지수 반영을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세계국채지수’(WGBI)는 ‘블룸버그-바클레이스 글로벌 국채지수’(BBGA)와 ‘JP모건 신흥국국채지수’(GBI-EM)와 함께 3대 세계국채지수로 손꼽히면서 미국, 일본, 영국을 포함해 25개 주요 국가들의 국채가 포함된 ‘채권선진클럽’으로도 불린다. FTSE 러셀은 시장의 규모, 국가신용등급, 시장 접근성 수준 등을 고려해 매년 3월과 9월에 관찰대상국의 편입 여부를 결정한다. FTSE 러셀은 검토 결과 한국의 시장접근성 수준이 기존의 1단계에서 WGBI에 편입할 수 있는 2단계로 재분류됐다고 발표했다.
이번에도 한국이 세계 3대 채권지수인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에 실패했다. 지난 3월 27일 WGBI를 관리하는 영국 파이낸셜타임스 스톡익스체인지(FTSE) 러셀은 한국을 국채 지수에 편입하지 않은 채 관찰대상국 지위를 유지한다고 발표했다. 이날 FTSE 러셀은 FTSE 채권시장 국가분류를 발표하면서 “한국과 인도를 국채 지수 관찰대상국(Watch List) 지위를 유지한다.”고 발표하면서 한국을 세계국채지수에 편입하는 것을 유보하겠다는 입장을 견지(堅持)했다. FTSE 러셀은 국채 발행 규모, 국가신용등급, 시장 접근성 등을 따져 통상 3월과 9월 WGBI 편입 여부를 정기적으로 결정한다. 한국은 지난 2022년 9월 WGBI 편입을 고려하는 ‘관찰대상국’에 이름을 올렸고, 국제 투자자들의 국채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을 진전해왔다. 이후 지난 2023년 3월과 2023년 9월에 편입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FTSE 러셀은 채권시장 국가분류에서 국가별 시장 접근성을 레벨 0~2로 구분하고 있으며, 이 중 레벨 2국가만 WGBI에 편입한다. FTSE 러셀은 한국의 접근성 개선 노력의 사례로 ▲국제예탁결제기구(ICSD)인 유로 클리어・클리어 스트림과 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