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패션 브랜드들도 벤치마킹한 필리핀 직조는 역시 아름답네요.” 필리핀 대사관은 2024년 12월 17일 화요일 오후 3시 서울 인사동 마루아트센터 2층 오미갤러리에서 열리는 ‘필리핀 직조 전시회(Threads of Culture: 필리핀 직조(HABI))’를 열었다. 한국과 필리핀 수교 75주년을 기념하는 이 행사의 개막식에는 마리아 대사뿐만 아니라 전 필리핀 대사를 역임한 김재신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을 비롯한 국내외 인사들이 참석했다. 개막식에서 마리아 테레사 디존-더베가 주한 필리핀 대사는 “필리핀 직조 문화의 풍부한 전통과 예술적 가치를 한국에 소개하며, 양국 간 문화적 이해와 교류를 증진할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재신 사무총장도 한-필리핀 수교 75주년을 축하하면서 발전한 필리핀 직조문화에 대한 우수성을 찬사하면서 전시회의 의미를 강조했다. 주한 필리핀 대사관, 필리핀의 직조 및 직물 기업, 지역 공동체의 협력으로 이루어진 이번 전시회는 필리핀의 전통 직조 문화인 하비(Habi)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작품들을 선보였다. 이번 전시에는 필리핀 전통 직조 문화를 대표하는 9개 팀이 참여했다. 또한 필리핀의 대표 직물인 아벨(Abel),
“제주서 동남아 지역으로 상상여행 해보세요.” 마리아 테레사 비 디존-데 베가 주한 필리핀 대사가 제주 서귀포시에서 열린 ‘한-아세안 올레 제막식’에서 의미 있는 축사를 했다. 특히 올해 한-아세안 관계에 뜻깊은 진전을 회고했다. 올해 초 한-아세안센터의 창립 15주년를 맞아 한-아세안센터에 모인 일, 한-아세안 대화관계 수립 35주년을 맞아 비엔티안에서 열린 제 25차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양측 관계를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로 격상한 일들을 되새겼다. 개인적으로 제주도를 셀 수 없을 만큼 많이 방문했다는 마리아 대사는 “이 발전하는 파트너십에 세계 불가사의 중 하나인 제주도의 숨막히는 아름다움 속에서 또 하나의 이정표를 추가한다. 한-아세안 가족이 커졌다. ‘한-아세안 올레’다”라고 강조했다. 마리아 대사는 한-아세안 올레의 탄생 비화도 소개하면서 감사했다. 그는 “약 1년 전 에릭 테오 주한 싱가포르 대사가 이 프로젝트를 처음 제안했을 때 전폭적으로 지지해준 주한 아세안 위원회 동료들과 김 사무총장께서 이끄시는 한-아세안센터, 그리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여준 제주특별자치도 관계자, 제주올레재단, 아세안재단의 협력과 지원에 다시 한 번 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