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중부 제2도시 만달레이 서북서쪽 17km 지역에서 2025년 3월 28일 14시 20분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했다. 진원의 깊이는 10km였다. 이번 지진으로 만달레이의 명소인 아바(Ava) 다리도 무너져 내렸다. 미얀마 최대 도시 양곤에서 진동이 강하게 느껴졌고 주민 대피가 이뤄졌다. 미얀마는 2021년 2월 군부 쿠데타 이후 내전 중인 탓에 정확한 피해 상황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 미얀마 군사정부는 네피도와 사가잉, 만달레이, 마그웨이, 바고, 샨 등 6개 지역에 대해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국제사회의 지원을 요청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번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1000명을 넘을 확률을 70% 이상으로 추정했다. 경제적 피해는 미얀마 국내총생산(GDP)의 20~30%에 이를 수 있다고 봤다. USGS에 따르면 진앙지는 인구 약 120만 명이 거주하는 만달레이 시에서 약 17.2km 떨어져 있다. 미얀마 중부는 상습 지진발생 지역으로 알려졌다. 바간과 만달레이도 지진 피해로 수도를 양곤으로 이전하고 다시 네피도로 이전했다. 미얀마는 히말라야 동쪽 끝에서 말레이반도로 이어지는 지진대가 나라를 남북으로 관통한다. 양곤에
“벌써 4일째 폭우가 하루도 빠짐없이 계속 오고 있네요.” 미얀마 남부에 광범위한 홍수가 범람하면서 수천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미얀마 교민이 아세안익스프레스에 현지 소식을 전해왔다. 현지 미디어 이라와디(irrawaddy)와 자유아시아방송(RFA)은 10일자로 홍수 피해를 보도했다. 자유아시아방송은 “계속되는 비로 인해 양곤지역은 샤샤야타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에 따르면, 흘레커우(Hlaengkou)시 저지대 지역에서는 2023년 10월 7일 밤부터 거리와 집이 물에 잠겼다”고 전했다. 주민들은 응 모에 시우(Ng Moe Siew )댐 방류로 인해 인근 지역이 침수되었다고 말했다. 이라와디는 벵골만 열대저압부로 인한 집중호우로 바고(Bago) , 만달레이(Mandalay), 양곤(Yangon) 지역에 광범위한 홍수가 발생해 주민들이 대피하고 수송에 차질을 빚었다고 구조팀과 주민들의 소식을 전했다. 특히 “바고 지역의 광범위한 홍수로 10월 8일 이후 수천 명 이상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더 많은 사람들이 침수된 주택에 고립되어 있다”고 보도했다. 바고의 경우 자잉가나잉(북)과 캬우크 규수(Kyauk Gyu Su) 두 구의 피해가 가장 심했다. 현지 자원봉사
미얀마 군부가 ‘1년 뒤 총선’ 약속을 번복하고 장기집권 야욕을 노골화하고 있다. 2일 미얀마나우 등 해외 미디어는 민 아웅 흘라잉 미얀마 군부 최고사령관이 전날 쿠데타 6개월을 맞아 한 TV 연설을 통해 과도정부를 출범하고 스스로 신임 총리에 올랐다고 전했다. 군부는 별도 성명을 통해 기존 군부 중심의 국가행정평의회(SAC)를 과도정부로 신속히 대체하고 군부 사령관인 민 아웅 흘라잉이 총리직을 수행한다고 발표했다. '셀프총리'가 된 그는 “2023년 8월까지 국가 비상사태를 해제하고 반드시 총선을 치르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2월 1일 쿠데타 직후 밝혔던 ‘1년 뒤 총선 실시’ 약속은 헌신짝이 되어 버렸다. 한술 더 떠 1년 6개월을 더 늦춰 2023년 8월까지 비상통치 체제를 이어가겠다고 약속 파기를 선언했다. 이날 ‘과도 정부’라는 표현을 썼지만 사실상 미얀마 군부가 정권을 완전히 장악하는 절차를 진행하고 장기집권 야욕 ‘본색’을 드러낸 것이다. 흘라잉 사령관은 총리 취임 연설에서 “2023년 8월까지 군부의 비상통치체제가 이어질 것”이라며 “그 이후에는 반드시 총선을 치를 것을 약속한다”고 말한 바 있다. 미얀마 시민단체 미얀마정치범지원협회(AAPP)
한국 정부가 20일 미얀마 군경이 실탄 발사를 포함해 시위대를 강경 진압하는 과정에서 사상자가 속출한 가운데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외교부 대변인 성명을 내고 “미얀마 경찰의 총격을 받았던 여성이 결국 전날 사망했다는 소식을 접했다”며 “희생자에 대해 깊은 애도와 함께 유가족에 대한 심심한 위로를 표한다”고 전했다. 이어 "오늘 미얀마 만달레이시에서 시위대에 대한 강경 진압으로 사상자가 발생하고 있다는 언론보도가 나오고 있는데 대해서도 깊은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또 "미얀마 국민들의 집회 및 표현의 자유가 최대한 존중돼야 한다는 입장"이라며 "시위대를 대상으로 과도하고 불필요한 폭력 사용을 자제할 것을 재차 강력히 촉구한다"고 당부했다. 정부는 "합법적이고 민주주의적 절차에 따라 평화적인 방식으로 미얀마 내 민주주의와 헌정질서가 조속히 회복되기를 바라며 이를 위해 국제사회와 계속해서 긴밀히 협력해 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20일 미얀마 군인과 경찰 수백 명은 만달레이의 한 조선소에서 쿠데타에 항의해 파업 중인 근로자 시위대에 고무탄과 새총, 실탄을 무차별적으로 발포했다. 현지 매체인 '미얀마 나우'는 군경의 실탄 사격으로 최소 2명이 숨졌고, 6명이
미얀마 경찰이 시위대에 실탄을 발사해 여성 1명이 중태에 빠졌다는 외신이 나왔다. 9일 로이터통신 등 외신은 미얀마 수도 네피도의 한 의사는 “병원으로 이송된 부상자 4명 중 여성 1명이 머리에 치명상을 입었다”고 전했다. 그는 “여성이 아직 사망하지 않았고 응급실에 있지만, 그 부상이 치명적이라는 것은 100% 확실하다. 엑스레이 검사 결과 (고무탄이 아닌) 실탄이었다”고 전했다. 블룸버그통신은 현장에서 취재 기자를 포함해 최소 20명이 부상했고, 2명이 중태라고 전했다. 1일 쿠데타가 발생한 후 실탄 발포로 인한 부상자가 나온 것은 처음이다. 미얀마 제2도시 만달레이에서도 경찰이 시위대를 해산시키기 위해 최루탄을 쐈다. 최소 27명의 시위대가 체포됐다. 현지 미디어 ‘미얀마 나우’는 “네피도에서 경찰이 시위대를 향해 쏜 실탄으로 30세 남성과 19세 여성이 중태”라고 보도했다. 미얀마 군부가 전날 미얀마 제2도시 만달레이시의 7개 구에 계엄령을 선포했다. 군부가 물대포에 이어 경고 사격, 고무탄 및 최루탄까지 발사하면서 대규모 ‘유혈 사태’이라는 최악 시나리오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날 미얀마 군부는 미얀마 최대 도시 양곤과 주변 도시를 연결하는 다리 3
현재 미얀마 양곤에 살고 있는 필자는 약 2주간의 꽤나 엄격한 도심 폐쇄(lockdown) 상황을 겪었다. 시내의 모든 식당이 영업을 멈추고 거의 유일한 식량공급원이던 슈퍼마켓까지 문을 닫으니 별 수 없이 집안에 꼼짝없이 갇혀있을 수밖에 없었다. 미얀마의 락다운(도시폐쇄)이 여느 대도시의 그것과 유별나게 다른 점이라면 사회기반시설의 불안정으로 상당히 빈번한 단전과 인터넷 끊김현상이 발생한다는 것이었다. 갑자기 너무 많은 사람이 집에서 전력을 소모해서 그런 것이었을까. 예고 없이 전력이 끊긴 양곤의 어두운 밤을 견디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전력이 끊기면 인터넷도, 냉장고도, 컴퓨터와 에어컨도 모두가 멈춘다. 밖에 나돌아 다닐 수도 없는 환경에서, 한번 끊기면 보통 5시간을 넘기는 단전상황을 겪어보니 더이상 시내에 살아야할 이유를 찾을 수 없었다. 그리하여 양곤 외곽으로의 이사를 결정했다. 1. 양곤에 도착한 윈난(雲南)성 출신 사업가 유(劉)씨 성을 지닌 중국인 사업가의 집에서 하숙을 하게 된 계기는 이렇다. 필자는 2012년에 처음 미얀마 양곤을 취재한 경험이 있었는데, 당시 모 대표님의 제안으로 중국과의 교역으로 한창 활기를 띄던 북쪽의 만달레이에 가
아세안 문화 경제 미디어 '아세안익스프레스'가 신년을 맞아 신남방정책을 현장을 해부하는 야심적인 기획을 준비했다. 바로 '정호재의 緬甸통신'과 '정호재 新加坡통신'이다. 기자 출신으로 현재 싱가포르와 미얀마에서 아시아학을 공부하고 있는 필자는 태국의 탁신, 말레이시아의 마하티르, 캄보디아의 삼랑시 등 동남아의 대표 정치인을 직접 인터뷰하고 관련 번역도 했다. 緬甸은 미얀마의 한자표기고 新加坡는 싱가포르 한자 표기다. [편집자주] 정호재의 緬甸통신 ① 미얀마 양곤 한 달....'아웅산 수치'의 민주화 된 양곤 1. 2020년 1월-현지 조력자 구인 면접, 영어 소통에 감사 미얀마 양곤에서 1달 적응기간을 갖고 비즈니스 비자를 갱신하기 위해 잠시 서울로 복귀했다. 더운 남국에서 서울로 다시 돌아오니 몸이 두 배로 힘들다. 양곤-서울 비행기 운항시간은 6시간 정도. 직항은 대한항공과 미얀마항공 두 곳이 있고, 환승을 하려면 태국 방콕이나 베트남 하노이가 유리하다. 과거 국제공항이란 낭만과 설렘의 상징이었지만, 점차 피곤함의 대명사가 되어간다. 지난 한 달 동안 만달레이도 다시 다녀오고, 어학공부에도 다시 속도를 올리고, 연구를 도울 현지인력이 필요해 공고도 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