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김해용)는 7월 4~7일 말레이시아 말라카에서 한-아세안 디자인 세미나와 기업 간(B2B) 미팅을 통한 네트워킹의 장을 마련한다. 창조경제를 위한 디자인 산업 진흥을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말레이시아 디자인 카운슬(Malaysia Design Council)과 말라카 주정부가 협력기관으로 참여한다. 한-아세안센터는 2022년, 메콩 5개 국가(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태국, 베트남)를 대상으로, 한-메콩 간 지속 가능한 수자원 관리 정책을 공유하고 지역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태국으로 조사단을 파견한 바 있다. 올해는 한국과 아세안 해양국 5개국(브루나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의 디자인 관련 기관 및 기업인들을 초청하여 ▲한-아세안 디자인 세미나, ▲말레이시아 디자인 카운슬 방문, ▲B2B 미팅, ▲산업 시찰을 진행한다. 한국에서는 한국디자인진흥원이 우수 디자인 상품 보유 기업과 참가한다. 디자인 산업 및 창조 경제 분야는 팬데믹의 타격을 직접적으로 받은 기간에도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지역에서 꾸준히 성장해 온 유망 분야다. 2003년부터 2021년 기간 동안 연평균 6%대의 성장률을 나타
팜민친(Pham Minh Chinh) 총리가 참석한 베트남 메콩델타 최장 고속도로가 6월 17일 착공되었다. 베트남플러스(vietnamplus) 등 현지 미디어에 따르면 메콩 삼각주(Mekong Delta) 지역을 가로지르는 이 고속도로는 쩌우독-껀터-속짱(Chau Doc-Can Tho-Soc Trang)로 연결된다. 속짱 성의 쩐데(Tran De) 항구에서 시작, 하우장(Hau Giang)성 및 껀터(Can Tho)시를 거쳐 안장(An Giang)성 쩌우독에서 끝난다. 1단계 공사 중앙 및 지방 예산 총사업비 44조7000억동(19억 달러), 폭 23.25m 왕복 4차선, 2027년 완공 예정이다. 1단계 사업 이후 6차선으로 확장된다. 찐 총리는 “고속도로가 메콩 삼각주에서 국가 고속도로 시스템과 이 지역을 연결하는 첫 번째 수평축이다. 메콩 삼각주를 변화시키고 많은 경제 중심지, 국제 국경 관문 및 항구를 연결하는 6개의 고속도로가 하나로 연결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편 호치민시 3순환도로, 비엔호아-붕따우(Bien Hoa - Vung Tau) 고속도로, 칸화-부온마투옷(Khanh Hoa - Buon Ma Thuot) 고속도로 등 4개 고속도로
비엔티안(Vientiane)은 라오스의 수도다. 라오어로 ‘비앙(vieng)’은 도시를 의미하며, ‘티안(tiane)’은 달을 가리킨다. 즉 비엔티안은 '달의 도시'라는 뜻이다. 라오스는 바다가 없는 내륙국가다. 대신 티벳에서 발원해 미얀마-태국을 거쳐 캄보디아-베트남으로 흐르는 2700km의 메콩강(약 4909km)의 절반을 차지하는 나라다. 이 강은 세계에서 10번째로 길다. 이 메콩강의 영향으로 비엔티안은 도시 면적의 약 47%가 강, 늪지, 범람원 등으로 구성된다. 인구 93만 명으로 동남아서 가장 조용한 수도답게 높은 빌딩도 별로 눈에 띄지 않았지만 메콩강가에 가면 활기가 살아났다. 비엔티안 중심지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빠뚜싸이(Patouxay) 전망대에서 대통령궁으로 이어지는 타논 란쌍의 직선 도로다. 빠뚜싸이와 메콩 강변 야시장을 둘러보았다. ■ 프랑스 독립 기념 건설 ‘빠뚜싸이’, 파리 개선문 본딴 ‘아이러니’ 라오스에서 비엔티안과 자주 비교되는 도시가 북부의 옛 수도 루앙프라방이다. 13세기 통일국가 북부의 란쌍 왕국의 수도로 라오스의 역사와 전통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문화도시다. 비엔티안은 16세기부터 수도였지만 프랑스로부터 독립 후에야 수
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김해용)는 12월 1일부터 2일까지 태국 방콕에서 태국 투자청(Board of Investment)과 한-메콩 물관리공동연구센터(Korea-Mekong Water Resources Management Collaborative Research Center)와 협력하여 수자원 관리 세미나를 진행하고 기업 간 네트워킹의 장을 마련할 예정이다. 한-아세안센터는 이번 방문에서 한-메콩 물관리공동연구센터, 수자원공사, 국내 수자원관리 분야 5개 기업 및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태국, 베트남 5개 메콩 국가의 관련 부처 및 기업 관계자를 초청한다. △한-메콩 물관리 산업 세미나, △’방수환경교육보존센터(Bang Sue Environmental Education and Conservation Center)’ 시찰, △ 한-메콩 수자원관리 업체 기술공유 및 B2B(기업 간) 네트워킹 세션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한-메콩 간 지속가능한 수자원 관리 정책을 공유하고 기업의 투자 기회를 모색하는 동시에, 지역 협력을 통한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도차이나의 젖줄’으로 불리는 메콩(Mekong)강은 태국,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
한국무역협회는 16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제9회 한-메콩 비즈니스 포럼 및 온라인 상담회’를 개최했다. ‘뉴노멀 시대 기회 포착?중소·중견기업의 회복탄력성 강화 추진’을 주제로 열린 이날 행사에는 이성호 외교부 경제외교조정관, 속 소켄 캄보디아 외교부 차관, 조학희 한국무역협회 국제사업본부장을 비롯해 캄보디아·라오스·미얀마·태국·베트남 등 메콩 5개국 정부 관료와 경제단체 관계자, 현지 진출 기업인 등 200여명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석했다. 조학희 한국무역협회 국제사업본부장은 “한국과 메콩 5개국 간의 협력은 2011년 이래 양적, 질적 측면에서 꾸준히 성장해왔다”며 “한·메콩 교류의 해가 내년까지 연장된 만큼 무역협회도 역내 끈끈한 협력을 유지하기 위해 메콩 경제단체들과 민간주도의 경제협력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성호 외교부 경제외교조정관은 “한·메콩 협력은 아세안 전체의 경제성장을 위한 촉매”라고 강조하며 “코로나19를 이겨내고 지속적이고 포용적인 발전을 위해 대한민국 정부는 메콩 국가들과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옥냐 꾸 펭 캄보디아 상의 부회장은 축사를 통해 "한국과 메콩 5개국은 문화적 유사성을 기반으로 긴밀한 관계를 이어
메콩의 도시 팍세(Pakse)의 아침은 탁발로 시작합니다. 매일 아침이면 시내 곳곳에서 탁발승의 행렬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제가 소개하고 싶은 것은 라오스 남부 최대도시 팍세 사원의 유서깊은 사원, ‘왓루앙’의 스님들의 탁발 행렬입니다. 불교대학을 겸하고 있는 이 사원은 1830년 축조된 라오스 남부에서 가장 큰 사원입니다. 부처님 발바닥 자국이 남아 있다는 것을 유명합니다. 스님들의 탁발행렬은 어둠이 스러지는 매일 아침 6시(06:00~06:30분경)이면 시작됩니다. 탁발은 불교에서 두타행 중의 하나입니다. 출가한 수행자들이 지켜야 할 12두타행 중 걸식과 같은 뜻이라고 합니다. 승려들이 걸식으로 의식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석가모니께서도 실천했습니다. ‘발’이란 음식을 담은 그릇인 발우를 말합니다. 탁발이란 걸식하여 얻은 음식을 담은 발우에 목숨을 기탁한다는 의미입니다. 스님들의 탁발에 라오스인들의 정성은 상상 이상입니다. 홍수로 도로가 잠기더라도, 날씨가 춥거나 덥거나 그들은 하루도 빠지지 않고 도로가에 두 무릎을 끓고 스님들에게 탁발 보시를 합니다. 제가 라오스에 와서 보고 감동을 받은 것도 라오스인들의 무릎을 꿇고앉아 돈, 음식 등을 드리는 정성스런
지난 2년 간 한반도를 둘러싼 정치적 상황이 극적으로 바뀌면서 새로운 한반도의 미래를 상상할 여지가 마련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한반도뿐 아니라 이를 둘러싼 주요 이해 당사국들이 함께 지역적 차원에서의 평화와 공동번영을 꿈꿀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해준다. 하지만 한반도 거주자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단속(斷續)적이며 단발적인 상황변화에 놓일 수 있는 가변성도 여전히 강력하다. 따라서 분단체제 극복과 새로운 한반도 체제 구성을 위한 분명한 전환의 계기가 만들어져야 한다. 즉, 불가역적인 지역 차원의 제도 형성으로 이어져야 하며, 그 방향은 평화경제론에 입각한 ‘지역 제도(들)’과 ‘평화-발전 넥서스에 입각한 거버넌스’의 구축이어야 할 것이다. 필자는 동남아 대륙부의 메콩지역에서 지난 30여 년 간 진행되었던 평화-발전의 제도화와 거버넌스 정착의 과정이 한반도의 미래를 상상함에 있어 주요한 참조체계가 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메콩지역은 한반도와 마찬가지로 냉전시기 동아시아 열전(베트남전쟁과 캄보디아 내전 등)의 전장(battlefields)이었다. 국제하천 메콩은 냉전의 시대 체제 대결의 전선(戰線)이었다. 하지만 1990년대 중반 이후 사회주의적 계획경제를 표방했던
"앙코르와트의 나라 '빨간 바나나'를 아시나요?" 외교부가 페이스북을 통해 '메콩강의 기적을 꿈꾸는' 캄보디아를 소개했다. 25~27일 부산에서 개최되는 한-아세안(ASEAN, 동남아시아국가연합) 대화관계 수립 30주년을 기념하는 '2019 한-아세안특별정상회의'를 앞두고 카드뉴스를 기획했다. 세계문화유산 ‘앙코르와트’의 나라 캄보디아는 지난 10년간 연 7% 경제성장률을 지속하며 발전을 이어가고 있는 유망한 생산기지이자 한·아세안, 한·메콩을 이어줄 파트너로 손꼽히고 있다. 한국과 캄보디아는 1997년 재수교 후 비약적으로 발전 중에 있다. 두 나라 간 교역은 재수교 당시보다 현재 20배 가까이 증가하였으며 200개가 넘는 한국 기업이 캄보디아에 진출해 있다. 한-캄보디아 다문화가정만도 9000쌍으로 훈센 총리는 '사돈국가'라고 칭했다 . 35세 이하 인구가 전체 60%를 차지한 역동적인 국가 캄보디아는 한국과 전통적인 봉제,농업 분야뿐 아니라 금융, IT, 환경 등 새로운 분야의 경제 협력을 강화 중에 있다. 올해 3월 캄보디아를 국빈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은 “캄보디아는 한국의 2대 개발협력 파트너이자 신남방정책의 중요한 협력 파트너다”라고 말한 바 있다
“메콩지역 중소중견기업 육성지원과 상호진출을 위한 교류협력 플랫폼 구축하자.” 서울대 아시아연구소는 10월 2일 메콩지역 중소중견기업 육성지원과 상호진출을 위한 교류협력 플랫폼 구축을 주제로 민·관·학 국제학술제를 연다. 외교부가 주최하고 개관 10주년을 맞은 서울대 아시아연구소의 주관으로 열리는 이 행사는 11월 부산에서 열리는 제 1차 한-메콩 정상회의의 성공적인 개최를 기원하고 한-메콩 관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조성하기 위한 자리이다. 태국,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으로 구성된 메콩지역은 경제발전의 잠재력과 기대가 큰 지역이다. 메콩지역 국가의 대부분의 비즈니스는 중소중견기업(Micro,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MSMEs)이 차지하고 있다. 한국의 MSMEs에게 메콩은 새로운 시장이며, 메콩지역 MSMEs에게 한국은 사업을 육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지원받을 수 있는 파트너이다. 이에 연구소는 한-메콩 MSMEs의 상호교류를 진작하고 메콩 지역의 MSMEs 육성을 위한 교류협력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하여 민-관-학이 함께 토론하는 자리를 준비하였다. 학술제는 메콩지역의 경제상황과 중소중견기업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