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국방안보위원회(NDSC)가 30일 국가비상사태를 6개월 더 연장했다고 국영 미얀마 라디오-텔레비전(MRTV)이 31일 보도했다. 현지 미디어 애드쇼파르는 1일자로 ’MRTV는 지난달 30일 네피도에서 열린 2024 2차 NDSC 회의에 참석한 모든 위원들이 비상사태 기간 연장에 합의했다, 비상사태 연장은 헌법 425조에 따라 이뤄진 것이다“이라고 전했다. 회의에는 미얀마 총사령관 겸 국가관리위원회 위원장 겸 대통령 대행 민아웅 흘라잉, 쏘윈 부사령관, 쿤 미얏(Khun Myat) 미얀마 연방회의 의장, 야 피에(Yar Pyae) 내무부장관, 툰 툰 나웅(Tun Tun Naung) 국경부 장관 대령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NDSC 회의는 먼저 미얀마 헌법 425조에 의거하여 미얀마 재선거를 준비하기 위한 명분을 내세워 만장일치로 국가비상사태 6개월 추가 연장을 결정했다. 또 현재 개발 작업, 전국 인구 및 주택 총조사 준비, 교육, 보건 및 농업 부문 등에 대해서도 논의했다고 MRTV는 덧붙였다. 미얀마는 2021년 2월 1년 간 비상사태를 선포한 뒤 올해 7월31일까지 6개월씩 5차례 연장, 이번이 6번째 연장이다. 한편 3일 외신들은 미얀마 반군은
“아세안은 내정 불간섭 원칙, 미얀마 의견 반영 없었다.” 미얀마 군사정권이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외교장관들의 공동성명에 강한 반발하며 맹비난했다. 지난 13일(현지시간) 아세안 외교장관들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제56차 아세안 외교장관회의를 열어 미얀마 내 폭력 중단과 대화 개시 등 5개 항 합의 이행을 요구하고 폭력행위를 강력히 규탄하는 공동 성명을 발표한 바 있다. 미얀마 매체 이라와디 18일자에 따르면 미얀마 외교부는 성명을 통해 “아세안 외교장관 공동성명은 ‘평화로운 수단’을 통해 민주주의를 회복하려는 군정의 노력을 언급하지 않았다”며 맹비난했다. 아세안의 내정 불간섭 원칙을 거론하며 공동성명 초안 작업에 회원국으로서 성실하게 참여했음에도 최종 성명에서는 미얀마의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군정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 총사령관은 "올 1월부터 7월 11일까지 총 489건의 폭발로 782명의 군인이 사망했다"며 "국가 전반에 걸쳐 안정과 법치를 회복하기 위해 해야 할 일이 많이 남아있다”며 국가비상사태 연장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