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5일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이하 ‘부산진해경자청’)은 장기간 미추진 상태였던 창원시 진해구 제덕동・남문동 일원 66만㎡ 규모의 웅천・남산지구 개발사업을 정상화하기 위해 개발사업시행자 공모에 나섰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2019년 산업통상자원부 고시에 따라 주거용지 중심의 개발계획이 수립됐으나 사업시행자 지정 취소 등으로 인해 오랜 기간 지연돼 왔다. 이번 공모는 경남을 대표하는 고품격 국제 주거복합도시 조성을 목표로, 전문성과 책임성을 갖춘 사업시행자를 선정해 사업의 조속한 추진을 도모하는 데 목적이 있다. 경자청은 단순한 주거지구가 아닌 외국인 주거수요를 감당할 수 있는 국제적 정주환경을 갖춘 복합도시를 구상하고 있으며 창의적인 지구명칭 제안 등으로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의 국제적 위상 강화와 투자자 유치, 입지 선호도 제고를 기대하고 있다. 이 사업은 진해신항 개발, 경제자유구역 및 항만배후단지 확대 등으로 외국인 주거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경남 지역 내 대표적인 고급 주거지구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부산진해경자청 박성호 청장은 “웅천・남산지구를 경제자유구역의 대표적인 고품격 국제 주거복합도시로 조성하겠다.”며 “오랜 시간 표류하던
지난 5월 31일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BJFEZ)은 ▲커피콩(생두) ▲콜드체인 부분품 ▲로봇 부속품 ▲수소에너지 ▲선박용 기계부품을 5대 전략 품목으로 설정해 복합물류산업 활성화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오는 6월 ‘BJFEZ 혁신 얼라이언스’를 개최해 전략산업 및 전략품목별 전문가와 함께 정책과제 발굴을 위한 논의를 할 계획이다. 부산진해경자청은 또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핵심전략산업 코드에 5대 전략품목이 추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난 5월 21일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자부’)에 코드 변경을 신청했다고 설명했다. 비수도권 경제자유구역의 경우 전략산업 코드에 반영된 품목은 지방투자보조금(설비) 지원 비율을 최대 10%까지 우대받을 수 있다. 부산진해경자청 박성호 청장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전략품목을 육성하기 위한 출발점.”이라며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을 동북아 물류・산업 허브로 도약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이 전 부서를 대상으로 생성형 인공지능(AI)을 도입하며 스마트 행정 전환을 추진중이다. 지난 5월 2일 부산진해경자청에 따르면 이 기관은 지난 2024년 일부 인원에 한정했던 ‘유료 생성형 AI 서비스 이용료 지원’ 대상을 2025년부터 전 부서로 대폭 확대해 모든 직원이 최신 AI 기술을 학습하고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했다. 특히 전날에는 전 직원을 대상으로 ‘ChatGPT 및 생성형AI 실습’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 데이터 분석과 실무 적용 등 실제 행정 업무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심화 실습을 제공했다. 이번 교육에서는 ChatGPT뿐 아니라 다양한 생성형 AI 도구의 활용 사례와 특징, 비교 분석도 함께 다뤄 직원들이 업무에 적합한 도구를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부산진해경자청 박성호 청장은 “AI 기술 활용은 선택이 아닌 필수 역량.”이라며 “직원들이 AI를 적극적으로 업무에 도입해 디지털 전환 시대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