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6일 중국 빅테크 기업 알리바바(Alibaba)가 자사 AI 모델 ‘QwQ-32B’을 오픈 소스로 공개했다. 알리바바 측은 해당 모델의 매개변수가 딥시크와 비교했을 때 5%이지만 성능을 비슷하다고 주장했다. ‘매개변수’란 AI를 훈련하는 과정에서 데이터가 의도한 결과를 내도록 조정하는 수치 정보를 말한다. 매개변수가 많을수록 AI의 성능이 더 뛰어나긴 하지만 비용은 더 들어가므로 이번 알리바바 모델이 딥시크보다 비용은 저렴한데도 성능은 비슷하다는 뜻이다. 알리바바는 지난 10년간 투자한 금액보다 훨씬 더 많은 3,800억 위안(원화 약 75조 원)의 자금을 향후 3년간 AI 인프라를 투자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알리바바의 소식에 홍콩 증시에서 주가가 일시적으로 7.5% 상승하기도 했다. 알리바바 주가는 미국 증시에서도 연일 오름세를 보이면서 지난 한 달 동안 42%, 6개월 동안 71% 급등했다. 한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2월 17일 ▲알리바바 ▲화웨이 ▲BYD ▲웨이얼반도체 ▲딥시크 ▲유니트리 등 자국 민영기업과의 좌담회에서 “먼저 부유해진 뒤 공동의 부유를 촉진하자.”고 말했다. 그간 중국 정부는 국영기업을 우선하며 민영기업에 대해 규
지난 2024년 초거대 인공지능(AI) 모델을 가장 많이 출시한 기업은 중국의 알리바바(Alibaba)인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트댄스・딥시크 등 다른 중국 AI 기업들도 5개 이상의 초거대 AI 모델을 출시했다. 미국이 중국 AI의 성장 견제를 위해 반도체 수출 제한 등 다방면으로 노력했음에도, 중국의 ‘인공지능 굴기’가 굳건한 모습이다. 지난 2월 16일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는 미국 ‘에포크(EPOCH) AI’의 초거대 AI 모델 데이터베이스(DB)를 분석해 ‘글로벌 초거대 AI 모델 현황 분석’ 보고서를 내놨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4년 초거대 AI 모델을 가장 많이 출시한 기업은 중국의 ‘알리바바’(Alibaba)로 확인됐다. 알리바바는 지난 2024년 총 15개의 초거대 AI 모델을 출시했다. 알리바바는 지난 2023년 ‘큐웬-1’(Quwen-1)을 선보인 이후 지속적으로 자사 AI 모델을 업데이트했다. 지난 2024년 9월 알리바바 클라우드(Alibaba Cloud)가 주최한 ‘압사라 콘퍼런스’에서는 초거대 AI 모델 ‘큐웬 2.5’를 공개하면서 꾸준히 성능을 강화 중이다. 알리바바는 지난 1월 29일에도 공식 계정에서 새로운 A
온라인 쇼핑 플랫폼 라자다(Lazada)가 모회사인 알리바바로부터 3100억 원의 추가 투자를 받는다. 라자다는 알리바바의 투자금으로 물류 시스템과 기술 인프라를 개선하고,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를 출시하는 데 사용할 예정이다. 싱가포르에 본사를 두고 있는 라자다는 이번 투자까지 포함해 알리바바에게 총10조 4000억원을 투자 받았지만, 동남아 1위 자리를 쇼피(shopee)에게 빼앗겨 2위로 밀렸다. 컨설팅업체인 모멘투스웍스(Mmentus Works)의 ‘동남아 전자상거래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동남아시아 온라인 쇼핑 거래 규모(GMV, 상품판매량)는 995억 달러(약135조8000억원)다. 이 중 쇼피의 GMV는 479억 달러(약66조9000억원)로 전체 GMV의 48%다. 라자다의 GMV는 201억 달러(약27조4000억원)로 쇼피의 42% 수준이다. 라자다는 그동안 알라바바의 과도한 개입, 인도네시아에서의 시장 적응 실패, 잦은CEO교체로 혼란을 겪어왔다. 한편 라자다가 1월 초 100명이 넘는 직원을 갑자기 해고한 후 낮은 퇴직금을 지급해 발생했던 분쟁이 해결됐다. 블칸포스트에 따르면 라자다는 해고한 직원들에게 재직 연수 1년마다 2주치 급여에
앤트 파이낸셜 그룹(Ant Financial Group)의 구조조정안이 발표됐다. 지난 1월 7일 발표된 지배구조 조정안에는 창업주이자 1대 주주인 마윈(Mǎ Yún)의 직간접 지분이 53%에서 6%로 낮아지고 1대 주주가 없는 균등지배형태가 된다. 지배구조 조정전에 앤트 파이낸셜 그룹(이하 ‘앤트 그룹’)은 마윈과 다른 3명의 주주가 공동이해관계인으로 각각 마윈이 34% 나머지 3명이 22%씩 지분을 가지고 항조우윈보투자회사의 지배권을 가지고 이 회사가 다시 2개의 자회사를 지배하면서 각각 31.04%, 22.42%의 지분 보유해 마윈이 실제로 53.46%의 지분을 통제해 1대 주주로서 경영권을 행사했다 지배구조 조정 후에는 마윈과 3명의 주주는 그간 공동행동을 하는 공동이해관계인 계약을 해지하고 지분양수를 통해 각 10%씩의 지분을 갖는 10명의 주주로 항조우윈보투자회사 지분을 2개의 회사로 분리했다. 10명의 균등주주는 공동이해관계인 계약을 모두 해지하고 각자 독자적인 권리를 행사하는 주주로 변화하게 된다. 즉 앤트 그룹은 마윈이 53%를 직간접으로 지배하던 회사에서 마윈은 6.2%의 지분만을 가진 주주로만 남도록 되는 것이다. 이는 앤트 그룹과 알리바
중국 대표 온라인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알리바바(Alibaba)에서 베트남 농산물과 식료품 구매율이 50% 이상 증가했다. 알리바바 베트남 지사장 로거 루는 베트남 제품에 대한 비즈니스 기회 지수를 2021년 대비 14%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베트남 농수산물 등 상품 수요 증가율이 대폭 늘어났기 때문이다. 베트남의 식품과 원자재 시장이 다양한 국제 인증을 받아 품질을 확보해가면서 글로벌 고객들의 니즈를 충족했기 때문에 향후에는 베트남 제품들이 새로운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알리바바 측의 설명이다. 농산물, 식품, 음료의 총 거래 비중은 이미 전 세계 상품 가치의 9%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식품류에 대한 수요는 매우 높아 베트남 기업들에게 기회가 열려있는 상황이다. 베트남 제품 중 농산물은 높은 수요를 자랑하는 제품으로 견과류‧과일‧곡물 등이 다수 거래되고 있다. 특히, 견과류에 대한 수요가 매우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파스타치오, 캐슈넛, 아몬드에 대한 알리바바의 키워드 검색량은 지난 30일간 70%에서 400% 이상으로 증가했다. 또한, 식품류에서 수요가 가장 높은 4개 품목은 음료, 해산물, 향신료 과일(채소)다. 랍스
인도네시아 유니콘 기업인 1위 ‘고젝(Go-Jek)’과 2위 ‘토코피디아(Tokopedia)’가 드디어 한몸이 되었다. 고투(GoTo Group) 그룹의 탄생이었다. 니케이 아시아-딜 스트리트 아시아 등 외신은 인도네시아 대표적인 O2O(온-오프라인 연계) 교통, 물류 등의 서비스 기업인 고젝과 전자상거래 기업 토코피디아가 17일 25조 슈퍼합병 절차를 마무리했다고 전했다. 고젝과 토코피디아는 공동 보도 자료에서 독립 평가액 약 180억 달러(약 20조 4300억 원, 고젝 105억-토코피디아 75억달러) 규모로 결합했다고 발표했다. 고투 지분구조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고젝이 58%를 보유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어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큰 규모이며 현재까지 아시아에 기반을 둔 인터넷 미디어 및 서비스 회사 중 가장 최대 규모”라고 전했다. 고젝의 공동 CEO 안드레 솔리스트요는 그룹 CEO가 된다. 토코페디아 사장 패트릭 카오는 그룹 회장으로 활동한다. 고젝의 다른 공동 CEO인 케빈 알루위(Kevin Aluwi)는 고젝의 CEO가 될 것이며, 토코페디아의 창립자인 윌리엄 타누위자야는 전자상거래 CEO가 된다. 두 회사는 올해 초 합병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기
중국의 무인배송 로봇 전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2020년 9월 중국 전자상거래기업인 알리바바가 배송 로봇 ‘샤오만뤼(小蛮驴)’를 공개했다. 알리바바의 싱크탱크인 다모위안(达摩院)이 인공지능 기술과 자율주행 기술을 결합해 만든 무인 배송 로봇인 샤오만뤼는 100개 이상의 행인과 차량의 움직임을 0.01초 안에 포착하고 500개의 택배를 배송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장첸펑(张建锋) 알리윈(阿里云) 총재는 “샤오만뤼는 천둥, 번개, 폭설, 폭우 등 극한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라면서 “실제 사용 환경에서 테스트 중인 샤오만뤼는 앞으로 지역사회, 학교, 복합 상업지구 등에서 대규모로 사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중국 자율주행 스타트업인 네오릭스(Neolix 新石器)를 포함해 화이트 라이노(White Rhino, 白犀牛), 유니티 드라이브(Unity Drive, 一清创新), 싱선즈넝 테크(行深智能科技有限公司) 등등이 무인 배송 로봇 시장에서 샤오만뤼가 경쟁한다. 네오릭스는 2015년부터 L4 무인 배송 로봇 개발에 착수했고 소매형, 택배형, 보안형 등 3가지 유형의 모델을 가진 SLV11을 선보였다. SLV 11은 유럽 L6e(Light Quadricy
"알리바바와 차이나모바일, 미국 블랙리스트 다후아에 5200억 원 투자 검토한다." 로이터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중국의 전자상거래 기업인 알리바바(Alibaba)와 이동통신사업자 차이나 모바일(China Mobile)이 중국 2위 보안 기업인 다후아 테크놀로지(Dahua Technology)에 4억 4300만 달러(한화 약 5200억 원) 규모의 투자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중 무역분쟁이 격화된 가운데 2019년 10월 미국 정부는 중국 2위 보안 기업인 다후아 테크놀로지를 포함한 28개 기업을 블랙리스트(Blacklist)에 등재시켰다. 블랙리스트 기업들은 미국 정부의 허가 없이 미국 기업과 거래할 수 없다. 이에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Tiktok)이 IT 기업 오라클(Oracle)과 매각 협상에 들어가기도 했다. 다후아는 CCTV와 지문 인식 기기 등 보안 장비 기업이다. 신장자치구의 위구르족에 대한 인권 탄압을 이유로 블랙리스트에 등재됐다. 차이나 모바일은 다후아에 400억 위안(한화 약 6조 9292억 원)의 3년간 사업 발주도 검토 중이다. 알리바바와 차이나 모바일이 다후아에 투자를 검토 중인 이유는 중국 정부의 스마트시티 500개
틱톡(TikTok)은 중국 기업 바이트댄스에서 2017년 출시해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당시에 4월 다운로드 수가 20억 건에 달할 정도로 인기있는 짧은 동영상 어플이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틱톡’을 매각하고 행정명령을 내리고, 매각과 관련 “미국에 실질적으로 이익이 되고 완전한 보안을 제공해야 한다”고 발언이 전세계 IT업계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그렇다면 중국이 개발해 전세계 시장을 휩쓸고 있는 앱 ‘틱톡’과 개발사 바이트댄스는 어떤 업체일까? ■ 5초에서 1분 이내 숏폼으로 떴다...중국 동영상 플랫폼인 ‘틱톡’ 틱톡은 5초에서 1분 이내 숏폼(Short-form) 형식의 영상을 제작 및 공유할 수 있는 앱이다. 중국 기업 바이트던스에서 2017년 출시했다. 특히 춤 또는 몸짓으로 표현한 영상에 특화되어 제트세대에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150개국 75개 언어로 서비스를 하고 있다. 출시 1년만에 중국에서만 가입자 1억명, 4년만에 누적 다운로드 20억 건을 기록했다. 사용자는 15억 명으로 그 중 인도 유저 약 2억 명이다. 헥토콘은 기업가치 1000억 달러(약 118조 7500억 원)기업을 가리킨다. 유니콘→데카콘→헥토콘 순이다. 유
“중국은 첨단기술에 1730조원을 쏟아부어 미국을 이기겠다.” 블룸버그통신 21일자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이날 개막한 양회(兩會) 기간 코로나19 경기부양책의 일환으로 2025년까지 핵심 첨단기술 분야에 10조 위안(1730조원)을 투자하는 계획을 통과시킬 예정이다. 앞으로 6년간 5세대 이동통신(5G)과 인공지능(AI), 산업인터넷(industrial internet) 등 첨단기술 분야에 10조 위안을 투자할 전망이다. 이는 화웨이 제재 등을 통해 중국의 IT 등 질주를 견제하려는 미국에 맞서 '첨단기술 패권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겠다는 의지다. 대표적으로 5G 통신망 구축과 클라우드 컴퓨팅,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자율주행·공장 자동화·안면 인식 등 AI 분야를 집중 육성하겠다는 것. 중국 대표 IT기업인 화웨이, 알리바바, 텐센트, 디지털차이나, 센스타임 등과 지방정부와 보조를 맞춘다. 중국은 2025년까지 산업인터넷 플랫폼 분야에서 세계 3대 기업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양회는 중국의 전국정치협상회의(정협)와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를 통칭하는 말이다. 한 해 중국 정부의 경제-정치 운영 방침이 정해지는 최대의 정치행사다. 원래 중국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