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 스타트업 ‘아이오로라’(I-Aurora)가 글로벌 디지털 결제 솔루션 기업 알리페이플러스(Alipay Plus)와 파트너 계약을 체결했다. 지난 9월 30일 양사는 외국인 관광객들의 결제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서비스를 전국 주요 관광지와 전통시장에 확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파트너 계약을 통해 알리페이플러스 고객은 명동을 비롯한 다양한 관광지역의 노점과 전통시장에서 QR 결제가 가능해질 예정이다. ‘알리페이플러스’는 앤트인터내셔널(Ant International)이 운영하는 글로벌 디지털 결제 솔루션으로, 전 세계 수백만 명의 이용자에게 다양한 간편 결제 수단을 제공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170만여 개의 가맹점에 간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동안은 관광지의 노점 및 전통시장과 같은 현금 위주의 결제 환경에서는 접근이 어려웠으나,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알리페이플러스의 고객들은 기존에 사용하던 자국의 모바일 페이먼트 앱을 이용하여 아이오로라의 나마네 QR 코드를 스캔해 한국의 주요 관광지와 전통시장에서 쉽게 결제할 수 있게 된다. 중국은 국경절을 맞이해 10월 1일부터 명동에서 진행되는 특별 할인 행사에서 알리페이플러스 고객이라면 누구나
지난 5월 18일 영국 이코노미스트닷컴(Economisty.com)이 글로벌 결제 시장에서 비자(VISA)‧알리페이(Alipay)‧유니온페이(Unionpay)의 3대 세력이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 2007년 아프리카 케냐에서 모바일 결제 서비스인 엠페사(M-Pesar)가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태동됐다. 2011년 알리페이는 중국에서 QR코드를 이용한 스캔 결제를 이용하 탄생됐으며 현재 현금을 대체한 중국의 결제문화를 탄생시켰다. 인도의 국가 주도 ‘통합 결제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UPI)’과 브라질의 픽스를 통해 금융시스템에 사람들이 접근성을 높였고 전자상거래가 활발해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결제의 저변에 확대됐다. 이에 관광업을 비롯한 크로스보더(Crossborder) 소매 지출 송금액은 2023년에 들어서 벌써 5조 달러(원화 약 6,365조 5,000억 원)에 달하고 있으며 기업에 지불하는 돈은 이보다 8배 많은 40조 달러(원화 약 5경 924조 원)에 달하고 있다. 이코노미스트는 비자카드는 1억 개의 가맹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해외 250만 개의 가맹점을 보유한 알리페이, 유니온페이는 세계 최대 규모 은행카드의 네트워크를 통해 6
퇴임 15일 남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 기업에 대한 초강력 조치를 멈추지 않고 있다. 로이터,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기업이 서비스하는 8개 애플리케이션들과 거래를 금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8개 제재 대상은 알리페이, QQ월릿, 텐센트QQ, 위챗페이, 캠스캐너 쉐어잇, 브이메이트, WPS오피스 등 일상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상용 애플리케이션들이다. 행정 명령에 따라 상무부는 이번 제재를 45일 이내에 집행해야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퇴임일이 다가오는 만큼 오는 20일 전에는 상무부에서 조치가 있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반면 블룸버그는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 이후 시행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전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제재의 사유를 중국 기술기업들의 국가안보 위협을 지목했다. 중국 애플리케이션들은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 개인 전자기기에 접근해 개인 정보와 사생활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장악할 수 있다는 의미다.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조치는 틱톡과 위챗과의 거리를 금지한 2020년 8월의 행정명령과도 유사하지만, 당시의 조치는 미국 법원에서 제동이 걸렸다. 로이터 통신은 이번에도 상무부의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