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월 23일 ‘전북특별자치도’(이하 ‘전북자치도’)는 군산항에 독자적인 특송화물 통관장을 구축하며 대중국 전자상거래 거점항만으로의 도약을 위한 행정・재정 지원에 본격적으로 나섰다고 밝혔다. 지난 2024년 2월 ‘군산항 특송화물 통관장’은 전북자치도와 여러 관계 기관의 적극적인 협력으로 총 18억 원을 들여 ▲인천통관장 ▲평택통관장 ▲부산통관장에 이어 4번째로 개장됐다. 통관장에는 X-ray 검색기 3대, 컨베이어벨트 3대 등 다양한 설비가 완비돼 하루 33,000건의 물량을 처리하고 있다. 코로나19(COVID-19) 이후 국제 전자상거래 시장이 급성장한 반면, 군산항은 통관시설 부재로 물류 비용과 대기시간 증가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겪어왔다. 그러나 올해 완공된 군산항 통관장을 통해 300% 급증한 700만 건의 물품을 처리하며 180억 원의 경제 효과와 100여 명의 고용 효과를 달성했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지난 2024년 군산항을 통한 해상-항공 복합운송화물 처리량이 98,560t으로 인천항을 넘어 1위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군산항이 화물환적 소요시간과 선박 운항의 정시성에서 인천항에 비해 경쟁력을 가졌다고 해석이 가능하다. 전북자치도는 최근
지난 12월 24일 전북특별자치도는 유망 중소기업 12개사를 선정하고 인증서와 인증현판을 수여했다. 올해 선정된 유망 중소기업은 ▲국도특장 ▲나무숨 ▲동방이노베이션 ▲미소능력개발센터 ▲비티에스 ▲성현 ▲아이버스 ▲아이오토 ▲엠에스이엔지 ▲장수도깨비동굴김치 영농조합법인 ▲피엘티 ▲한빛글로벌 등이다. 이들 기업에는 앞으로 5년간 최대 5억원의 경영안정지원자금 및 이차보전 최대 3% 지원, 각종 사업 가점 부여 등 다양한 혜택이 주어진다. 전북자치도는 1999년부터 매년 엄격한 심사를 거쳐 유망 중소기업을 선정해 지원하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 김관영 도지사는 "우수한 기술력과 성실함으로 성장과 발전을 거듭한 중소기업이야말로 전북경제 성장을 이끈 주역"이라며 "앞으로도 '기업 하기 좋은 전북자치도'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1월 18일 전라북도는 ‘전북특별자치도’라는 이름으로 변경된다고 밝혔다. 지난 1896년 전라도는 ‘전라남도’와 ‘전라북도’로 변경된 후 128년 만에 새로운 이름을 갖게 됐다. 전북특별자치도의 출범은 제주도와 강원도에 이어 3번째 특별자치도의 출범으로 세종 특별자치시를 포함하면 4번째 특별광역자치단체가 된다. 전북특별자치도는 지난 2023년 공포된 ‘전북특별자치도 설치 및 글로벌생명경제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이하 ‘전북특별법’)에 의거하고 있다. 전북특별법 전부 개정은 지난 2022년 4월부터 8일ᄁᆞ지 안호영 안호영, 정운천, 한병도 의원의 발의로 시작됐다. 2022년 12월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와 법제사법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해 2023년 1월 ‘글로벌 생명경제도시 전북특별자치도’라는 비전을 설정하고 전북도와 14개 시‧군이 전북자치도 지정에 힘을 모으자는 업무협약도 맺었다. 특례를 발굴하고 법조문을 마련해 국무조정실에 제출했고 2023년 8월 전북 지역 국회의원들이 전북특별법 전부개정안을 발하기도 했다. 전북자치도는 법률 공포 이후 도청의 간판을 전북특별자치도로 바꾸는 등 외형 갖추기에 속도를 내며 외형을 넘어 체질까지 바꾸는 작업을 병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