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들의 섬’ ‘천국의 섬’ ‘사랑의 섬’ 발리(BALI)... 인도네시아의 발리는 다양한 이름을 갖고 있다. 특히 ‘신의 섬’이라는 이름을 얻으며 신들이 거주를 결정하는 지구의 낙원을 닮았다고 불린다. 발리는 1만 7000개 이상의 섬이 뻗어 있는 군도 국가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큰 힌두교 문화적 영향을 받은 곳이다. 번화한 자바섬과 롬복의 매혹적인 아름다움 사이에 자리잡은 인도네시아의 가장 빼어난 관광지다. 인도네시아 인구 2억 7000만 명 중 400만 명에 불과하지만 웅장한 경치와 활기찬 문화로 가득한 곳이 발리다. 발리는 현지인들의 일상생활 속에 토착 신앙화가 눈길을 사로잡는다. 자연, 종교, 음식 등 측면에서 독창적인 매력을 뽐내는 곳이다. 문화인류학자 정정훈이 펴낸 ‘신들의 섬을 걷는 문화인류학자’는 발리에 대한 문화적인 보고서다. ‘발리’, ‘문화인류학’, ‘여행’이라는 키워드를 접목한 문화인류학자의 시선이 돋보인다. 그는 실제 발리섬에 오랫동안 살았다. 이미 ‘도시로 보는 동남아시아사 2’에 발리섬의 ‘우붓(기안야르)’과 ‘자카르타’편을 집필하기도 했다. 저자 정정훈은 “어렵고 힘든 시기. 남태평양의 작은 섬, 발리에서 살았던 문화인류학자의 소
전북대 인문사회관서 열린 25일 동남아학회학술대회(8월 25~26일) 전체회의에서는 박사명(강원대) 교수 사회로 ‘한국과 인도네시아 연대구상: 새로운 동반자 관계를 위하여’가 다뤄졌다. 올해는 한-인도네시아 수교 50주년이다. 인도네시아는 아세안(ASEAN) 내 한국과 유일한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맺고 있다. 전체회의에서는 지난 6월 26일 서울 신라호텔 영빈관 루비홀서 외교부와 주한인도네시아 대사관, 한국동남아학회가 주최한 '한-인도네시아 수교 50주년 기념 포럼’ 내용을 중심으로 리뷰이자 토론이 이어졌다. 구보경(부산외대 연구원), 김형종(연세대), 고영경(고려대), 정정훈(서강대 동아연구소)이 패널리스트로 참여했다. 송승원(한국외대), 김이재(인천교대), 김지훈(인하대) 등도 토론에 뛰어들었다. ■ 구보경 “한국-인도네시아, 문화-안보-인적교류 확대...시장경제와 민주주의 공유” 구보경 연구원은 “한-아세안 연대구상(KASI)은 윤석열 정부가 지난해 11월 11일 발표했다. 이전 정부 신남방정책의 성과를 기반으로 국방, 해양, 보건 등 8대 중점과제로 구체화되었다”고 소개했다. 이어 “그 가운데 2017년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했고, 올해
“동남아시아의 2022년, 핵심 이슈를 짚어보고 2023년을 전망한다.” 전북대 동남아연구소가 올해도 (사)한국동남아학회와 함께 2월 1일(수)과 2일(목) 이틀간 동남아시아의 2022년을 돌아보고 2023년을 전망하는 동남아지역동향설명회(이하 설명회)를 개최한다. 동남아지역동향설명회는 (사)한국동남아학회의 학회지 동남아시아연구 에서 매년 특집호로 기획 출간하는 국가리뷰 내용을 필진이 직접 나서 학회원, 연구자, 대학원생 및 일반 대중과 공유하고 토론하는 학술행사이다. 동남아시아의 정치, 경제, 대외관계(한국과의 관계 포함)에서의 핵심 쟁점과 주목할 만한 사회문화적 현상을 톺아보고 논의하는 장이다. 이제는 매년 8월 개최되는 정기학술회의와 함께 연례행사로 자리잡았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 각국 리뷰를 녹화영상으로 제작하여 유튜브를 통해 송출하는 방식으로 시작된 첫 설명회 이래 동남아지역동향설명회는 매년 줌을 활용한 실시간 웨비나로 개최되어왔다. 2023년을 맞아 어느덧 5회차에 접어든 이번 설명회의 첫날에는 베트남, 태국, 캄보디아, 미얀마, 싱가포르의 2022년 동향을 짚어본다. 이튿날에는 필리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와 아세안의 동향에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는 8월 21일부터 이틀 간에 걸쳐 진행된 한국동남아학회 연례학술대회에 총 두 개의 분과회의를 조직하여 참가하였다. 동남아학회 정기 학술대회 사상 최초로 웹비나로 진행된 '비대면 화상회의'는 뜨거웠다.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의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 중인 서강대 동아연구소는 ‘동남아시아문화 지식 기반 구축을 위하여’라는 아젠다를 설정했다. 그리고 ‘동남아시아-통시적 관찰과 공간적 비교’와 ‘동남아의 상생과 뉴노멀 지역연구’라는 주제로 관련 학자들과 교류하였다. 전체 소속 연구자들의 연구들은 서강대 동아연구소가 지역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가운데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주변국들과의 사회문화적 관계에 대해 주로 관심을 기울이면서도 코로나와 같은 현재적 이슈 역시 놓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해주었다. ■ 김종호-정정훈-배기현 ‘동남아시아-통시적 관찰과 공간적 비교’ 첫 번째 분과회의인 ‘동남아시아-통시적 관찰과 공간적 비교’에서는 동남아시아의 사회, 문화적인 분야에 대한 연구성과를 교류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김종호 교수는 “‘두 코리아’와 싱가포르”에서 싱가포르 국가기록원에서 구한 사진자료들을 바탕으로 냉전 초기 남북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