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 맛집에서 절로 앉아 놀멍쉬멍(놀면서 쉬면서) 인생샷도 찍고 싶어요.” 한-아세안센터가 명명한 ‘한-아세안올레’에 1년만에 10개국(약 6억 8530만 명)을 상징하는 ‘절로 앉고 싶은’ 우정의 벤치가 생겼다. 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김재신)는 제주특별자치도(도지사 오영훈), 제주올레재단(대표이사 안은주)과 협력하여 11월 11일 제주 파르나스 호텔 야외정원에서 ‘한-아세안 올레 10개국 벤치 조성 기념식’을 개최했다. 이 행사는 ‘2025 아세안 위크' 연계행사로 제주올레 8코스에 아세안 10개국 벤치 조성 기념식으로 치러졌다. 제주올레 8코스는 아왜낭목이 있는 월평마을에서 대평포구까지 19.6km로 가장 사랑받는 코스 중 하나다. 제주올레 8코스는 지난해 한-아세안 대화관계 수립 35주년을 기념해 ’한-아세안 올레’로 명명되었다. 이후 1년, 아세안 10개국을 상징하는 디자인의 벤치 10개가 설치되었다. 기념식에는 김애숙 제주특별자치도 정무부지사, 안은주 제주올레재단 대표를 비롯한, 말레이시아-싱가포르-라오스-캄보디아-미얀마 등 주한 아세안 대사들, 자카르타포스트 등 아세안 주요 언론인 등 약 100여 명이 참석했다. ■ “아세안 10개국 상징과 이
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김재신)는 8월 8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1층에 ‘서울 아세안홀(ASEAN Hall Seoul)’을 개관한다. 서울 아세안홀은 아세안 10개국과 한국 간 사회·문화·관광·경제 등 다양한 분야의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조성된 다목적 상설 및 기획 전시 공간으로 향후 아세안 관련 다양한 행사가 개최되는 대표 복합 공간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특히 아세안 창립 58주년을 기념하는 8월 8일 아세안데이(ASEAN Day)에 개관해, 그 상징성과 의미를 한층 더한다. 개관식에는 대한민국 외교부 고위 인사를 비롯해, 주한 아세안 10개국 대사와 문화-예술-경제계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해 의미를 더할 예정이다. 이번 개관은 한국과 아세안 간 협력이 정치-경제를 넘어 문화와 일상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특히 아세안 10개국이 콘텐츠 기획부터 전시-행사에 직접 참여해 상호 교류 모델을 실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개관을 기념해 열리는 첫 전시 ‘푸릇 프룻: 과일이 있는 풍경’(Fruity Fruit: Colorful Days in Southeast Asia) 은 아세안의 열대 과일을 매개로, 동남아시아의 일
제주도에서도 아세안 문화의 향취를 빠져들 공간이 생긴다. 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김해용)는 9월 15일 제주의 제주의 유일무이한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문화 공간인 제주 아세안홀을 개관한다. 제주 아세안홀은 서귀포시 중문관광단지에 있는 제주국제평화센터에 오픈한다. 제주에서 ‘유일무이’한 제주 아세안홀은 문화예술품과 각종 이미지를 통해 한국과 아세안 지역 간 문화, 관광, 그리고 인적 분야의 교류를 한눈으로 볼 수 있는 문화 전시 공간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한국에서 아세안문화를 느낄 수 있는 곳은 어디어디일까. 대표적으로 서울 프레스센터 8층에 있는 한-아세안센터 아세안홀이다. 이곳에서는 청년 대학생 및 일반인 대상 아세안에 대한 이해 및 한-아세안 관계 증진을 목적으로 센터 방문 및 견학프로그램을 진행 중이다. 한-아세안센터는 매월 아세안 10개국에 대한 특집 기사, 사진, 영상, 전자책 등 다양한 문화관광 콘텐츠를 아세안 여행 웹페이지에 게재하고 있다. 올해의 테마는 △워케이션 여행지와 △코로나 시대의 문화관광 트렌드로, 아세안의 관광지, 음식 문화와 라이프스타일 등이다. 한-아세안센터 홈페이지 메인 배너를 통해서 매주 업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