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신증권이 국내 10번째 종합금융투자사업자(이하 ‘종투사’)로 지정됐다. 지난 12월 24일 금융위원회(이하 ‘금융위’)는 정례회의를 열고 대신증권에 대한 종투사 지정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종투사는 자기자본 3조원 이상의 증권사가 기업금융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하도록 2013년 도입된 제도다. 종투사로 지정되면 활용 가능한 신용공여한도가 자기자본의 100%에서 200%로 늘어나고, 기업 신용 공여 업무가 가능해진다. 그간 종투사는 미래에셋증권・NH투자증권・삼성증권・한국투자증권・키움증권・메리츠증권・KB증권・신한투자증권・하나증권 등 9곳이었다. 이번 대신증권이 추가 지정되면서 총 10곳으로 늘어나게 됐다. 금융위는 “자기자본, 인력과 물적설비, 이해 상충 방지체계 등 법령상 요건을 모두 갖춘 것으로 판단해 대신증권을 종투사로 지정했다.”며 “기업의 다양한 자금 수요에 대응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금융위원회(이하 ‘금융위’)는 종합금융투자사업자(이하 ‘종투사’)의 부동산 신용공여를 제한하고 증권사에 벤처대출을 허용하는 등의 제도 개편을 추진한다. 지난 2월 1일 금융위는 해당 내용을 담은 ‘증권사의 기업금융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세부 방안을 살펴보면 금융위는 부동산 관련 신용공여와 특수목적기구(SPC)에 대한 신용공여를 종투사의 신용공여 추가 한도 적용 대상에서 제외한다는 계획이다. 대신 초기중견기업에 대한 신용공여와 인수・합병(M&A) 리파이낸싱 대출, 재무구조 개선기업에 대한 대출은 신용공여 추가 한도 적용 대상으로 새롭게 인정한다. 정부는 2013년 모험자본 공급 활성화를 위해 종투사 제도를 도입했는데 취지와 달리 종투사들이 부동산 관련 신용공여 비중을 키우자 제도를 개편하기로 했다. 지난 2020년 6월 말 기준 종투사의 기업 신용공여 총액 14조 3,000억 원 가운데 6조 원(41.9%)이 부동산 관련이었다. 종합금융투자사업자, 즉 ‘종투사’는 금융위의 지정을 받은 자기자본 3조원 이상의 대형 증권사다. 현재 ▲미래에셋대우 ▲삼성증권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KB증권 ▲신한금융투자 ▲하나금융투자 ▲메리츠증권 등 8곳이 종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