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이 2,000억 규모의 현대차증권의 유상증자 계획을 승인했다. 지난 1월 1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금감원은 현대차증권이 지난달 24일 제출한 정정 증권신고서의 효력이 이날부터 발생한다고 공시했다. 현대차증권은 지난2024sus 11월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2000억원 규모의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현대차증권은 유상증자를 통해 차세대 원장시스템을 도입하고 상환전환우선주(RCPS) 및 단기차입금을 상환해 자본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었지만 지난 12월 금감원이 증권신고서에 대한 정정신고서 제출을 요구하면서 효력이 정지됐다. 현대차증권은 지난 12월 24일 내용을 대폭 보완한 정정신고서를 제출했고 지난 1월 9일에도 세부 내용을 보완해 자진해 증권신고서를 추가 정정했다. 현대차증권은 정정신고서에서 프로젝트파이낸싱(PF)과 관련 “2022년부터 이어진 고금리와 부동산 경기 침체로 부동산PF와 브릿지론 등 개발금융의 부실이 증가했다.”며 “그 결과 일부 자산에 대손충당금을 설정해 수익성이 저하된 사실이 있다.”고 언급했다. 이에 따라 재무안정성에 변동이 있었고 이번 유상증자를 통한 자금 조달이 향후 신
지난 9월 12일 성우는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했다. 지난 4월 한국거래소(KRX)에 상장 예비심사를 청구서를 제출한지 약 5개월 만의 일이다. 이번 기업공개(IPO)에서 300만 주를 공모할 예정인 성우는 희망 공모가 범위를 2만 5,000~2만 9,000원으로 정했다. 상장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 맡았다. 1992년 설립된 이차전지 부품 제조사 성우는 전장부품과 이차전지 부품 제조업을 영위 중이다. 주력 제품은 ‘탑캡 어셈블리’로 원통형 배터리 안전의 핵심이라고 성우는 설명하고 있다. 배터리에 이상 온도 혹은 압력이 발생하면 전류를 차단하고, 내압 발생 시 가스를 배출해 폭발을 방지한다. LG에너지솔루션의 차세대 이차전지 ‘4680’ 모델에 성우는 탑캡 어셈블리를 납품하고 있으며 지난 2021년 매출액 800억 원을 돌파한 후 지난 2023년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1,466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 2023년 성우는 유상증자 방식의 프리IPO로 약 2,000억 원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으며, 사모펀드 운용사 쿼크프라이빗에쿼티(E)가 50억 원을 투자했고 주관사인 한국투자증권도 20억 원을 투자했다. 성우 박종헌 대표이사는 “이번에 조달하는 자금으
스마트팩토리솔루션 전문기업 엠투아이코퍼레이션이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상장을 위한 본격적인 공모절차에 착수했다고 17일 밝혔다. 엠투아이코퍼레이션이 이번 상장을 위해 공모하는 주식수는 3,335,000주이며, 희망 공모가 밴드는 15,600원~18,900원이다. 공모예정금액은 520억원~630억원이다. 7월 9일~10일 양일간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이 진행되며, 7월 16일~17일 청약을 거쳐 7월 내에 코스닥 입성을 목표로 하고있다. 대표 주관사는 미래에셋대우다. 엠투아이코퍼레이션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키워드 중에서 스마트팩토리 구축에 필수적인 스마트HMI(Human Machine Interface), 스마트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원격 감시제어 및 데이터 수집 시스템) 및 스마트팩토리솔루션(Smart Factory Solution)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스마트HMI는 기존의 HMI가 제공하는 생산현장의 각종 제어기기에 대한 모니터링 및 조작이나 제어가 가능한 인터페이스 역할은 물론, 스마트팩토리 환경에서 요구되는 기기간의 유연한 연결성과 다양한 기능성, 안정성에 보안성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