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은행이 5억 유로(원화 약 7,320억 2,000만 원) 규모의 커버드본드(이중상환청구권부 채권) 발행에 성공했다. 이번 발행은 지속가능채권(Sustainability bond) 형태로 조달된 자금으로 친환경 및 사회적 사업에 사용될 예정이다. 지난 10월 15일 KB국민은행은 글로벌 채권시장에서 진행된 북빌딩(수요예측)을 통해 5억 유로 규모의 커버드본드를 발행했다. 이번 채권의 만기는 3.25년으로 가산금리는 유로화 미드 스와프(EUR MS) 금리에 45bp를 더한 수준이다. 이는 최초 제시금리(IPG)인 50bp에서 5bp가 축소된 결과다. 북빌딩 과정에서 14억 4,000만 유로(원화 약 2조 1,082억 원)의 주문이 몰리며 흥행에 성공했다. KB국민은행은 당초 금융당국으로부터 10월 7~8일 이틀에 걸쳐 유로화 커버드본드 발행을 위한 북빌딩 일정을 승인받았으나 일정을 1주일 연기한 끝에 충분한 수요를 확보하며 성공적으로 발행을 마쳤다. 유로화 커버드본드는 주로 유럽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발행되며 투자 기반이 탄탄한 유럽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이번 발행을 통해 KB국민은행은 발행액의 3배에 달하는 주문을 확보하며 만만찮은 실력과
IBK기업은행(은행장 윤종원)이 글로벌 채권시장에서 5억 달러(한화 약 5945억 원) 규모의 외화 지속가능(ESG)채권을 발행했다. 채권만기는 3년, 발행금리는 0.639%(미 국채금리+20bp) 고정금리로 국내 기관 발행물 중 역대 최저 가산 금리다. 지속가능채권은 친환경 프로젝트 등에 투자하는 그린본드와 일자리 창출, 사회 취약계층 등을 지원하는 소셜본드의 성격이 결합된 환경‧사회책임‧지배구조채권(ESG채권)의 일종이다. 중소기업은행은 채권 발행으로 조달한 자금을 국내외 친환경 관련 사업과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해 사용할 방침이다. 기업은행은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시장 변동성 확대에도 불구하고 사회·환경적 가치투자에 대한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이 역대 최저 가산금리 발행 성공으로 이어졌다"며 "이번 채권 발행으로 금융시장 변동성에 대한 대응력 제고와 안정적 외화유동성 관리가 가능할 것이다. 앞으로도 선제적인 조달을 통해 정책금융 지원 확대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국전력공사가 특수목적채권인 지속가능채권(ESG)을 2년 연속으로 발행한다. 한국전력은 국내 에너지 기업 최초로 2년 연속 2000억 원 규모의 원화 ESG 채권을 발행했다. ESG란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거버넌스(GOvernance)라는 소외계층 지원, 환경보호, 신재생에너지 개발 등 사회저 가치증대를 위한 자금 마련을 위해 발행되는 특수목적 채권이다. ESG채권은 2년물 300억 원, 3년물 1000억 원, 5년물 700억 원으로 구성됐다. 발행금리는 유통수익률 대비 평균 2.65p로 낮은 수준이며, 국내에서 원화로 발행한 에너지 기업 ESG 채권 가운데에서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발행한 채권으로 조달한 자금은 국내외 신재생에너지 사업, 신재생 연계설비 확충, 에너지 효율화 사업, 일자리 창출, 중소기업 지원 등에 쓰일 예정이다. 한국전력은 2020년 상반기 5억 달러(한화 약 5700억 원) 규모의 그린 본드(Green Bond)를 발행하기도 했다. 2년 연속 ESG 채권 발행으로 한국전력은 투자자들의 신뢰를 확인하면서 친환경을 위한 사회적 가치 제고 선도에 앞장서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한전은 "올해 상반기 5억 달러 규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