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B대구은행이 시중은행으로 변경되면서 계열사인 ‘하이투자증권’도 사명이 ‘iM투자증권’으로 변경될 것으로 보인다. 지주사인 ‘DGB금융그룹’은 증권 계열사인 하이투자증권에 대한 iM투자증권에 대한 상표권 등록을 마쳤다. ‘DGB대구은행’이 변경할 사명인 ‘iM뱅크’를 비롯해 지주사인 ‘iM금융그룹’과 ‘iM금융지주’의 상표 등록도 완료됐다. 시중은행 변경과 함께 사명을 변경하게 되면, 시너지 효과를 고려해 사명이 하나로 통일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18년 DGB금융그룹은 현대중공업그룹으로부터 하이투자증권과하이자산운용을 인수해왔으며, 사명을 유지해왔다. iM투자증권과 iM자산운용은 지난 2023년 8월에 상표권 등록이 완료된 상황이다. 이미 아이템투자증권은 기존에 존재했던 투자증권이지만 지난 2014년에 메리츠금융그룹에 인수합병되면서 사명변경에 대한 문제는 전혀 없는 상황이다.
DGB대구은행이 시중은행으로 전환되면서 ‘iM뱅크’로 사명이 변경될 예정이다. 지난 5월 16일 금융위원회는 정례회의를 열고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인가를 확정지었다. 1967년 DGB대구은행의 설립 이후 57년만의 일이며, 1992년 평화은행의 시중은행 전환 후 32년 만의 새 시중은행의 탄생이다. 7번째 시중은행이 탄생했지만, DGB대구은행에 대해서 여러 가지 이야기가 많다. 우선 삼성생명이 보유한 DGB대구은행의 지분율(持分率이) 4% 이하로 줄어들었고, 총선거 시기와 겹치면서 정치적 고려가 있었다는 이야기도 금융권에 돌고 있다. 2023년 나이스신용평가 총자산 기준 DGB대구은행의 점유율은 1.9%에 불과하다.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등 4대 은행의 점유율이 10~15%인 점을 감안하면 최소 10%p 차이가 난다는 이야기다. 지난 2023년 대구은행은 기업금융전문가(PRM) 제도를 채택해 기업금융 중심의 전략을 세우면서 기업 대출 잔액을 35조 1,220억 원을 마련했지만 170조 원이 넘는 4대 은행의 기업대출과 비교했을 때 5배 이상의 격차가 발생했다. 우량기업들은 이미 시중은행들과 거래 중이고,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큰 기업들
DGB금융그룹의 ‘DGB대구은행’이 금융위원회로부터 시중은행 전환을 인가받았다. DGB대구은행은 지역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의 장점을 결합한 ‘뉴하이브리드 뱅크’로 진화한다는 청사진을 제시하고 디지털 접근성과 비용 효율성으로 무장하겠다는 전략을 세웠다. 우선 시중은행으로서 사명을 ‘아이템(iM)뱅크’로 변경하고 3년간 수도권‧충천권‧강원권에 진출해 14개 영업점을 신설할 예정이며, 자체 비대면 앱 고도화와 외부 플랫폼과의 제휴 확대를 통해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저금리 상품을 통해 소비자를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이로써 지방은행에서 시중은행으로 전환된 첫 사례가 나오면서 은행권 과점체계에 긴장감을 형성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조성되는 중이다. 다만, 기존 은행의 경쟁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받던 인터넷전문은행들이 기존 은행권과 격차가 상당히 발생했다는 현실을 고려하면 대구은행이 시중으로 전환됐더라도 일정 부분의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우선 대구은행은 시중은행으로 전환되면서 전국적인 영업망이 확충을 우선할 예정이다. 수도권과 경상도권에서만 영업 중인 대구은행은 충청권, 강원권, 호남권, 제주도 등 4개 지역을 우선적으로 영업구역을 순차적으로 확대해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