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무역분쟁에서부터 관세전쟁까지 미국과 중국의 대립이 심화되는 가운데, 미국 의회의 대중국 기술 압박도 강화되고 있다. 지난 4월 16일 미국 하원 산하 ‘미중전략경쟁특별위원회’는 ‘딥시크 조사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딥시크(Deep Seek)를 미국 안보에 중국 안보에 심각한 위협(Profound Threat)라고 기술(記述)했다. 보고서에는 “딥시크 앱은 일반적인 AI 챗봇으로 보이지만, 실상은 중국으로 데이터가 유출되게 하고 이용자들의 보안 취약점을 만들어내며, 중국 법에 따라 정보를 은밀히 검열하고 조작하는 모델에 의존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이 모델이 중국으로 수출이 금지된 미국 반도체 칩을 기반으로 미국 기술을 훔쳐 이용하며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는 점도 문제가 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 보고서는 딥시크와 중국 정부 간의 연결 관계가 중대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딥시크 설립자 량원펑이 중국 정부와 연계된 하드웨어 유통업체, 전략 연구소와 관련돼 있다고 설명했다. 사이버보안업체 ‘페루트 시큐리티’의 조사 결과를 인용해 딥시크가 이용자 데이터를 광범위하게 수집해 부적절하게 이용한다고도 설명했다. 또한, 딥시크가 중국 정부가 소유한 통신업체 ‘차이
"알리바바와 차이나모바일, 미국 블랙리스트 다후아에 5200억 원 투자 검토한다." 로이터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중국의 전자상거래 기업인 알리바바(Alibaba)와 이동통신사업자 차이나 모바일(China Mobile)이 중국 2위 보안 기업인 다후아 테크놀로지(Dahua Technology)에 4억 4300만 달러(한화 약 5200억 원) 규모의 투자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중 무역분쟁이 격화된 가운데 2019년 10월 미국 정부는 중국 2위 보안 기업인 다후아 테크놀로지를 포함한 28개 기업을 블랙리스트(Blacklist)에 등재시켰다. 블랙리스트 기업들은 미국 정부의 허가 없이 미국 기업과 거래할 수 없다. 이에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Tiktok)이 IT 기업 오라클(Oracle)과 매각 협상에 들어가기도 했다. 다후아는 CCTV와 지문 인식 기기 등 보안 장비 기업이다. 신장자치구의 위구르족에 대한 인권 탄압을 이유로 블랙리스트에 등재됐다. 차이나 모바일은 다후아에 400억 위안(한화 약 6조 9292억 원)의 3년간 사업 발주도 검토 중이다. 알리바바와 차이나 모바일이 다후아에 투자를 검토 중인 이유는 중국 정부의 스마트시티 50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