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김재신)는 11월 13~16일 킨텍스 제2전시장 6홀에서 ‘2025 아세안 무역전시회’를 개최한다. 11월 11일부터 16일까지 서울과 제주 ‘한-아세안 올레 10개국 벤치 조성 기념식’ ‘한-아세안 미디어 포럼’ 행사에 이어 일산에서 ‘2025 아세안 위크(ASEAN Week 2025)’를 이어간다.. 이번 전시회는 2014년부터 매년 열려온 한-아세안센터의 대표 무역 진흥 프로그램이다. 아세안 회원국의 80여 개 식음료 기업이 참여해 각국의 대표 상품을 소개하고 한국 바이어들과의 비즈니스 상담을 통해 파트너십을 모색한다. 전시장은 △식음료 부스 전시존 △아세안 국가 홍보관 △B2B 비즈니스 미팅존 △아세안 마켓존으로 구성된다. 각국 부스에서는 카야잼, 커피, 쿠키, 초콜릿, 말린 과일 등 아세안을 상징하는 다양한 식음료 제품을 소개하며, 비즈니스 미팅존에서는 국내 바이어와 아세안 기업 간의 1:1 상담이 진행될 예정이다. 김재신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은 “이번 전시회를 통해 아세안 식음료 제품의 인지도를 높이고 민간 차원의 교류가 더욱 확대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 스타벅스와 은행 관계를 보면 미래가 보인다." 지난 5일, 6일 이틀간 경기도 일산에 위치한 킨텍스에서 IT 기반의 미래 산업을 전망하는 '테크핀 아시아 2019'가 열렸다. 한대훈 SK증권의 증권 분석가는 '스타벅스와 은행'을 주제로 테크핀 산업의 발전에 대한 흥미로운 논점을 제시해 주목했다. 스타벅스는 현재 일부 매장에서 휴대폰으로 바로 주문 결제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을 이끌 아이템으로 주목받던 핀테크(Fintech)는 점차 시간이 지나면서 테크핀(Techfin)이라는 단어가 그 위치를 대체하고 있다는 것. 2016년 알리바바 창립자인 마윈 회장은 “핀테크는 금융 시스템 기반 위에 ICT를 접목시킨 것이고, 테크핀은 ICT 바탕 위에 금융시스템으 구축한 서비스다”라고 핀테크와 테크핀의 차이를 설명한 있다. 그는 "테크핀의 필요성에 대해서 현재 전 세계 25억 명의 사람들이 은행을 방문하기 어렵고, 17억 명은 은행계좌가 없다. 하지만 그 중 70%는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모바일을 통한 금융 서비스 제공이 중요하다"고 분석했다. 대표적인 예가 아프리카 케냐에서 시행하는 '엠페사(M-Pesa)'이다. 케냐 최대 이동통신사인 사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