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3일 미국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이 국부펀드 설립을 지시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또한, 미국 국부펀드는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 문제 해결에 국부펀드를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DC 백악관 대통령 집무실인 오벌오피스에서 미 재무부와 상무부에 국부펀드를 만들 것을 명령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행정명령 서명에는 재무부 스콧 베센트 장관과 상무부 하워드 러트닉 장관이 함께했다. 트럼프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기자들에게 “우리는 아마 틱톡(TikTok)과 무엇을 할 수도, 하지 않을 수도 있다.”라면서 “우리는 틱톡을 국부펀드에 넣을 수도 있다. 아니면 다른 부유한 사람들과 협력할 수도 있는 등 많은 선택지가 있다.”라고 말했다. 중국 기업 바이트댄스가 소유한 소셜미디어 틱톡(Tiktok)은 지난 2024년 4월 안보를 이유로 상원이 의결한, 일명 ‘틱톡금지법’ 때문에 미국에서 퇴출 위기에 처해 있다. 이 법은 바이트댄스가 미국 사업권을 매각하지 않으면 미국 내 서비스를 금지하도록 했는데,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20일 취임하며 이 법을 75일간 유예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트럼프
미국 워싱턴 항소 법원이 중국계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매각하도록 한 법률이 합헌이라고 판결했다. 틱톡(Tiktok)은 재항고에 나선다면 매각 여부는 대법원 결정에 따라 정해지게 된다. 지난 12월 6일 워싱턴DC 항소 법원은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기한 안에 매각하지 않으면 미국 내 서비스를 중단토록 한 법률이 합헌이라고 판단하고 해당 법률에 대한 위헌 확인 소송을 기각했다. 미 법무부는 중국에 모기업인 ‘바이트댄스’ 본사가 있는 틱톡이 중국 정부의 영향을 받을 수 있어 국가안보와 관련한 우려가 있다고 주장했고 워싱턴 법원은 이를 인용했다. 미국 법무부는 중국 정부가 틱톡을 통해 미국인 데이터를 유출하거나 틱톡을 통해 미국인 여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틱톡은 표현의 자유를 명시한 미국 수정 헌법 제1조를 거론하며 모기업과 틱톡 앱 사용자의 기본권이 해당 법률에 의해 침해됐다고 주장했다. 틱톡은 재항고를 할 예정인 만큼 틱톡 내 미국 사업 매각 여부는 연방 대법원에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미국 의회는 지난 4월 틱톡 미국 사업권을 강제로 매각하는 법률을 통과시켰다. 틱톡 모회사인 ‘바이트댄스’에 최대 270일, 미국 대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