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 국가 중 세계 3번째 큰 나라의 8번째 대통령인 프라보워 수비안토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임기 100일을 맞았다. 특히 일간 리트방 콤파스 조사에서는 집권 후 지지율이 80% 달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하지만 셀리오스(경제법연구센터, Celios)의 조사에서는 프라보워에게 10점 만점에 5점을, 그의 부통령 지브란 라카부밍 라카에게는 3점이라는 낮은 점수를 주면서 다른 결과가 나왔다. 콤파스와 셀리오스가 다른 방법을 채택함에 따라 불일치는 논쟁의 여지가 없지만 프라보워 행정부의 첫 3개월은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한다. 자카르타 포스트는 1월 28일자로 취임 100일 논쟁적인 포인트를 정리했다. ■ 한 정당 제외 하원 모든 정당 ‘무지개 내각’으로 논쟁 촉발 프라보워는 지난해 10월 21일 취임했다. 이미 하원에 앉아 있는 한 정당을 제외한 모든 정당의 정치인들과 동맹국, 자원봉사자들로 구성된 큰 ‘무지개 내각’을 구성함으로써 일찌감치 논쟁을 촉발시켰다. 인도네시아 국기 색상에서 착안해 "메라 뿌띠(Merah Putih, 빨간색과 흰색) 내각으로 명명했다. 장관 48명, 장관급 7명, 차관 56명으로 적백 내각은 다양성을 자랑하지만 비효율성, 권한 중복,
프라보워 수비안토(Prabowo Subianto, 74)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취임 후 100일을 맞았다. 무료 영양 식사 프로그램의 시행이 삐걱임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이미지를 통해 약 80%의 압도적으로 긍정적인 지지율을 얻어내고 있다. 자카르타 포스트는 2025년 1월 29일자에서는 ‘프라보워는 취임 첫 100일 만에 조코 위도도(Joko Widodo, 64)의 유산을 벗어났다’고 라디야 인드라의 분석기사를 썼다. 이 기사에서는 프라보워가 “확고하고, 지휘력 있고, 용감하고, 현명하다”는 이미지를 구축했다고 분석했다. 아래는 라디야 인드라의 분석기사를 인용한 기사다. ■ BRICS 회원국 동남아 최초 가입...세계 지도자 맞선 능력 각광 프라보워와 조코위의 첫째 아들인 기브란 라카부밍 라카(Gibran Rakabuming, 38) 부통령의 새 행정부는 28일에 100일째를 맞았다. 여론 조사 기관인 인디카토르 폴리틱 인도네시아와 리트방 콤파스에 따르면, 프라보워는 지금까지 약 80%의 압도적으로 긍정적인 지지율을 받았다. 이 수치는 조코위가 2015년 대통령으로 취임한 첫 몇 달 동안의 지지율보다 약 18%포인트 높고, 지난해 행정부 말기의 지지율보다 5%
“조코위 장관 중 절반인 17명을 다시 기용해 정책 연속성-안정성을 꾀했다” 민주주의 국가 중 세계 3번째 큰 나라의 8번째 대통령 프라보워 수비안토 신임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10월 21일 자카르타 대통령궁에서 부총리급 조정장관 5명과 장관급 48명을 임명하고, 새 내각의 출범을 공식적으로 알렸다.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프라보워 대통령은 20일 취임식을 마친 후, 다음날 저녁에 새 내각을 발표했다. 새 내각의 이름은 인도네시아 국기 색상에서 착안해 "메라 뿌띠(Merah Putih, 빨간색과 흰색) 내각으로 명명했다. 메라 뿌띠 내각은 장관과 정부 기관장 등을 합치면 총 109명에 이르는 대규모 내각이다. 이번 내각 인원 수는 인도네시아 사상 최대 규모다. 앞서 조코 위도도(조코위) 대통령 정부 당시의 장관은 34명이었다. 프라보워 대통령은 취임 전부터 인도네시아가 크고 다양한 국가임을 고려하면 대규모 연립정부 구성이 필요하다면서 정부 부처와 장관직을 늘리겠다는 뜻을 나타내왔다. 그는 여러 기존 부처 분할 등의 방식으로 식량 조정부, 인프라 조정부, 투자·전방사업부 등의 부처와 기관들을 신설했다. 이번 내각에는 프라보워를 지지하는 7개 정당 연합 소속
인도네시아 대통령 선거(대선)의 경주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2004년 첫 대통령 직선제가 실시된 이후 다섯 번째 대통령 선거다. 2024년 2월 14일 인도네시아의 운명이 갈린다. 인도네시아 대통령 선거는 약 2억 7000명으로 세계 인구 4위의 세계 최대의 민주주의 이벤트다. 인도네시아는 2019년부터 비용 절감을 위해 국회의원 선거와 대통령 선거를 한 번에 실시했다. 넓은 영토에서 많은 인원이 참석하는 선거 진행에 세계가 주목했다. 이 선거를 위해 약 700만 명의 선거 관리 인원이 동원되었다. 선거 관리와 투-개표 과정에서 272명이 과로로 사망했다. 그 5년 후인 2024년 2월에 인도네시아의 국회의원, 대통령 선거가 실시된다. 대선 판도는 프라보워-간자르-아니스 3강 구도다. 현재(2023년 11월)는 프라보워가 각종 지지율 조사에서 1위로 앞서고 있다. 프라보워(Prabowo Subianto, 72)는 조코위(Joko Widodo, 62) 대통령의 장남인 ‘기브란(Gibran Rakabuming, 36)’을 부통령 후보 러닝메이트로 지정하며 대선 경주의 초반 기세를 잡았다. 조코위 대통령은 직선제로 당선된 첫 민간인 출신 대통령이다. 그가 자기당
“동남아시아서는 여전히 권위주의가 대세다. 인도네시아와 태국은?” 전북대 인문사회관서 열린 25일 동남아학회학술대회(8월 25~26일) 고려대 아세안센터 패널에서는 서정인(고려대) 전 주아세안대사 사회로 ‘동남아시아 정치현안’을 발표했다. 신재혁, 한준영(고려대)는 ‘두려움과 권위주의에 대한지지: 인도네시아 실험연구’, 길정아(고려대) 박정훈(서강대)은 ‘이슬람주의와 민주적 지지의 다차원성: 인도네시아 사례를 중심으로’. 이정우 길영아는 ‘태국의 세대 정치: 2030 세대의 미래전진당’을 다뤘다. 동남아시아의 경우 2023년 7월 현재 11개국 가운데 4개국인 동티모르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만 민주주의로 분류된다. 나머지 일곱 개국은 민주주의 후퇴로 본다. 직접 선거, 복수 정당, 야당 허용 등이 기준이다. 중산층과 자본가가 성장하면서 경제가 성장하면 민주주의 가능성이 더 커진다는 것이 근대화이론이다. 왜 2022년 1인당 국민총생산(GDP) 4788달러-4164달러 비슷한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은 민주주의와 권위주의로 갈릴까? 왜 근대화이론은 동남아에서 적용하기 어려울까? ■ 싱가포르는 경제수준이 높지만 민주주의 국가는 아니다? 왜 신재혁 정치학과
“2024년 2월 인도네시아 대선, 신(神)은 누구의 손을 들어줄까.” 인도네시아의 차기 대통령 선거가 6개월로 다가왔다. 2024년 2월 14일이면 2억 8000만 명의 인구대국 4위 인도네시아를 5년동안 이끌어갈 새 지도자가 선출된다. 2014년 이후 조코위(Joko Widodo, 62) 대통령이 9년 동안 인도네시아 정치를 이끌어왔다. 지지율도 여전히 70%대로 고공행진이다. 하지만 이제 대통령궁은 새 주인을 위해 채비에 들어갔다. 조코위 집권 연합은 현재 7개 정당과 함께 한다. 의회 의석의 81%를 장악했다.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헌법상 3연임이 불가하다. 조코위는 출마를 못한다. 그의 임기는 내년 2월 대선을 치르고 이후 새 대통령이 취임하는 10월까지다. 정치미디어 포린 폴리시(foreignpolicy)는 지난 5월 기획에서 “인도네시아 선거에는 정책이 거의 없다. 과두정치 집단과 당의 보스들이 누구를 지지할 것인지가 관심사다. 일종의 확장된 인기 콘테스트”라고 벤 블렌드(Ben Bland) 채텀 하우스(Chatham House) 아시아 태평양 프로그램 책임자의 말을 인용했다. 이 기획의 주요 포인트는 간자르 프라노워(Ganjar Pranow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