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올레는 한국의 ‘걷기 열풍’의 시작이자 끝인 대표적인 길이다. 제주 출신 언론인 서명숙 이사장이 스페인 산티아고순례길 을 돌고 와서 제주올레길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특히 아왜낭목이 있는 월평마을에서 대평포구까지 19.6km, 제주올레 8코스는 가장 사랑받는 코스 중 하나다. 이 길이 한국뿐이 아니라 아세안 10개국으로 활짝 열린 건 지난해 11월 8일 제주 서귀포 중문관광단지 내 주상절리 인근서 열린‘한-아세안 올레 제막식’때였다. 이를 주도한 이가 김재신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이다. 취임 당시 기자를 만나 ‘깜짝할 뉴스’를 귀띔했는데 실제로 ‘제막식’을 통해 베일을 벗었다. 김재신 사무총장은 제막식에서 “제주올레는 한국의 대표 트레킹 코스다. 제주의 아름다운 자연을 보여준다. 한-아세안 올레는 35년 깊은 우정을 닮은 길이다”이라고 말했다. 지난해는 한-아세안센터의 창립 15주년이었다. 또한 ‘한-아세안 대화관계 수립 35주년’을 맞아 비엔티안에서 열린 제 25차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양측 관계를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로 승격된 해였다. ‘한-아세안 올레’명명식에 참석한 10개 대사 중 전 마리아 테레사 디존-데 베가 주한필리핀 대사는 축사를 통해
김재신 전 주필리핀 대사가 4월 16일 한-아세안센터 제6대 사무총장으로 취임했다. 김 사무총장은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1979년)하고 1980년(외무고시 14회) 외교부에 입부하여 외교통상부 아시아태평양국장과 차관보, 주독일 대사 등 약 40년간을 직업외교관으로 활동하였다. 2024년은 한-아세안센터 창립 15주년과 한-아세안 대화관계 수립 35주년이 되는 해다. 특히 하반기에 개최될 한-아세안 정상회담에서 한-아세안 관계를 ‘포괄적 전략 동반자관계(Comprehensive Strategic Partnership, CSP)’로 격상을 추진하는 중요한 해이다. 이러한 뜻깊은 시기에 취임한 김 신임 사무총장은 풍부한 외교 경험과 아세안에 대한 전문성을 발휘하여 한-아세안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하고 공동 번영과 호혜적인 협력을 지향하는 새로운 차원의 한-아세안 관계로 발전시키는 데 커다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아세안센터는 2009년 3월에 한국과 아세안 간 교역 증대, 투자 촉진, 문화-관광 협력 확대 및 인적 교류 활성화를 목적으로 출범한 정부 간 국제기구로, 회원국은 한국과 아세안 10개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김재신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