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 재무부(Bureau of the Treasury)에 따르면 필리핀 국가부채가 4월 말 기준 13조 8,600억 페소(원화 약 324조 468억 원)보다 0.4% 증가한 13조 9,100억 페소(원화 약 327조 1,632조 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는 지난 5월의 13조 8,600억 페소(원화 약 20조 2,272억 원)보다 0.4% 증가한 수치지이며 연간 기준으로 12조 7,600억 페소(원화 약 300조 1,152억 원)에서 9% 증가한 수치다. 국가의 미상환 부채가 14조 페소 수준으로 마감되어 MIF(Maharlika Investment Fund)가 주요 인프라 프로젝트에 자금을 조달하고 결국 정부 부채를 줄여야 한다는 압박이 가중되고 있다. 지난 4월에만 필리핀 정부는 외채 순발행과 미국 달러 대비 현지 통화 평가절하로 인해 542억 4000만 페소(원화 약 1조 2,757억 원)의 신규 채무를 추가했다. 이로써 마르코스 행정부의 부채는 10개월 만에 1조 1,100억 페소(원화 약 26조 1,072억 원)에 달했다. 현재 부채 더미는 현재 2023년 말까지 예상 부채 14조 6300억 페소(원화 약 344조 976억 원)의 약 9
“코로나19 쇼크로 무역도, 관광도 산업도 총체적 난국이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필리핀 경제도 휘청거리고 있다. 재무부 장관이 한시적 현상일 뿐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이미 부정적인 경제적 예상이 쏟아지면서 경제 침체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필리핀 재무부(DOF) 카를로스 도밍게즈(Carlos Dominguez) 장관은 "사스(SARS)와 신종플루 사태와 같이 관광객 감수가 한시적인 현상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중국 우한의 폐쇄로 인한 물류 정체 및 대중 수출 역시 일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필리핀 중앙은행(BSP)은 경기 침체 상황에 선제적 대응을 위해 금리를 0.25%p 인하하고, 환매조건부채권 매도는 4%에서 0.25%p 내린 3.75%로, 하루 예금 금리는 3.25%로, 대출 금리는 4.25%hf 인하했다. 중앙은행 벤자민 디오크노(Benjamin Diokno) 총재는 “기업의 차입비용을 낮춰 경제활동뿐 아니라 대출 증가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필리핀 현지 언론인 비즈니스 월드(Business World)는 2019년 11월 기준 피리핀 1위 수입국이 중국임을 지적하며 무역 피해가 클 것임을 우려했다. ◆ 1조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