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월 7일 중국의 드론 기업 DJI가 로봇청소기를 출시할 예정이다. 로봇청소기에 적용되는 경로 계획, 비전 인식 및 장애물 회피, 고성능 모터와 라이다 등 기술이, DJI가 드론을 개발하며 수 년간 축적해 온 기술과 일치하기 때문이라는 게 진출 배경이다. DJI는 이미 4년 간 로봇청소기를 개발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개발일정이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2025년 중순에 로봇청소기가 출시될 전망이다. 가격은 시중 고급 로봇청소기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DJI는 로봇청소기 발표를 이미 최소 2차례 이상 연기했으며, 지난 2023년에 1번, 2024년 5월에 한번 제품을 출시 직전 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로봇청소기 출시설에 대해 DJI는 “미출시 제품 및 관련 루머에 대해 코멘트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DJI는 로봇청소기 등 상품을 통해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을 추진할 방침이다. 지난 2016년 DJI의 창업자 겸 CEO인 왕타오는 “드론 시장이 포화 상태에 가까워 DJI의 매출이 200억 위안(원화 약 3조 8,700억 원)에 도달하면 정상에 도달한 것일 수 있다.”고 인터뷰했다. 다양한 제품으로 사업을 확장한 DJI의 2022년 매출은 301
지난 11월 7일 중국 드론기업 ‘DJI’는 드론 FPV(1인칭 시점) 조종기 ‘DJI 고글 N3’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고글 N3는 드론 ‘네오’, ‘아바타2’와 호환된다. DJI RC 모션31를 사용해 손목을 움직이거나 머리를 기울이면 360° 플립과 롤, 180° 측면 드리프트, 원탭 파워 루프 등 비행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DJI 고글 N3는 넉넉한 내부 공간을 제공해 안경을 착용한 파일럿도 별도의 시력 교정을 위한 디옵터 조정이나 렌즈 설치 없이 편리하게 비행할 수 있다. 헤드밴드와 배터리를 하나로 통합한 디자인으로 무게 균형을 유지하며 가볍고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한다. 풀 HD 1080p 스크린을 탑재해 54° 화각을 구현했으며, 온도와 습도 변화가 큰 환경에서도 내부 팬이 공기를 순환해 김서림을 제거한다. DJI의 고글2 와 동일한 안테나 설계로 첨단 O4 디지털 동영상 전송 시스템을 적용해 간섭 저항 성능을 강화했다. 1080p/60fps 라이브 피드와 평균 31㎳ 초저지연율 및 최대 13㎞ 전송 범위를 지원한다. 환경에 따라 2.4GHz와 5.8GHz 주파수 대역 간 최적의 주파수를 자동으로 선택해 매끄러운 라이브 뷰를 제공한다. DJI
지난 10월 16일 중국 드론기업 ‘DJI’는 여행 사진 촬영을 위한 고급 듀얼 카메라 드론 ‘DJI Air 3S’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Air 3S는 1인치 CMOS 메인 카메라와 70㎜ 미디엄 망원 카메라를 채택했다. 메인 카메라는 기본 5,000만 화소, 1인치 CMOS 카메라와 24㎜ 렌즈로 4K/60fps HDR 및 4K/120fps 동영상 촬영을 지원한다. 10-bit D-Log M 컬러 모드와 70㎜ 미디엄 망원 카메라는 3배 광학 줌을 지원한다. 4,800만 화소, 1/1.3인치 CMOS 센서를 탑재해 메인 카메라와 동일한 동영상 사양・컬러 모드를 보여준다. DJI 드론 중 최초로 정면 라이다를 탑재해 하향 적외선 ToF 센서와 6개 비전 센서를 채택해 야경 촬영 시 전방위 장애물 감지가 가능하다. 빌딩과 같은 장애물을 자동으로 식별하도록 해 야간 사진 촬영 작업 시 안전성을 높여준다. 실시간 비전 위치 추적과 지도 생성 기술을 통해 적정 조명이 있는 경우 비행경로를 기억할 수 있다. 이 기능으로 위성 신호가 없는 위치에 이륙하더라도 안전하게 복귀할 수 있다. DJI 페르디난드 울프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는 “신제품은 전문가급 기능을 제공하는 동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