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세계 3대 채권지수라 불리는 세계국채지수(WGBI)에 편입된다. 2022년 9월 편입 직전 단계인 ‘관찰대상국’ 지위에 오른 이후 2년 만의 일이자 4번째 도전 끝에 편입에 성공했다. 2025년부터 70조 원 이상의 해외 자금이 국내로 유입되면서 환율 안정 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10월 8일 글로벌 지수 제공업체인 영국 파이낸셜타임스스톡익스체인지(FTSE) 러셀은 채권 국가 분류 반기 리뷰에서 한국을 WGBI에 추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1년 가량 유예기간을 거친 후 2025년 11월부터 실제 지수 반영을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세계국채지수’(WGBI)는 ‘블룸버그-바클레이스 글로벌 국채지수’(BBGA)와 ‘JP모건 신흥국국채지수’(GBI-EM)와 함께 3대 세계국채지수로 손꼽히면서 미국, 일본, 영국을 포함해 25개 주요 국가들의 국채가 포함된 ‘채권선진클럽’으로도 불린다. FTSE 러셀은 시장의 규모, 국가신용등급, 시장 접근성 수준 등을 고려해 매년 3월과 9월에 관찰대상국의 편입 여부를 결정한다. FTSE 러셀은 검토 결과 한국의 시장접근성 수준이 기존의 1단계에서 WGBI에 편입할 수 있는 2단계로 재분류됐다고 발표했다.
지난 11월 29일(현지시간) FTSE 100 지수를 제공하는 FTSE 러셀이 8개의 게이지로 구성된 ‘FTSE 글로벌 디지털 자산 인덱스 시리즈’를 발표했다. FTSE 러셀은 영국 증권거래소 그룹의 자회사다. 해당 지수는 투자할 수 있는 유니버스를 정의한다는 목표로 디지텔 에셋 리서치(Digital Asset Research)와 공동 개발해 수백 개의 가상자산 거래소 데이터를 모니터링해 산출했다. FTSE 러셀은 2021년 12월에 가상자산 프로젝트를 담은 디지털 자산 지수를 만들 계획을 공개했다. 43개 자산에 대한 검증 절차를 마치고 최종 목표를 FTSE 100 그리고 러셀 2000 지수와 나란히 하는 규제 준수 디지털 자산 지수를 만들겠다고 했었다.
미국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 다우존스 지수(S&P Dow Jones Indices)와 FTSE 러셀(FTSE Russell)이 중국 기업들을 주가지수에서 제외한다고 밝혔다. 이로서 미중 간의 금융 디커플링 현상이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S&P와 FTSE가 각각 25개의 중국 기업들을 지수에서 제외하는 것은 미국 정부의 행정 명령을 이행하기 위해서다. 지난 6월, 미국 조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 군부와 관련 있는 중국 기업의 목록을 59개로 확대하고 기업에 대한 미국인 투자를 금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추가된 기업에는 업에는 항톈차이훙 드론(航天彩虹无人机, Aerospace CH UAV), 중항항쿵가오커지(中航航空高科技股份有限公司, Avic Aviation High-Technology), 중항중지(中航重机股份有限公司, Avic Heavy Machinery) 등이 포함됐다. 앞서 FTSE 러셀은 감시 카메라 제조업체 항저우 하이크비전(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 Hangzhou Hikvision Digital Technology) 등 중국 기업을 주가지수에서 제외했다. S&P 다우존스는 중국 반도체 장비 제조업체 루오쿵 테크놀로지(箩筐技术有限公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