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G손해보험(이하 ‘MG손보’)을 ‘메리츠화재’에 매각하는 방안이 불발돼 기존 124만 명에 달하는 가입자 보호가 우려되는 가운데, MG손보가 2월에도 3,000명에 달하는 신규 가입자를 모집한 것으로 확인됐다. MG손보 매각 무산으로 청・산파산 가능성이 점쳐졌지만 보호해야 할 가입자가 늘어나는 상황에 금융당국이 복수 계약이전(P&A) 방식으로 피해 최소화에 나설 것이란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지난 4월 1일 MG손보는 지난 2월 자체 판매 채널을 통해 3,000여건의 신규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통상 수준에 비해 줄긴 했지만 일간 기준으로 여전히 수백건의 보험 계약이 체결되고 있는 셈이다. 지난 2022년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이후 판매 비중이 컸던 법인보험대리점(GA) 채널에선 판매가 거의 이뤄지진 않으나, 자체 채널을 통해 여전히 월 수천건의 계약이 이뤄지고 있다. MG손보 관계자는 “과거 대비 영업 규모가 많이 줄어 (MG손보의) 계약 건수는 대형 손해보험사들과 비교해 상당히 적은 편.”이라면서도 “그래도 최소 수백명의 사람들이 새로운 계약을 통해 MG손보 보험에 들어오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기존 가입자의 불안이 커지는 상
MG새마을금고중앙회가 MG손해보험과 ‘MG’ 상표권 사용 계약을 연장한다. 중앙회는 매각 중인 MG손보에 ‘MG’ 브랜드를 계속 사용할지 검토한 결과 원활한 매각을 위해서는 당분간 브랜드 유지가 필요하다고 결론을 내렸다. 다만 매각 후에는 MG 브랜드를 떼어낼 가능성이 높다. 지난 12월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새마을금고중앙회는 12월 31일 계약 만료를 앞두고 있는 ‘MG손보’와의 ‘MG’ 상표 계약을 연장하기로 했다. 상표권 사용료는 연간 약 15억 원 규모로, 1년 단위로 MG손보와 상표권 계약을 연장해왔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지난 2013년 ‘자베즈파트너스’가 운영하는 펀드에 약 800억 원을 출자하면서 재무적투자자로 참여해 ‘MG손보’를 실질적으로 인수했다. 이후 수년간 MG손보의 정상화를 위해 약 2,800억 원을 추가로 투입했다. 2020년 ‘JC파트너스’가 ‘자베즈파트너스’로부터 최대주주 자리를 이어받을 때 중앙회는 300억 원을 추가 출자해 현재까지 MG손보에 투자한 규모만 약 4,000억 원을 돌파했다. 새마을금고중앙회 관계자는 “MG손보의 경영 상태 악화로 지금까지 투자한 원금에 대한 회수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해 회계상 전액 손실 처리를 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