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베트남 축구 국가대표를 맡은 박항서 감독의 스즈키컵 우승은 베트남과 한국의 거리를 한층 좁히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한 사람의 민간대사가 누구도 못해낸 문화 외교의 금자탑을 쌓았다. 베트남은 지난 20년 여 동안 동남아시아 한류의 교두보로서 한국과 친밀한 관계를 진전시켜 왔다. 드라마와 영화 등 한류 문화콘텐츠, ‘국민영웅’이 된 박항서 감독, 방탄소년단(BTS) 등의 맹활약으로 베트남 국민들의 코리아 브랜드 선호도는 더욱 높아졌다. 베트남은 한국에게 어떤 나라인가. 외세의 침략과 분단 등 역사적 경험의 유사성과 근면과 부지런함과 유교사상, 며느리의 나라이기도 하고 2세들에게는 엄마의 나라다. 이제는 젊은이들이 쉽게 자연스럽게 커플이 생기는 등 한층 가까워진 귀한 나라가 되었다. 한베콘텐츠협회와 함께 ‘2019년 신년 기획 특집 –베트남이 달려온다’ 3부작을 마련했다. 제 1 부. 문화로 가까워진 베트남 - 한베 문화콘텐츠의 기회의 물결 한국과 베트남은 2019년 새해 양국 수교 27주년을 맞이한다. 외교 관계로는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유지하면서, 경제적으로 한국은 베트남 투자 1위 국가다. 베트남은 한국의 세계 4번째, 아시아 2위 교
[전충헌의 콘텐츠 한류] 아세안 콘텐츠 한류의 배경과 전망 아세안 국가를 중심으로 지난 20년 여 동안 가열차게 불어온 한류 열풍은 K-POP 만이 아니었다. 필자는 한류를 청계천, 양재천의 작은 지류가 아닌 한강의 스케일과 힘찬 흐름을 한류라고 본다. 이러한 한강과 같은 스케일로 아세안 글로벌 한류 열풍이 불어 왔다. 그럼 이는 어떻게 가능했는가? 하는 점이다. 식민지와 한국전쟁으로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라는 이미지로 각인되던 나라에서, 선진국의 식량 원조를 받아야만 국민들의 보리고개를 넘을 수 있던 나라에서 어떻게 한류가 가능했는가 이다. 1990년대 후반까지 문화적으로 일본의 영향권에서 여전히 머물러 있던 나라가 어떻게 2000년 전후 갑자기 ‘한류’라고 하는 명칭을 얻기까지 되었는가? (한류라는 명칭 자체가 외국에서 그러한 뉘앙스로 시작하였음. ) 아세안 국가 등 전 세계의 전문가들은 이러한 한류 현상을 특별한 현상으로 바라보고, 심층적으로 연구하게 된다. 아세안 국가의 입장에서 볼 때, 자국의 원조를 받았던 나라, IMF 경제금융위기까지 겪었던 나라가 “문화콘텐츠 발신국가”가 되며 젊은이들의 로망이 되는 나라가 되었는가 하는 “연구대상 제 1 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