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월 19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센터장 김경환)는 교내 취창업관에서 ‘경상북도 특성화 분야 채용 박람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박람회는 고용노동부의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사업’과 ‘지방대학활성화사업’의 일환으로 시행되었으며, 행사에 1,000여 명의 학생들이 방문했다. 박람회의 목적은 학생들의 취업 경쟁력을 높이고, 지역 기업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번 박람회에는 ▲HK이노엔㈜ ▲국민건강보험 ▲평화홀딩스㈜ ▲씨아이에스㈜ ▲㈜세원물산 ▲㈜한중엔시에스 ▲㈜세신정밀을 비롯하여 ▲경북대학교치과병원 ▲대구의료관광진흥원 ▲한국의학연구소 대구검진센터 ▲대구경북고용복지연구원 ▲함장종합사회복지관 등 총 12개 기관 및 기업체가 참여하였다. 참여 기업들은 채용 상담부스를 운영하여 학생들에게 기업 소개 및 채용 정보를 제공했다.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는 이미지메이킹을 통한 퍼스널 컬러 찾기, 청년고용정책 및 진로 취업 서비스 안내, 진로취업 현장 컨설팅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학생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김경환 센터장은 “이번 박람회를 통해 학생들이 지역 기업의 우수성과 좋은 제
지난 11월 26일 영국 가상자산 거래소 아책스(Archax)가 XRP레저에 영국 자산운용사 애버딘(abrdn)의 토큰화된 머니마켓펀드(MMF)를 도입했다고 밝혔다. 애버딘의 머니마켓펀드(MMF)는 약 38억 달러(원화 약 5조 6,088억 원) 규모인 애버딘 유동성 펀드의 일부로 XRP 레저에 도입된 최초의 MMF다. MMF가 XRP레저에 도입되면서 리플은 자본 시장에서 인프라를 구축하고 운영 비용 절감과 결제 효율성을 높이는데 한단계 진전이 있었다고 발표했다. 글로벌 컨설팅 기업 맥킨지에 따르면 토큰화된 MMF의 운용 자산 규모는 10억 달러를 돌파했다. 토큰화된 자산의 규모는 2030년까지 16조 달러(원화 약 2경 3,616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리플은 500만 달러(원화 약 73억 8,000만 원)를 애버딘의 Lux 펀드에 토큰으로 할당할 예정이다. 향후 다양한 자산 운용사가 제공하는 XRP 레저의 RWA에 할당할 펀드 일부에 해당한다. 애버딘 던칸 무어(Duncan Moore) 선임 투자 매니저는 “디지털 증권의 광범위한 도입이 차세대 금융 시장 인프라의 진화를 이끌어 나갈 것”이라며 “엔드투엔드(End-to-End) 투자 및 현금
지난 11월 26일 코스피(KOSPIA) 상장사인 현대차증권이 시설자금 등 약 2,000억 원의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주당 6,640원에 신주 3,012만482주(보통주)가 발행된다. 현대차증권은 이번 유상증자를 통해 확보한 자금을 차세대 시스템 개발 등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차증권은 “디지털 전환 가속화와 자기자본 확대를 통해 리테일 및 기업금융(IB) 경쟁력 강화하고 수익성 및 기업가치를 제고할 계획.”이라며 “상환전환우선주(RCPS) 상환 등 차입 규모 축소를 통해 재무건전성 강화에도 나설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유럽 최대 배터리 기업인 노스볼트가 최근 미국에서 ‘챕터11 파산’을 신청했다. 이에, 최대 주주인 폭스바겐이 노스볼트 지분 대부분을 감가상각 처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1월 25일 로이터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폭스바겐’이 ‘노스볼트’ 지분 21% 대부분을 지난 11개월간 감가상각함에 따라 향후 재무적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폭스바겐은 노스볼트에 지난 2019년 9억 유로(원화 약 1조 3,000억 원), 지난 2023년에 5억 유로(원화 약 7,300억 원)를 투자했다. 노스볼트는 폭스바겐뿐 아니라 그룹 내 브랜드인 ▲포르쉐 ▲아우디 ▲스카니아 등과도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폭스바겐은 이번 소식 및 현 기준 노스볼트 지분 가치에 대해 논평하지 않았다. 지난 2023년 연말 기준 폭스바겐은 노스볼트 지분에 대한 장부가액을 6억 9,300만 유로(원화 약 1조 원)로 기재했다. 지난 11월 21일 노스볼트가 미국 텍사스주 남부지방법원에 제출한 챕터11 파산 신청서에 따르면 폭스바겐이 보유한 노스볼트 전환사채는 3억 5,500만 달러(원화 약 5,000 억원)로, 채권 규모가 두 번째로 컸다. 폭스바겐 외 노스볼트 투
㈜금복주가 고물가 시대를 겨냥한 신제품 소주 ‘찐찐’을 출시한다. ‘찐찐’은 현재 시판되는 소주 제품 중 최저가로 책정됐다. 소비자들에게 부담 없는 선택지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지난 11월 24일 ‘㈜금복주’는 가성비와 감성을 고려한 소주 ‘찐찐’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제품명에는 친밀함을 추구한다는 의미가 내포돼 있다. 아울러 ‘우리 사이 더 찐하게’라는 메시지를 담아 소비자와의 정서적 유대감 강화를 시도했다. 찐찐 소주는 천연소재 첨가물과 찹쌀을 활용한 두 가지 증류 원액에, 초미세 분리막 TRI-Water를 블렌딩했다. 알코올 도수 대비 부드러운 목 넘김과 청량감을 자랑하는 제로 슈가(Zero Sugar) 제품으로, 깔끔하고 깨끗한 맛이 특징이라고 금복주는 설명했다. 라벨 디자인엔 감성을 더해 물 흐르듯 자연스러운 곡선으로 처리해 부드러운 목 넘김을 시각적으로 표현했다. 금복주의 상징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전통과 젊은 감각을 조화롭게 담아냈다고 제품에 대해 설명했다. 금복주 측은 “트렌디한 감각과 합리적 가격으로 소비자와 더 가까워지고 싶다.”며 “신제품 ‘찐찐’이 주류 시장에 새 바람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HL홀딩스(회장 정몽원)가 대부분 자사주를 신설 재단에 무상 출연한다는 계획을 철회했다. 자사주를 주주가치 제고 목적으로 취득한 HL홀딩스가 경영권 방어를 위해 설립도 안된 재단에 무상출연하는 꼼수로 주주 및 회사 실적 모두에게 손해를 끼친다는 비판을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 11월 26일 오후 ‘HL홀딩스’는 오후 임시 이사회를 열고 지난 11월 11일 공시한 자사주 47만 193주 출연 결정을 철회했다. 자사주를 출연받기로 한 재단의 설립 방식과 시기 등은 추후 재검토할 예정이다. HL홀딩스 김광헌 대표는 “그룹의 진정한 의도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해 죄송하고 안타깝다.”며 “주주들의 우려를 겸허히 받아들여 자사주 무상 출연 계획을 철회했다.”고 밝혔다. 지난 11월 11일 HL홀딩스는 보유하고 있던 자사주 56만 720주 중 84%에 해당하는 47만 193주를 신설 재단법인에 무상 출연하기로 결정했다. 지난 11월 18일 종가 기준 160억 원 상당의 자사주가 무상출연하게 되면 회사 실적은 손실로 기록된다. 회사의 이익이 줄어들면 주당순이익(EPS)이 줄어들게 된다. HL홀딩스가 2020년과 2021년, 2번 자사주를 취득할 때 내건 ‘주주가치 제고 목적
지난 11월 22일 대구가톨릭대학교(이하 ‘대가대’)는 제르멩관에서 ‘고교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 사업’의 성과공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성과공유회에는 ▲경북기계금속고 ▲경북바이오마이스터고 ▲경북생활과학고 ▲경북세무고 ▲경북휴먼테크고 ▲경산제일고 ▲고령고 ▲구미여자상업고 ▲김천생명과학고 ▲대구과학기술고 ▲대구하이텍고 ▲문경공업고 ▲상지미래경영고 ▲안강전자고 ▲조일고 등 15개 산학협력부 부장 교사 및 취업지원관과 ▲경북산업직업전문학교 ▲고령군 일자리청년창업지원센터 2개 취업 유관기관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번 성과공유회에는 ‘고교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 사업’의 운영 실적 및 우수사례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고교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 사업’은 고용노동부의 2024년 시범사업으로, 대학의 우수한 인프라(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를 활용해 고교생(특성화고 및 비진학 일반계고)의 재학 단계부터 맞춤형 고용서비스를 조기에 지원해 고졸청년의 원활한 노동시장 진입을 촉진하기 위한 사업이다. 대구가톨릭대학교의 고교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 사업을 통해 52개 고교 1,011명의 고등학생이 사업에 참여했다. 2024년에만 59회의 직무역량강화 프로
스웨덴의 전기차 배터리 기업 ‘노스볼트’(Northvolt)의 파산 신청이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Goldman Sachs)에도 영향을 미쳤다. 지난 11월 23일 골드만삭스가 투자자들에게 보낸 서한에 따르면, 골드만삭스의 사모펀드는 노스볼트에 투자한 8억 9,000만 달러(원화 약 1조 2,600억 원)를 연말에 대손처리(貸損處理)할 예정이다. 골드만 삭스의 사모펀드는 7개월 전만 해도 노스볼트의 투자 전망을 낙관적으로 판단했으며 LP(Limited Partner)들에게 노스볼트의 투자 가치가 4.29배에 이르렀다며 2025년에는 6배까지 가치가 늘어날 것이라고 장담했다. 하지만 노스볼트의 파산신청 이후 LP들에게 송부한 서한에서는 골드만삭스는 이 결과에 실망한 다수의 투자자들 가운데 하나지만 분산된 투자의 펀드의 투자 중 하나라며 의미를 축소했다. 지난 2019년 골드만삭스는 설립 4년차인 노스볼트에 투자했다. 노스볼트가 스웨덴 북부 셀레프테오(Skellefteå)에 기가팩토리(Gigafactory)를 준공하면서 10억 달러(원화 약 1조 4,045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고 폭스바겐과 골드만삭스가 참여했다. 노스볼트는 지난 11월 21일 미
대구 수성알파시티가 블록체인 기술을 체감할 수 있는 ‘블록체인 융복합타운’으로 거듭날 전망이다. 수성알파시티는 ‘ABB(인공지능・빅데이터・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혁신기지’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대구시는 최근 추진 중인 'ABB 과학행정'을 뒷받침하는 산업 생태계를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11월 25일 대구광역시(시장 홍준표)는 수성알파시티 내 블록체인기술혁신지원센터에서 ‘ABB 과학행정 구독 서비스 활성화 기업 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에는 대구시 이종헌 정책특보와 대구디지털혁신진흥원 ABB혁신본부 오세일 본부장을 비롯해 지역 ABB 분야 플랫폼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대구시는 ‘블록체인 융복합타운 사업’에 관해 설명했다. 이 사업은 지난 2023년 공식 개소한 블록체인기술혁신지원센터 구축 사업의 후속으로 진행된다. 대구시는 이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공모 신청서를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으며, 올해 안에 선정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블록체인 융복합타운은 블록체인기술혁신지원센터를 중심으로 개별 기업의 서비스를 실증 및 전시하는 형태로 구성될 예정이다. 대구시민들이 쉽게 경험해보기 어려운 블록체인 기술 접목 서비스를 가까이에서 이용해
지난 11월 24일 보령중보재단(이사장 김승호)이 후원하는 종로구 어린이・청소년 오케스트라 ‘하・울(하나의 울림)’의 정기연주회가 서울아트센터에서 개최됐다. 2024년에 7회를 맞이한 정기연주회에는 종로구 지역아동센터 소속 초등 및 중학생 92명이 참여했다. 장 시벨리우스의 핀란디아를 시작으로 비비의 밤양갱, BTS의 Dynamite 등 인기 K-POP을 클래식 형태로 편곡해 선보였으며, 만남중창단과의 특별 협연 또한 이뤄졌다. 만남중창단은 종교간 화합을 위해 4대 종교(개신교, 불교, 원불교, 천주교) 성직자로 구성된 음악 단체다. 종로구는 ㈜보령의 본사가 위치한 지역으로, 보령중보재단은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감수성 함양과 건강한 성장을 돕기 위해 지난 2009년 오케스트라 창단 때부터 후원을 지속해왔다. 결성 당시 악기 구입비 전액을 비롯해 주 1회 레슨비를 후원하고 있으며, 연 3회 추진되는 작은 음악회 및 정기 연주회 또한 지원하고 있다. ‘보령중보재단’은 종로구 12개 지역아동센터 모두에게 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직접 원하는 악기를 골라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 중이다. 이 때문에 아이들의 호응도가 높아 중도이탈자 없이 활동을 이어오고 있으며, 단체의
태국이 소형모듈원자로(SMR) 건설을 위해 법 정비에 나선다. 태국의 에너지 규제 당국과 원전 관련 기관이 협력해 연구를 진행해 2030년대 후반 도입을 목표로 SMR 사업에 박차를 가한다. 11월 24일 방콕포스트 등 외신에 따르면 태국 에너지규제위원회(Energy Regulatory Commission, 이하 ERC)는 이달부터 SMR 사업 수행을 위한 법 제반 조사를 시작한다. 현지 원자력평화사무소(Office for Atoms for Peace)와 규제 연구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할 예정이다.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은 태국 전력청이 주도한다. 태국 정부는 앞서 국가 에너지 계획(2024~2037년)에 SMR을 포함시키고 300㎿ 규모 SMR 2기를 설치하고 2036~2037년 가동한다는 계획을 수립했다. 태국이 SMR에 주목하는 이유는 전력 수급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현재 태국은 천연가스를 활용한 전력 생산 비중이 절반을 넘는다. 그동안 자국 가스전을 통해 수요를 충족해왔으나 매장량이 점차 고갈되면서 생산량 감소가 불가피하다. 캄보디아와 석유 생산 협력도 난항을 겪으면서 양국은 2024년 연초 영유권 분쟁 중인 타이만에서 석유 자원 공
지난 11월 22일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Amazon)이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앤스로픽에 40억 달러(원화 약 5조 6,000억 원)를 추가 투자하기로 했다. 앤스로픽은 보도자료를 통해 “아마존웹서비스(AWS)와의 협력을 확장하고 진보된 AI 시스템을 개발・배치하기 위한 우리의 작업을 강화할 것"이라며 아마존의 추가 투자 계획을 공개했다. 앤스로픽은 아마존의 클라우드 서비스인 아마존웹서비스(AWS)를 우선적으로 사용해 자사 AI 모델을 훈련할 계획이다. 앤스로픽은 오픈AI의 챗GPT, 구글 제미나이와 함께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AI 모델 클로드 개발 스타트업이다. 오픈AI의 창립 멤버였던 다리오 애머데이・대니엘라 애머데이 남매가 2021년 설립했으며, 오픈AI의 최대 대항마로 평가받는다. 이번 투자로 앤스로픽에 대한 아마존의 총투자 금액은 총 80억 달러(원화 약 11조 2,000억 원)로 늘어나게 됐다. 지난 2023년부터 2024년 상반기ᄁᆞ지 아마존은 40억 달러(원화 약 5조 6,000억 원)를 앤스로픽에 투자했다. 지난 2023년 구글(Google)도 대규모 클라우드 계약과 함께 20억 달러(원화 약 2조 8,000억 원)를 투자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