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일게이트가 베트남 국영미디어 그룹 계열사 VTC Online(VTCO)과 게임 플랫폼 ‘스토브(STOVE)’의 베트남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두 회사는 베트남 내 법률과 심의 절차를 준수하는 유일한 오픈 게임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날 체결식에는 백영훈 스마일게이트 홀딩스 메가포트 부문 대표와 양성열 플랫폼 본부장, 레 비엣 호아(Le Viet Hoa) VTCO CEO, 이용득 부사장 그리고 레 꽝 뜨 조(Le Quang Tu Do) 베트남 문화관광체육부 국장 등이 참석했다. 스마일게이트와 VTCO는 협약을 통해 ▲스토브의 베트남 권역 진출 ▲베트남 유일 공식·합법 게임 유통 기반 제공 ▲베트남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외 CP 수급 채널 확보 ▲현지 유망 개발사 발굴·육성을 추진한다. VTCO는 베트남의 국영 미디어 그룹 VTC를 모기업으로 하는 메이저 게임 퍼블리셔다. 게임 퍼블리싱 외에도 페이먼트 서비스·e스포츠 사업·국영 미디어 네트워크 인프라를 보유한 공공성이 강한 기업이다. 스마일게이트 ‘크로스파이어(CROSS FIRE)’의 베트남 서비스(CFVN)를 장기간 진행하며 안정적인 실적과 운영 경험을 축적했다
“휴먼아시아의 인권 활동에 깊은 책임감 느꼈다.” 넷플릭스 시리즈 '슈퍼리치 코리아'에서 1200억 자산가로 화제를 모은 싱가포르 출신 기업가이자 사회공헌가인 데이비드 용(중국명 Yong Khung Lin, 대표)이 아시아 지역의 인권 신장과 취약계층 지원을 위해 국제 NGO 휴먼아시아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내년 런칭 예정인 ‘데이비드용 드림펀드 ((주)아세안랩 운용 전담)’의 첫 협력 사업으로, 향후 아시아 지역의 인권 교육, 인도적 지원, 지역사회 역량 강화 등을 위한 휴먼아시아의 다양한 프로젝트를 지원한다. 휴먼아시아는 아시아 전역에서 인권 보호와 인권 교육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해온 국제 NGO다. 이번 MOU를 통해 데이비드 용 대표는 △인권 교육 확대, △취약계층 및 청소년 대상 지원 프로그램, △지역사회 인권 역량 강화 프로젝트 등의 분야에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할 것을 약속했다. 데이비드 용 대표는 11월 17일 개최된 휴먼아시아의 ‘천사가 천사에게(Angels to Angels)’ 사업 기금 마련 행사에 주요 기부자로 참여해 의미 있는 첫발을 내디뎠다. 그는 “가장 시급한 곳에 가장 실질적인 도움이 전해
비즈니스 데이터 플랫폼 기업 쿠콘(대표 김종현)이 12일부터 3일 간 열린 ‘싱가포르 핀테크 페스티벌(Singapore FinTech Festival, SFF) 2025’에 참가해 차세대 ‘글로벌 페이먼트 서비스’를 선보였다. 쿠콘의 글로벌 페이 서비스는 해외 결제 사업자가 별도의 인프라 구축 없이 한국 시장에서 실시간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혁신 솔루션이다. 해외 사용자는 자국의 결제 앱으로 한국 내 음식점, 카페, 패션, 뷰티 매장에서 QR 코드를 스캔해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다. 전국 4만 대 이상의 ATM에서 원화(KRW)를 즉시 인출할 수 있다. 복잡한 환전이나 계좌 개설 없이 결제와 출금이 모두 가능해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의 결제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쿠콘은 △200만 개 이상의 모바일 QR 가맹점 △10만 개 이상의 대형 프랜차이즈 △4만 대 이상의 ATM으로 구성된 국내 최대 규모의 결제 인프라를 기반으로 전국 어디서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결제 환경을 구축했다.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페이 △로컬 페이 △스테이블코인 플랫폼 등 차세대 글로벌 결제 유통망 구축 전략을 추진하며, 해외 결제 사업자가 한국 시장에
삼성전자 베트남 타이응웬(Samsung Electroics Vietnam Thai Nguyen) 유한회사가 2025년 베트나 최대 기업 1위에 올랐다. 베트남리포트(Vietnam Report)는 온라인매체 베트남넷(VietNamNet)이 공동으로 지난 12일 ‘VNR500-2025년 베트남 500대 기업 및 500대 민간순위 순위’를 발표했다. 베한타임즈 18일자에 따르면 이번 발표에서 상위 10대 기업은 삼성전자 베트남 타이응웬(Samsung Electroics Vietnam Thai Nguyen) 유한회사, 베트남 석유가스그룹(페트로베트남), 베트남석유공사, 빈그룹(Vin Group)주식회사, 비엣텔 통신그룹, 베트남 투자개발은행(BIDV), 아그리은행(Agribank), 비엣인은행(Vietin bank), 베트남석탄광물산업그룹(Vinacomin), 호아팟그룹(Hoa Phat Group) 주식회사 순으로 집계되었다. 삼성전자의 갤럭시 스마트폰 경우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약 50%가 베트남에서 생산해 미국, 유럽, 러시아, 동남아시아 등 128개국에 수출한다. 삼성전자는 베트남에서 가장 큰 외국인 투자자이기도 하다. 베트남리포트의 부당빈(Vu Dang Vin
부산외국어대학교(총장 장순흥) 태국어전공(전공주임 이미지)이 ‘2025 전국대학생태국어경시대회’에서 스피치 부문 참가자 전원이 수상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부산외대 태국어전공은 한국외국어대학교 태국학과(학과장 박경은), 태국어통번역학과(학과장 이병도)와 공동으로 지난 11월 7일 한국외대 서울캠퍼스에서 ‘2025전국대학생태국어경시대회 및 태국문화예술제’를 개최했다. 올해 경시대회는 ‘한-태 관계: 전우에서 전략적 동반자로’를 주제로 진행되었다. 부산외대는 이번 대회 스피치 부문에 박준혁, 진성민 학우가, 쓰기 부문에 1명의 학우가 참가했다. 스피치 부문에 참가한 박준혁, 진성민 학우가 모두 ‘우수상’을 수상하며 태국어 구사 능력과 전문성을 전국적으로 인정받았다. 장순흥 부산외국어대학교 총장은 “부산외대가 특수외국어 교육의 요람으로서 태국어 인재 양성에 기여하고, 우리 학생들이 전국 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두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앞으로도 한국과 태국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이끌어갈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는 데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부산외국어대학교 특수외국어교육사업단을 비롯하여 주한 태국대사관(대사 타니 쌩랏), 태국관광청 서울지사(
“주여, 어디로 가시나이까?”(Quo vadis. 요한복음 16:5) 최근 ‘쿠오바디스, 대한민국’이라는 칼럼을 읽었다. 내용은 자세히 기억나지 않지만, 불확실한 국제 환경 속에서 대한민국의 현재와 미래를 걱정하는 논지였을 것이다. 그러나 이 질문은 비단 우리나라만의 것이 아니다. 트럼프의 미국에도, 그리고 지금의 캄보디아에도 해당된다. ‘쿠오바디스, 캄보디아’라는 제목을 붙인 이유가 있다. 11월 13일 프놈펜에서 열리는 한-아세안 협력 포럼 참석을 위해 김해공항에서 탑승권을 받는데, 항공사 직원의 눈빛이 심상치 않았다. 그는 “얼마 전에도 한 여성이 프놈펜에 간다고 해서 왜 가시냐고 물었더니 남편이 그곳에서 사업을 한다더라”며, '그런 게 아니면 가지않는 게 좋다'는 뉘앙스다. 캄보디아가 높은 여행경보 지역으로 분류되어 있기 때문일게다. 인천공항 환승구역에서도 무장 경찰이 목적지를 재차 확인했다. 과잉의 시대라지만, 이런 ‘과잉 경계’는 씁쓸했다. 캄보디아 전역이 마치 범죄 도시라도 된 듯한 인상이다. 나 역시 여러 차례 공무로 캄보디아를 방문했지만, 이번처럼 경계심이 높았던 적은 없었다. 최근 우리 국민이 온라인 사기에 연루되어 집단 송환되는 사건이 잇
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김재신)는 11월 13~16일 킨텍스 제2전시장 6홀에서 ‘2025 아세안 무역전시회’를 개최한다. 11월 11일부터 16일까지 서울과 제주 ‘한-아세안 올레 10개국 벤치 조성 기념식’ ‘한-아세안 미디어 포럼’ 행사에 이어 일산에서 ‘2025 아세안 위크(ASEAN Week 2025)’를 이어간다.. 이번 전시회는 2014년부터 매년 열려온 한-아세안센터의 대표 무역 진흥 프로그램이다. 아세안 회원국의 80여 개 식음료 기업이 참여해 각국의 대표 상품을 소개하고 한국 바이어들과의 비즈니스 상담을 통해 파트너십을 모색한다. 전시장은 △식음료 부스 전시존 △아세안 국가 홍보관 △B2B 비즈니스 미팅존 △아세안 마켓존으로 구성된다. 각국 부스에서는 카야잼, 커피, 쿠키, 초콜릿, 말린 과일 등 아세안을 상징하는 다양한 식음료 제품을 소개하며, 비즈니스 미팅존에서는 국내 바이어와 아세안 기업 간의 1:1 상담이 진행될 예정이다. 김재신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은 “이번 전시회를 통해 아세안 식음료 제품의 인지도를 높이고 민간 차원의 교류가 더욱 확대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를 상상되는, ‘비 오는 오후의 정적’ 같은 시집이 나왔다. 사공 경 한·인니문화연구원장은 시인이다. 직업이 아닌 사람이 시가 되는 천생시인이다. 그는 인도네시아 전통 문양으로 알려진 바틱(batik) 연구자다. 한세예스24 초청전 등 다수의 전시도 했다. 한 땀 한 땀 시를 쓰는 것처럼 바틱의 문양과 매력은 작품으로 승화된다. 그는 “바틱은 인도네시아 그 자체”다. 옷감을 다양한 색과 문양으로 물들이는 염색의 방식 중 하나가 바틱이다. 바틱은 옷이지만 문화를 온전히 간직하고 유지된다. 그래서 그에게 시를 쓰는 일이란 역사를 감싸는 한 조각의 천을 짜는 일이거나 신 앞에서 헐벗은 마음으로 그리는 바틱 문양과도 같았다. 그는 “바틱 장인이 기도하는 마음으로 천 위에 말람(초)으로 쓰고 덮고 염색하고 다시 삶아내듯, 나 또한 언어로 마음을 새기고 덮고 다시 기도하는 과정을 수없이 반복했다”고 고백한다. 자카르타, 식민의 이름으로는 바타비아. 고통과 식민의 기억, 정치적 폭력, 회복과 기도가 뒤엉켜 있는 도시에서 그는 순례자를 자처했다. 누가 바틱은 인도네시아의 정신이라고 했던가. 인도네시아에는 이미 공식 석상에서 단 한 번도 바틱 의상을 착용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