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투스가 계열사 크릿벤처스와 함께 콘텐츠 IP(지식재산권) 기반 컴퍼니빌더(Company Builder) 콘텐츠테크놀로지스(Contents Tecnologis)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했다. 지식재산권 기반으로 기술과 자본이 통합된 차세대 콘텐츠를 창출하는 콘텐츠테크놀로지스는 가치있는 IP 자산에 투자해 다양한 테크 기업들과 함께 차별화된 IP 기반 콘텐츠 및 서비스 개발을 추진 중에 있다. 현재 3,000억 원 규모의 음원 IP 자산운용액(AUM)을 보유한 국내 음원 IP 자산운용사 비욘드뮤직 등 7개의 음원‧콘텐츠 IP기업을 컴퍼니빌딩 하고, 20개 이상의 콘텐츠 스타트업들과 전략적 협업 관계를 구축했다. 지난 9월 한국 K-POP 엔터테인먼트 기업에 투자하는 ‘KOPO ETF’를 뉴욕증권거래소에 출시하기도 했다. 현재 콘텐츠 밸류체인을 기반으로 게임을 넘어 음악, 영화, 드라마 공연 등 글로벌 종합 콘텐츠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는 컴투스는 이번 투자를 통해 음원 분야에 대한 파트너십 생태계 확장을 통해 협력 사업 기회를 마련할 계획이다. 계열사인 크릿벤처스 역시 케이넷-크릿 콘텐츠투자조합을 통해 이번 투자 라운드에 참여해, 그룹 차원에서의 협력 시너지도 창
마이크로소프트(MS)의 벤처 펀드인 M12가 스페이스앤타임(Space and Time)에 2,000만 달러(원화 약 286억 원) 규모의 전략적 투자를 집행했다. 코인데스크(Coindesk)에 따르면, M12가 블록체인 데이터 플랫폼 활성화를 목적으로 스페이스앤타임에 전략적 투자를 결정하면서 M12펀드 외에도 아발란체, 폴리콘, 프레임워크 벤처스, 해스키, 포어사이트 벤처스, 세븐엑스벤처스도 함께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스페이스앤타임은 중앙화된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기반 트러스트리스(Trustless) 데이터 소스로 바꿔는 데이터플랫폼 스타트업으로 온체인과 오프체인을 결합해 중개자의 개입 없이기업 규모의 데이터 분석을 지원하는 멀티체인 플랫폼이다. 현재는 데이터를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직접 분석할 수 있는 SQL증명(Proof of SQL)을 개발하는 중이다. 스페이스앤타임은 지난 7월 시드 투자에서 1,000만 달러(원화 약 143억 원) 투자를 유치한 지 약 2달만에 다음 라운드 투자를 유치하게 됐다. M12는 이번 전략적 투자를 통해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인 ‘마이크로스프트 애
아이돌봄 에듀테크 스타트업 ‘째깍악어’가 160억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 시리즈B란 사업확장 단계에서 받는 투자를 의미한다. 이번 투자에는 LG유플러스, NH헤지자산운용, 하나증권, 기업은행이 신규 투자자로 참여하고 교보증권, KB증권, 우미가 후속 투자자로 참여했다. 째깍악어는 부모와 아이 돌봄 교사를 이어주는 온라인 보육 플랫폼을 개발했다. 째깍악어 앱을 통해 돌봄 교사의 프로필과 댓글, 동영상 프로필을 확인하고 원하는 교사를 선택해 희망하는 시간과 장소로 부를 수 있다. 지난 2016년 첫 서비스를 시작한 째깍악어는 연평균 90%가 넘는 부모회원 수 성장과 110%의 교사회원 수 증가에 힘입어 현재 23만명의 부모회원과 11만명의 교사회원을 보유하고 있다. 2022년 8월까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약 3배 가까이 성장했으며 오프라인 째깍섬 키즈센터도 2022년에 4곳 추가 오픈해 총 7개 센터를 운영 중이다. 이번 투자를 바탕으로 째깍악어는 △아동별 개인화 서비스 고도화 △캐릭터 IP를 활용한 양질의 자체 콘텐츠 제작 △온오프라인 융복합 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통해 통합적인 고객 경험 등을 제공할 계획이다.
자율주행 SW를 개발하는 ‘서울 로보틱스’가 308억 규모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 시리즈B란 본격적인 사업 확장 단계에서 받는 투자를 의미한다. 이번 투자에는 KB인베스트먼트, 퓨처플레이, 노앤파트너스, KB증권, KDB산업은행 등이 참여했다. 지난 2017년 설립된 서울로보틱스는 자율주행의 눈으로 불리는 3D 라이다(LiDAR)를 개발했다. 인프라를 통한 자율성(ATI)이란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해 자율주행 시스템을 각 차량이 아닌 인프라에 배치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지능형 교통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방식으로 사각지대를 없애 안전성을 높인 게 장점이다. ‘서울로보틱스의 독자적인 ATI 솔루션 '‘레벨 5 컨트롤 타워'는 핵심 3D 인식 기술 ’SENSR‘로 구동된다. ‘SENSR’은 5년 동안 구축한 딥러닝 기술로 악천후에서도 고해상도의 인지를 제공하는 3D 컴퓨터 비전 소프트웨어로 ‘서울로보틱스’는 이 기술력을 바탕으로 독일 BMW 공장에서 완성차 물류 자율주행에 상용화를 시작했다. 서울로보틱스는 이번 투자를 계기로 렌터카 차량 및 트럭 운송장과 같은 추가 물류 응용을 위한 기술 개발에 집중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인프라 기반 자율주행 솔루션을 물
미국 제약사 화이자(Pfizer)가 혈액치료제 제조사 ‘글로벌 블러드 테라퓨틱(GBT)’ 인수에 54억 달러(원화 약 7조 500억 원)을 배팅했다. 1주 당 68.5 달러를 지불하는 것으로 지난 8월 4일 GBT 종가 대비 43%의 프리미엄을 가격이다. 겸상 적혈구 질환(Sickle-cell disease) 치료제인 '옥시브리타'를 제조하는 ‘글로벌 블러드 테라퓨틱’은 2022년 2억 6000만 달러(원화 약 3,300억원)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겸상 적혈구 질환(Sickle-cell disease)은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해 적혈구가 낫 모양으로 변하고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질환으로 미국에서 약 7만~10만명에게 영향을 미치는 유전성 질환이다. 화이자는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를 통해 확보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기업 인수 행진을 펼치고 있다. 20201년 813억 달러(원화 약 106조 2,200억 원)의 매출을 올린 화이자는 2020년 대비 2배의 매출을 올렸다. 코로나19 치료제인 팍슬로비드가 추가되면서 2022년에는 1,000억 달러(원화 약 130조 6,500억 원)의 매출이 기대되고 있다. 화이자는 앞서 5월에 편두통 치료제 제조업
팁스(TIPS) 운영사인 더인벤션랩이 시드 투자를 위한 개인투조합을 결성했다. 더인벤션랩은 2017년 8월에 첫 개인투자조합을 결성한 후 베트남을 중심으로 한 동남아시아 시장을 타겟으로 스타트업의 시드 투자를 단행해왔다. 결성한 조합은 ▲베트남진출신기술 투자조합 ▲베트남초기리테일 개인투자조합 1‧2호 ▲베트남초기성장기업 개인투자조합 1‧2호 등 5개 조합을 결성해 총 30억 규모의 동남아시아 시잔 진출 스타트업 투자를 단행했고, 이번에는 ‘SEA넥스트유니콘 개인투자조합 1호’를 결성했다. 현재 더인벤션랩은 베트남 및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용 개인투자조합을 포함하여 개인투자조합 운용규모가 100억원을 넘었고, 보령제약, 대원, 우미건설, 국보디자인 등의 상장사가 출자자로 참여한 투자합자조합 규모가 100억 원에 도달하는 등 총 200억 원을 극초기 및 초기 스타트업팀에 투자집행해 왔다. 이번에 새롭게 결성한 ‘SEA넥스트유니콘 개인투자조합1호’의 경우, ‘아세안 슈퍼앱 전쟁’ 서적으로 유명한 동남아시아 전문가인 고영경 박사가 공동업무집행조합원(Co-GP)로 참여했다. 고영경 박사는 말레이시아의 툰쿠 압둘 라흐만 대학(Universiti Tunku Abdul Ra
- 지난 8월 5일 한국의 창업투자회사(이하 ‘창투사’) ‘두나무앤파트너스’가 미국의 산후조리원 브랜드 ‘보람케어’(Boram Care)를 운영하는 ‘배오코퍼레이션’(Baewo Corp)에 투자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두나무앤파트너스’가 ‘스트롱벤처스’・‘아주컨티뉴엄’과 함께 참여했다. 배오코퍼레이션은 270만 달러(원화 약 35억 원)에 달하는 총 투자금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보람케어’는 한국의 선진화된 산후조리원 체계와 문화를 미국 고객들에게 소개하고 산후 회복 기간에 필요한 관리 서비스를 산모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설립됐다. 산후조리 문화는 동아시아권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미국의 경우 출산 시설은 있으나 산후조리 시설이 없어 보람케어를 운영하는 배오코퍼레이션은 시장에 진출할 기회가 있다고 판단하고 기업을 설립했다. 배오코퍼레이션 박석 공동 대표는 “한국의 산후조리원 문화는 글로벌 차원에서도 충분히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선진화된 서비스를 미국에 소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BNPL 서비스인 ‘소비의미학(이하 소미)’ 운영사인 오프널은 신한캐피탈, 인포뱅크, 블록크래프터스 등에서 프리시리즈A 투자를 받았다고 밝혔다. 금액은 비공개이다. BNPL은 ‘Buy Now, Pay Later’를 줄인 말로 일반적으로는 물건을 먼저 구매하고 값은 나중에 지불하는 후불결제 방식을 가리킨다. 소미 고객은 구매 당시 결제 금액의 일부를 즉시 결제하고 잔여 금액을 사용자가 선택한 날짜에 분할하여 결제하는 분할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며 타 서비스와의 차별을 두고 있다. 이번 확보한 투자금으로 소미는 ▲BNPL 솔루션 플랫폼 강화 ▲대안신용평가모델 (대안CB) 고도화 ▲인재 채용 에 나설 방침이다. 이번 투자에 참여한 신한캐피탈 벤처투자부는 2030 고객을 선점할 수 있는 장치로서 BNPL의 향후 성장성을 투자 사유로 꼽았다. 블록크래프터스 이건희 이사는 금번 투자라운드에 참여하며 ”기존의 다른 금융 서비스들의 경우 각각 대안이 존재하지만 할부 금융 서비스의 경우 기존 시스템 밖에 대안이 없었다.“면서 ”오프널은 사용자 경험 중심의 직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여 새로운 금융 서비스를 만들어간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인포뱅크의 경우 최근 한국성장금융으로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