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 보호를 위해 우한시에 전세기 4편을 투입해, 귀국을 지원키로 결정했다.” 정부가 오는 30~31일 이틀간 우한에 전세기 4차례 급파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 발생지인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 남겨진 한국인 700여명의 한국 송환을 위한 조치다. 이태호 외교부 2차관은 28일 서울 종로구 도렴동 정부종합청사 별관에서 정부 합동 브리핑을 가졌다. 그는 “귀국을 희망하는 우한시와 인근 지역 체류 국민 수를 파악한 결과 700여명이 파악됐다. 1월 30∼31일 이틀간 우한시에 전세기 파견을 결정하고 중국 정부와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우한은 지난 23일부터 우한발 항공기, 기차가 모두 중단되고 현지를 빠져나가는 고속도로와 일반 도로도 모두 폐쇄되면서 도시가 봉쇄된 상황이다. 정부는 한국 국민이 자력으로 귀국할 수 없고 현지 의료기관이 포화 상태에 이르러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받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점을 감안, 전세기 투입을 통한 국내 송환을 결정했다. 28일 우한 주재 한국 총영사관 인터넷 홈페이지에 따르면 전날 밤 11시 55분까지(현지시간) 탑승 신청을 받은 결과 총 693명의 국민이 한국행 비행기 탑승 의사를 밝혔다. 이
전 세계적으로 ‘우한폐렴’ 공포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27일 현재 사망자 80명-확진자 2794명으로 전해졌다. 한국에서도 네 번째 확진자가 발생했다. 한국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27일(09시 기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환자(우한폐렴) 환자는 전 세계 2794명으로 집계됐다. 중국에서만 2744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고, 발병지인 우한이 포함된 후베이성에서 상하이, 허난성 등 중국 전역으로 확산하는 분위기다. 사망자는 전날(56명)보다 24명 늘어난 80명으로 집계됐다. 한국에서는 55세 한국인 남성이 네번째 확진자 판정(1.27일 09시 기준)을 받았다.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 방문했다가 지난 20일 귀국했다. 21일 감기 증세로 국내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았다. 대륙별로는 아시아는 태국 8명, 홍콩 8명, 마카오 5명, 대만 4명, 싱가포르 4명, 일본 4명, 말레이시아 4명, 베트남 2명, 네팔 1명이다. 아메리카에서는 미국 3명, 유럽에서는 프랑스 3명, 오세아니아에서는 호주 4명이다. 한편 27일 미국에서는 LA 카운티와 애리조나에서 추가 확진자 2명이 발생해 미국에서만 총 5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베트남에서는 호치민 쩌라이 병원에서 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