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웨이(Huawei)가 2018년 내놓은 BCS를 2년만에 업데이트한 BCS 2.0을 내놨다. 중국 IT기업 화웨이는 2018년에 블록체인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를 내놓은 지 2년만에 사업성 제고에 나서며 BCS 2.0을 선보였다. BCS는 클라우드 상에서 블록체인 어플리케이션의 운영을 지원하는 플랫폼으로 2018년 출시됐고 11월부터 글로벌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번 업데이트는 중국의 블록체인 육성 정책과 맞물린 행보로 볼 수 있다. 중국은 '블록체인 굴기'라 부리는 산업 육성정책에 따라 중국 내 블록체인 기업들이 생겨나고 있다. 화웨이의 전략은 이들을 BCS로 끌어들이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5G를 비롯해 기존 IT 사업 영역이 미중 무역분쟁으로 확장에 애로사항이 바생하는 만큼 아직 분쟁의 영향이 없는 블록체인 사업으로 활로를 모색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현재 화웨이의 BCS는 2018년 상용하 이후 중국 내 100여 개의 협력사를 보유하고 있다. 금융, 물류, 정부, 제조, 의료, 에너지, 디지털 자적권 등 7개 분야에서 70여건의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알리바바와 차이나모바일, 미국 블랙리스트 다후아에 5200억 원 투자 검토한다." 로이터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중국의 전자상거래 기업인 알리바바(Alibaba)와 이동통신사업자 차이나 모바일(China Mobile)이 중국 2위 보안 기업인 다후아 테크놀로지(Dahua Technology)에 4억 4300만 달러(한화 약 5200억 원) 규모의 투자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중 무역분쟁이 격화된 가운데 2019년 10월 미국 정부는 중국 2위 보안 기업인 다후아 테크놀로지를 포함한 28개 기업을 블랙리스트(Blacklist)에 등재시켰다. 블랙리스트 기업들은 미국 정부의 허가 없이 미국 기업과 거래할 수 없다. 이에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Tiktok)이 IT 기업 오라클(Oracle)과 매각 협상에 들어가기도 했다. 다후아는 CCTV와 지문 인식 기기 등 보안 장비 기업이다. 신장자치구의 위구르족에 대한 인권 탄압을 이유로 블랙리스트에 등재됐다. 차이나 모바일은 다후아에 400억 위안(한화 약 6조 9292억 원)의 3년간 사업 발주도 검토 중이다. 알리바바와 차이나 모바일이 다후아에 투자를 검토 중인 이유는 중국 정부의 스마트시티 500개
오라클이 틱톡의 북미사업 인수합병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로이터 통신, 월스트리트저널 등에 따르면, 오라클(Orcale)이 틱톡의 미국 사업 인수자로 나서기로 했다. 틱톡을 운영하는 바이트댄스는 오라클을 협상 대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유력했던 MS를 제치고 '친트럼프' 진영의 오라클이 대역전극을 펼쳤다. 기존에 인수협상이 유력해보이던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는 공식 채널을 통해 바이트댄스 측이 매각하지 않겠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밝혔다. 오라클은 기업의 데이터를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DBMS) 전문 기업이다. 소프트웨어 기업으로서는 마이크로소프트에 이어 매출 규모로는 2위를 기록하고 있는 회사로, 최근에는 클라우드(Cloud)로도 사업영역을 확장해 마이크로소프트와 치열한 경쟁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오라클은 틱톡을 인수하기 위해서 사모펀드(PEF) 운영사들과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제너럴 애틀랜틱, 세콰이어 캐피탈이 컨소시엄에 참여했고, 제너럴 애틀랜틱은 바이트댄스에 투자자로도 참여하고 있다. 이로서 지난 7월 31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내 틱톡 사용을 금지한다고 밝힌지 43일만에 인수 우선협상
샤오펑 모터스가 자율주행차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블랙베리와 손 잡았다. 중국 테슬라로 불리는 전기차 제조업체 샤오펑 모터스(Xpeng Mortors, 이하 ‘샤오펑’)가 블랙 베리(Black Berry)와 함꼐 자율주행 자동차 소프트웨어 공동개발에 나선다. 샤오펑과 블랙베리는 조건 자율주행은 L3 등급 자율주행차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협의를 체결했다. 조건 자율주행은 L3등급은 기본적인 자율주행이 가능하지만 시스템 자체적인 문제는 해결하지 못하는 대신 운전자의 피드백이 필요한 단계를 의미힌다. 샤오펑 P7 모델은 외관이 미국산 전기차와 비슷해 테슬라 전기차를 저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샤오펑 P7는 1회 충전으로 550~650km를 달릴 수 있고 모터 출력 범위는 196kW~316kW로 테슬라의 ‘모델 3’와 비슷한 성능을 갖춘 대신 기본 사양 모델 가격이 25% 저렴한 모델이다. 이번 협업을 통해 블랙베리는 중국 전기차 시장에 진출할 수 있고 샤오펑은 테슬라의 기술유출 의혹에서 벗어날 수 있는 윈-윈(Win-Win) 전략으로 보인다. 2019년 3월 테슬라는 자사의 엔지니어가 샤오펑으로 이직을 준비하면서 자율주행 관련 소프트웨어를 무단 복제했다며 샤
기업용 위챗(WeChat)의 영문 명칭이 ‘위컴(WeCom)’으로 변경됐다. 모바일 메신저 위챗을 운영하는 텐센트(Tencent)가 기업용 위챗의 영문 명칭을 변경했다. 기존에 기업용 위챗 명칭은 ‘위챗 워크(WeChat Work)’ 였으나 이를 위컴(WeCom)으로 변경한 것. 구글 플레이 스토어와 애플 앱 스토어의 기업용 위챗 명칭 변경과 함께 어플리케이션 설명도 위챗 팀에서 개발한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과 오피스 협업 툴로 위챗과 같은 친숙한 커뮤니케이션 경험을 제공한다고 나와있다. 텐센트는 명칭 변경을 공식적으로 발표하지 않은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상황을 미중 무역분쟁의 영향으로 보고 있다. 특히, 틱톡(Tiktok)이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 매각 협상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현 상황을 타계하기 위한 방법이라는 게 지배적이다.
화웨이가 자율주행 스마트카 특허를 공개했다. 미중 무역분쟁으로 스마트폰 영역에서 부진을 겪고 있는 화웨이가 자율주행 자동차 신규 특허를 공개했다. ‘자동차 무인운전 방법과 단말 장치’, ‘스마트카 주행 방향 제어 방법과 장치’, ‘교통신호등 식별 방법, 시스템, 컴퓨팅 장치와 스마트카’ 등 자율주행과 스마트 관련 신규 특허를 추가한 것이다. 화웨이의 특허 신청 날짜는 2017년 4월과 6월이고 공개일은 2020년 8월이다. ‘자동차 무인운전 방법과 단말 장치’ 특허는 단말 장치가 차량 외부 환경 데이터와 초기 위치 측정 정밀도에 따라 차량의 목표 주행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따라서 목표 주행 파라미터는 차량 외부 환경 데이터에 따라 달라지고 외부 환경과 맞물려 무인 운전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스마트카 주행 방향 제어 방법과 장치’ 특허는 악천후에도 방향 제어 안정성을 강화하고 스마트카의 안전 계수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교통신호등 식별 방법, 시스템, 컴퓨팅 장치와 스마트카’ 특허는 인공지능(AI) 분야와 관련 있다. 한편 앞서 화웨이는 ‘무인운전 방법과 장치’, ‘차량 위치 측정 방법, 장치, 컨트롤러, 스마트카와 시스템’ 등 특허를 공개했다.
화웨이가 재고 소진으로 기린(麒麟) 칩 생산을 중단한다. 대만의 반도체 파운드리 기업인 TSMC에서 제조해온 기린칩이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해 지난 5월 15일 이후 신규 생산주문이 멈추면서 생산이 중단됐다. 이에 화웨이(HUAWEI) 80억 달러(한화 약 9조 4904억 원)에 달하는 주문의 행방에 관심이 집중된다. 화웨이는 2020년 가을에 출시 예정인 메이트 40(Mate 40)이 기린 9000 칩을 탑재한 마지막 스마트 폰이 될 것임을 예고하며 9월 15일 이후 기린칩 시리즈가 생산이 중단된다고 알렸다. 화웨이 위청둥 CEO는 “2019년에 미국의 제재로 스마트폰 6000만 대를 덜 출하했고 2020년에도 스마트폰 출하량이 2019년의 2억 4000만 대보다 적을 것”이라며 “중국 반도체 산업이 기린칩을 생산할 수준에 이르지 못했다.”고 말했다. 화웨이의 휴대전화 제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외부에 반도체 칩 조달이 필요하며, 이는 큰 규모의 계약을 의미하며 해당 수요를 소화할 수 있는 기업은 한국의 삼성전자와 대만의 미디어텍이 후보로 꼽힌다. 한편, 미국의 퀄컴은 화웨이의 신규 주문이 경쟁사에 빼앗길 우려가 있다며 제재를 풀어줄 것을 미국 정부에 요청하면
중국 4대 은행이 디지털 위안화 지갑을 테스트하는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비아이뉴스에 따르면, 미‧중 무역분쟁이 지속되는 가운데, 중국 국영 4대 은행인 중국은행, 공상은행, 농업은행, 건설은행이 디지털 위안화 지갑 어플리케이션을 비공개로 테스트 중이다. 디지털 위안화의 정식 발행 준비를 위해 선전(深圳) 등의 지역에서 디지털 위안화 전자지갑을 테스트 하는 중이라고 국영 은행 관계자는 밝혔다. 현재 어플리케이션은 공개적으로 사용할 순 없기 때문에 널리 보급되진 않았다고 전했다. 디지털 위안화 지갑을 사용하기 위해선 4대 은행에 전자 지갑을 개설하고 각 은행에 개설된 계좌를 연동해 자금을 충전해 사용이 가능하다. 충전은 인터넷 뱅킹과 은행카드 연동 방식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관계자는 “비공개 테스트로 기관에서 공산당 당비와 노조비 납부 등의 테스트를 통해 실제 사용성을 확인 중이며, 비공개 테스트인 만큼 오프라인 소비 환경이 현재는 매우 제한적”이라는 점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