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일본산업규격(JIS)의 의료용 및 일반용 마스크의 성능요건 및 시험방법(T9001)이라는 새로운 인증 제도를 도입했다. 기존에는 산업용 마스크에만 단계별 성능을 도입해왔으나 코로나19로 인해 수입용 마스크가 대량으로 유통되면서 새로운 인증 제도를 도입한 것이다. 자체 규격을 까다롭게 단계별로 적용하는 일본이 산업용 마스크를 제외하고 마스크의 성능을 규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일본의 후생노동청은 방역용 생활 마스크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핸 국가 규격의 제도를 도입하고 마스크의 성능과 시험 방법의 표준화를 목적으로 이번 규격 제도를 도입했다. 의료시설에서 확진자에 대한 수술과 치료 또는 의료종사자 등이 사용하는 마스크에 대해서는 ‘감영대책 의료용 마스크의 성능요건 및 시험방법(JIS T9002)’을 사용하고 의료용과 일반용 마스크에는 ‘의료용 및 일반용 마스크의 성능요건 및 시험방법(JIST T9001)'을 적용한다. 마스크를 비롯해 물티슈와 기저귀 등 위생관련 제품의 제조사 및 수입상으로 구성된 조직인 일본 위생재료공업연합회가 인증 부여를 담당한다. 각 제품의 가이드라인이나 자체 기준을 제정하고 있는 단체로 JIS 규격도 원안 작성단체로서 주도적
“인도의 소비자 디지털 경제는 2030년까지 10배 성장한다” 컨설팅 회사 레드세어(Redseer)가 자사의 대표 행사인 그라운드 제로 5.0에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850억~900억 달러(약 102조 2400억 원)를 기록했던 인도의 소비자 디지털 경제는 2030년까지 8000억 달러(약 908조 8000억 원) 시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디지털 경제에는 2030년까지 디지털 채널을 통한 여행 60%, 비농약 소매 40%, 교육 30%, 식음료 서비스 25%, 제약-농약 6% 등이 포함된다. 레드세어는 “온라인 소매업은 CY30의 연간 총 상품 가치(GMV)가 3500억 달러(약 397조 6000억 원)로 CY30의 규모로는 세 번째로 큰 온라인 소매 시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라운드 제로 5.0 행사에는 아미타브 칸트 니티아이토그 최고경영자(CEO)와 TV모한다스 파이 회장, 마니팔 글로벌교육서비스(Manipal Global Education Services), 인포엣지 공동창업자인 산제프 비크찬다니(Sanjev Bikhchandani)와 함께 스타트업계의 다른 건재한 인사들이 참석했다. “지난 10년 동안, 기업가들은 인도 소비자들
코로나19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확산하는 가운데 청정 방역국으로 꼽히던 대만에서도 델타 변이가 발견됐다. 한국과 여행안전권역인 트레블 버블(Travel Bubble)을 추진 해 상호 격리 없는 단체 관광이 불투명한 상황에 빠졌다. 대만 연합신문망에 따르면, 대만 방역통제센터 천스중(陳時中) 지휘관이 페루에서 귀국한 할아버지와 손자 2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들이 델타 바이러스 판정을 받아 확산을 막기 위해 27일부터 대만에서 해외 입국자 검역 조치를 전면 강화에 들어갔다고 보도했다. 이에 페루에서 발견된 변종 바이러스가 대만으로 전파된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대만 방역통제지휘센터는 델타 변이 바이러스의 출연으로 인해 지난달 27일 0시부터 대만 전역에서 해외 입국자 검역을 전면 강화하기로 결정했다. 특히 '고위험국가'에서 입국하는 여행객은 입국 후 14일간 집중검역소에 집중 격리되며 기간 만료 시 PCR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현재 대만은 브라질, 인도, 영국, 페루, 이슬라엘, 인도네시아 및 방글라데시 이 7개국을 '고위험국가'로 정했다. 대만은 모범 방역국가로 여겨졌으나 최근 들어 코로나19 확진자 속출로 지난달 25일까
인도 정부가 전자상거래 기업들을 대상으로 타임세일을 금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지난 22일 로이터 통신은 인도 정부가 전자상거래(E-Commerce) 기업의 웹사이트에서 타임 세일(Time Sale) 금지를 실행하게 되면, 아마존 인도(Amazon India)와 월마트 산하 플립카트(Flipkart)가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정부 성명에서 인도 오프라인 소매상들은 외국 전자상거래 기업이 인도 법률을 우회하기 위한 비즈니스 구조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 같은 조치를 내렸다면서 7월 6일까지 이에 대한 의견을 수렴한다고 밝혔다. 인도 소비자부는 전자상거래 기업이 타임 세일을 하게 되면 명절 기간 동안 큰 인기를 끌게 되지만 오프라인 소매상들은 온라인 소매상들과 대폭적인 할인 경쟁을 할 수 없는 ‘불공정한 상황’에 빠지게 된다며 반발이 발생한다고 밝혔다. 또한, 전자상거래 기업들은 해당 플랫폼에서 판매자로 분류되선 안되며, 온라인 판매자에게 상품을 팔아서도 안된다고 규정했다. 이같은 규정은 결국 이커머스 시장에 진출해 빠르게 성장을 거듭하는 아마존 인도와 플립카트의 사업 구조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아마존은 아마존 인도에 입점한 최상위 판매자 2곳
중국과 터키가 60억 달러 규모의 통화스와프를 체결했다. 블룸버그는 에르도얀 터키 대통령은 중국과 36억 달러(한화 약 4조 647억 원) 규모의 통화 스와프를 체결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협정은 기존 중국과 터키 간의 통화 스와프 한도인 24억 달러(한화 약 2조 7168억 원)는 유지하고 36억 달러를 추가해 총 60억 달러(한화 약 6조 7920억 원)로 증가했다. 이는 터키와 중국이 상호 교역 과정에서 자국통화 사용이 가능해 굳이 달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을 의미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해 2020년에 터키는 외환보유액이 75%나 폭락하는 등 심각한 경제위기를 겪었다. 터키는 이를 자국 경제정책에 문제가 있으며, 달러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고 자평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중국과 협정을 체결했다. 터키는 리라화의 환율 안정을 위해 전체 외환보유액의 75%인 1280억 달러(한화 약 144조 8960억 원)을 동원했으나 결국 달러 부족 상황에서 리라화 환율이 불안정해 졌고, 국제 무역이 위축됐다. 한편 이같은 터키-중국의 공조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정상회의를 겨냥한 행보라는 평이다. 에르도얀 터키 대통령은 브뤼셀을 방문
일본 자동차 기업 혼다가 연료전지자동차(FCV) ‘클라리티 퓨얼 셀(Clarity Fuel Cell)'의 생산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닛케이 신문에 따르면, 혼다는 구조 개혁의 일환으로 판매가 부진한 자동차 단종을 실행할 방침이다. 또한 순수 전기차(EV)에 집중하면서 제너럴모터스(GM)와 함께 FCV 개발을 지속해 신규 차종 출시를 진행할 계획이다. 혼다는 2040년까지 전 세계에서 판매하는 모든 신차를 전기차와 연료전지자동차로 변경할 예정이다. 가솔린 자동차 중 최고급 세단인 레전드와 고급 다목적 자동차(MPV) 오딧세이 생산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2016년 판매된 클라리티의 가격은 783만 엔(한화 약 7949만 원)이지만 일본과 미국 시장 누적 판매는 1900대에 그쳤다. 혼다는 2018년 추가한 클리티 하이브리드의 판매까지 중단할 계획이다.
중국에 화이자 백신 공장이 이르면 8월부터 설립에 들어갈 예정이다. 연간 10억 도스를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상하이 진산에 설립하기로 합의하고 이르면 8월부터 첫 번째 mRNA 코로나19 백신의 생산이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모더나 백신’과 함께 양대 백신으로 꼽히는 ‘화이자 백신’은 ‘BNT 백신’으로 대만 등 중화권에 알려져 있다. 이는 미국 제약사 화이자가 독일의 바이오엔테크(BNT)와 공동 개발한 백신이기 때문이다. 대만 경제일보는 지난 6월 11일 중국 제약사 푸싱의약(复星医药, FOSUN)이 주주총회에서 독일 바이오엔테크와 바이오엔테크 백신(BNT162b2:화이자 백신)의 관련 기술 이전과 공급망 설비 구입 및 원재료 구매를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푸싱의약은 2020년 3월 바이오엔테크와 코로나19 백신 공동개발에 1억 3500만 달러(한화 약 1508억 6250만 원)을 투자하기로 발표했다. 이후 5000만 달러(한화 약 566억 원)의 지분 투자 외에도 8500만 달러(한화 약 962억 2000만 원)을 추가로 지불해 백신 개발과 상용화에 투자하고 중국‧홍콩‧마카오‧대만에서 독점 에이전트의 지위를 확보했다. 이에 따라 홍콩과 마카오에서는 푸
인도 올림픽위원회(IOA)가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중국 스포츠 브랜드 리닝과 스폰서 계약을 해지했다고 밝혔다. 인도 올림픽위원회(IOA)는 국민감정을 고려해 리닝과 스폰서 계약을 해지했다. 도쿄 올림픽에서 인도 올림픽 선수단은 브랜드가 없는 운동복을 착용하고 경기에 참여한다. 인도 올림픽위원회(IOA)는 스폰서 기업인 중국 리닝이 디자인한 올림픽 선수단복을 공개했지만 지난 6월 8일 밤 국민감정을 존중하는 차원에서 리닝과 협력을 중단한다고 표시했다. 지난 2020년 6월 인도군과 중국군이 국경 분쟁 지역인 라다크(Ladakh)에서 충돌해 인도군 20명이 사망하면서 인도 국내에서 반중 정서가 끓어오르고 중국산 불매 운동이 벌어졌다. 당시 인도 올림픽위원회(IOA)는 리닝과 협력 관계를 재검토하면서 도쿄 올림픽 이후 스폰서 관계를 종료하기로 했다. 리닝의 인도 법인 대표는 인도 올림픽위원회(IOA)의 결정에 대해 입장을 표명하지 않는 상황이다. 한편, 중국 외교부 왕원빈(汪文彬) 대변인은 9일 정례 기자회견에서 “인도는 국가 간 통상적인 협력을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바라봐야 한다”라면서 “이 문제가 정치화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인도 올림픽위원회(IOA)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