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첨단기술에 1730조원을 쏟아부어 미국을 이기겠다.” 블룸버그통신 21일자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이날 개막한 양회(兩會) 기간 코로나19 경기부양책의 일환으로 2025년까지 핵심 첨단기술 분야에 10조 위안(1730조원)을 투자하는 계획을 통과시킬 예정이다. 앞으로 6년간 5세대 이동통신(5G)과 인공지능(AI), 산업인터넷(industrial internet) 등 첨단기술 분야에 10조 위안을 투자할 전망이다. 이는 화웨이 제재 등을 통해 중국의 IT 등 질주를 견제하려는 미국에 맞서 '첨단기술 패권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겠다는 의지다. 대표적으로 5G 통신망 구축과 클라우드 컴퓨팅,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자율주행·공장 자동화·안면 인식 등 AI 분야를 집중 육성하겠다는 것. 중국 대표 IT기업인 화웨이, 알리바바, 텐센트, 디지털차이나, 센스타임 등과 지방정부와 보조를 맞춘다. 중국은 2025년까지 산업인터넷 플랫폼 분야에서 세계 3대 기업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양회는 중국의 전국정치협상회의(정협)와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를 통칭하는 말이다. 한 해 중국 정부의 경제-정치 운영 방침이 정해지는 최대의 정치행사다. 원래 중국에
HSBC가 중국의 GDP 성장률을 3.0%에서 1.7%로 하향 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계 투자은행인 HSBC의 취훙빈(屈宏斌) 중국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리포터를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으로 미국이 중국과 탈동조화(Decoupling)을 결심하면서 미중 무역 분쟁이 기술, 공급망, 자본으로 확장될 것으로 분석했다. 리포터에는 “미중 관계의 불확실성 만으로도 시장의 분위기는 꺾일 수 있다. 무역에 대해 부정적인 충격이 코로나 19 이후 상업적 투자, 특히 제조업의 반등을 방해할 것으로 보인다. 미중 양국의 긴장 고조 국면이 중국의 전반적인 경제 회복을 약화시킬 것”으로 예상했다. 이어서 리포트는 오는 22일로 예정된 중국 정부의 전국인민대표회의에서 중국 정부가 경기안정책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했다. 대신, 현재 경기부양책이 내놓은 적극적이고 과감한 부양책이 아니라 맞춤형 부양책을 점진적으로 추진하고, 인프라 건설과 지방정부 특별채권 한도를 늘려 건설 투자가 3.8%에서 10% 이상으로 증가하고 중국 정부의 재정 적자율이 4%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HSBC는 올해 대만과 홍콩의 GDP 성장률 예상치를 기존의 0.5%와
인도 정부는 17일 “‘전국 봉쇄령(Lock-Down 4.0)’을 5월 31일 자정까지 2주 연장하겠다”고 발표했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하루 5000명에 육박하면서 이 같은 조치를 했다. 인도는 18일 오전 10시 기준 코로나19 누적 확진자수는 9만 6169명이다. 사망자수는 3029명이다. 비즈니스 스탠더드(Business Standard) 18일자에 따르면 에이제이 발라(Ajay Bhalla) 내무 장관이 발표한 봉쇄령 연장으로 항공-철도-학교-호텔-종교시설 등 대규모 인원 집합 장소 운영이 기존처럼 금지된다. 주(州) 내외의 승용차 및 버스 이동은 주별 결정 아래 가능하다. 스포츠 경기장은 관중없이 열릴 수 있다. 고용주는 모든 직원에게 아로 로냐 세투(Aarogya Setu) 앱을 설치하여 건강 상태를 업데이트토록 해야 한다. 한편 인도 정부는 지난 3월 25일부터 55일째 전국을 봉쇄하고 있다. 애초 3월 끝날 예정이었으나, 이 기간을 17일까지 연장했다 이번에 다시 늦추게 되었다.
중국과 호주의 관계가 코로나19로 악화되면서 중국이 경제 보복 조치를 가하고 있다. 호주 정부는 미국과 함께 중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책임론을 제기하면서 코로나19 발원의 독립적 조사를 주장했다. 중국 책임론을 제기한 미국 정부의 입장에 국제사회의 조사를 강조한 호주 정부의 행동에 중국 정부는 강한 불만을 불러 일으켰다. 지난 4월 주 호주 청징예 중국 대사는 호주 정부의 움직임에 “호주산 와인과 쇠고기의 수입 중단을 무기로 쓸 수 있다.”는 입장을 전달한 바 있다. 이후 중국은 상무부에서 호주산 보리에 80%에 달하는 관세 부과를 발표하고, 중국 해관총서에서는 12일부터 호주산 육류 수입 중단을 발표했다. 중국 외교부 자오리젠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을 통해 세관에서 호주 수입산 육류에서 중국의 검역 요구 사항을 위반한 사례를 적발했고, 위반한 호주 기업 4개 사의 육류 제품 숭비 신고 접수를 중단한다고 밝히고 이를 호주 정부에 통보해 원인 규명과 개선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호주 매체 ABC 뉴스(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News)에서는 수입 중단 통보를 받은 4개사는 호주의 소고기 수출 35%를 차
“코로나19 사태 속 인도제품을 구매해주세요.” 최근 코로나19 사태 관련하여 인도 제품을 구매해달라는 모디 총리의 호소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기업은 인도 소비층들이 자사 제품을 여전히 구매할 것으로 기대했다. 이코노믹 타임즈(The Economic Times)에 따르면 인도업계는 소비자가 글로벌 브랜드 가치를 현지 브랜드보다 높게 평가한다고 언급하며, 모디 총리의 지지가 제품 구매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고 전했다.. 인도 내에서 글로벌 브랜드는 시장 내 높은 점유율을 보이며, 특히 맥주, 음료수, 초콜릿 등 소비재와 스마트폰, TV 시장의 경우 90% 이상의 점유율을 기록중이다. 냉장고, 세탁기 등 백색 가전의 경우 80% 이상, 치약, 샴푸 등 일용소비재 시장의 50%이상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중국 베이징시와 산시성이 22일 부산시로 의료용 마스크, 보호복, 고글 등을 보내왔다. 베이징시(우호협력)는 부산시와 2013년 결연 이후 지속적인 교류를 해 오고 있는 중국의 수도이며 정치의 중심지이다. 베이징시가 보내온 물품은 의료용 마스크 5000매, 보호복 2,000벌, 일회용 신발덮개 2,000페어, 일회용 모자 2,000개, 체온계 100개, 열화상카메라 1대이다. 산시성(교류협력)에서도 마스크 1만 6380매, 고글 200개, 보호복 510벌을 보내왔다. 이로써 부산시에 방역물품을 지원한 도시는 지난 3월 4일 상하이시를 필두로 12개 도시이다. 현재까지 중국 지방정부 12개 성·-시로부터 부산시가 접수한 방역물품은 총 7종이다. 마스크 61만 1124장, 보호복 8812벌, 체온계 300개, 고글 200개, 일회용부츠 2000개, 일회용 모자 2000개, 열화상카메라 1대이다. 부산시에 기부물품을 전달해온 베이징과 산시성은 “코로나19 위기상황을 잘 극복해 나가고 있는 부산시를 응원하며 상호신뢰 속에서 공동발전해 나가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사장 박철웅, 이하 재단)은 4월 14일 한국 농기자재-품종의 해외 현지실증을 통한 효과검증 및 수출기회를 확대하고자 '2020년도 베트남-중국-인도 테스트베드 지원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해외테스트베드 지원사업은 재단의 대표 수출지원 사업으로 한국 농기자재 및 스마트팜의 해외진출을 위해 2017년부터 매년 추진해오고 있다. 해외테스트베드 지원사업 중 스마트팜 분야는 카자흐스탄과 러시아에 컨소시엄 체제로 관련 농산업체를 선발하여 추진 중에 있다. 일반 농기자재‧품종 분야는 베트남, 중국, 인도 3개국을 대상으로 추진한다. 올해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수출 감소 등 세계시장 진출에 어려움이 존재하지만, 현지 국가별 파트너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우리 농산업체의 현지 진출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기업 자부담 비율을 기존보다 낮춰(7:3 → 8:2) 부담을 덜었으며, 현지 거래선 발굴을 위해 온라인 매칭상담회 등 ‘언택트(비대면)’ 방식의 마케팅 등도 마련할 예정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베트남 테스트베드 지원사업은 메콩델타 지역 하우장성 하이테크파크 기관과 협력하며 수도작과 시트러스 관련 농자재 및 농기계를 투입
중국이 신종 코로나바아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위축된 경제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수출세금환급률 인상안을 꺼냈다. 보이스 오브 아메리카(Voice Of America)에서는 중국 재정부가 위생기구를 포함한 1064개 품목과 식물 성장 조절제 등 308개 품목에 대한 수출세금환급률을 13%, 9%씩 인상한다고 전했다. 중국 기업들이 해외로 수출하는 품목에 대해 정부에 환급을 신청해 부가가치세와 소비세를 환급받을 수 있는데, 이 비율을 높여 기업들의 수출 활동을 독려해 경제 반등을 노린 것으로 분석된다. 재정부에서는 기존 수출세금환급률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한편, 중국은 춘절이 이후 코로나19 때문에 기업들이 운영을 중지하면서 산업생산율이 30년만에 가장 낮은 수치가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