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캄보디아 범죄 가담 한국인 68명 현지 구속...“한국으로 안 들어오겠다”

정부, 전부 송환 현지범죄 파악 방침...위성락 안보실장 주재 관계 부처 TF회의

 

캄보디아 범죄 직접 가담한 한국인이 현지에서 68명이 구속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전부 송환조사해 현지 범죄 파악을 나서겠다고 방침을 세웠다. 피의자들은 한국으로 안 들어오겠다고 버티고 있다,

 

SBS에 따르면 캄보디아 경찰은 올해 하반기 들어 대대적인 '범죄단지' 단속에 나서 사이버 범죄 조직원들을 대거 체포했다. 현재 구금된 상태인 한국인 피의자가 68명이다.

 

대부분은 범죄에 직접 가담한 인물들이다. 긴급여권 발급 같은 한국 외교 당국의 도움을 거부하면서 귀국하지 않겠다고 버티고 있다.

 

대통령실은 13일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관계 부처 TF 회의를 열고 캄보디아 납치 사건에 대한 대책을 논의했다. 외교부, 법무부, 국가수사본부, 국가정보원 등이 참석했다.

 

국회 국정감사에서도 캄보디아 사태에 대한 질타가 쏟아졌다.

 

윤후덕 민주당 의원은 “납치해서 감금되고 거기서 연락 두절이 되고 있는 그런 상황이 확인된 거 아녜요? 공군 1호기라도 보내야 되는 거 아녜요?” 질의했다.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은 “(주 캄보디아 대사가) 공석인 상태에서 이 캄보디아에서 대학생 납치, 결국은 살해 사건이 생긴 거다”고 말했다.

 

박범계 민주당 의원도 “ 범부처가 나서야 한다. 전 정부 공적개발원조 사업의 수혜자가 캄보디아인데 이 문제를 외교적으로만 해결할 것이 아니라 경찰·군사작전까지도 가능한 수준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강민국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은 캄보디아 군경과 협조할 것을 제안하며 "캄보디아 군경이 합동작전을 거부한다면 ODA 자금 회수도 고민해 봐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조현 외교장관은 국민께 죄송하다면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답했다.

 

캄보디아의 소위 ‘범죄단지’는 국경 주변에 10여 개가 몰려 있다. 대부분 이제 중국과 연접해 있는 구간이거나 아니면 이웃 나라들과 태국, 베트남 등 이렇게 나라들하고 인접되어 있는 치안이 취약한 그런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외교부 등에 따르면, 캄보디아에서 한국인 납치 신고 건수는 2022~2023년 연간 10~20건 수준에서 지난해 220건, 올해 8월까지 330건으로 크게 늘었다. 캄보디아 경찰에 체포된 한국인 역시 2023년 3명에서 2024년 46명으로 급증했다.

 

한편 캄보디아에서 한국인 대상 범죄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정부가 ‘특별 여행주의보’를 발령했다. 여행업계는 예정됐던 상품 출시를 전면 보류했다. 동남아 대체 여행지로 주목받던 캄보디아 시장이 불과 몇 달 만에 ‘잠정 중단’ 상태로 돌아섰다.

관련기사

포토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