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랩 블로그, 유튜브를 운영하면서 느끼는 것 중의 하나가 사람들의 관심을 예측하기가 참 힘들다는 것이다. 알다시피 정보성 콘텐츠보다는 당연히(?) 맛집, 여행, 특산품 등이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하지만 반전도 있다. 정보성 글이 의외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던 콘텐츠도 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아세안의 왕”에 대한 이야기였다. 아세안 10개국 중 ‘국왕’이 존재하는 국가는 브루나이,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태국 등 4개국이다. 브루나이는 국가보다 왕이 더 유명하다. 국왕의 플렉스(자신의 성공이나 부를 뽐내거나 과시한다는 뜻)는 여전히 많은 사람들의 이목을 끄는 듯하다. 태국은 “살아있는 부처” 라고 불리며 국민의 사랑과 존경을 받은 푸미폰 국왕이 2016년 서거하면서 언론에 더욱 많이 노출되었다. 캄보디아, 말레이시아는 사실 총리가 더욱 유명해서 ‘왕’이 존재한다는 사실도 모르는 사람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두 개 국가는 왕이 되는 과정이 특이하다. 왕을 선출하는 캄보디아, 순번제로 운영되는 말레이시아가 그것이다. 이번 칼럼은 아세안의 다양한 왕에 대해 소개해보고자 한다. ■ 태국 전 국민의 사랑과 존경을 받은 왕, 故 푸미폰 국왕 필자의 유
제가 살고있는 라오스 폰통시는 현재 코로나19로 록다운입니다. 도시 봉쇄로 팍세로 나갈 수가 없습니다. 팍세에서 태국 국경 방면으로 메콩 다리(현수교)를 건너면서 시작되는 소도시가 폰통시입니다. 제가 살고 있는 마을도 폰통시에 위치한 마을 우바랏입니다. 요즘 록다운 시행으로 팍세로 나가기도 어렵습니다. 마을 간 외부인들의 입출입도 제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먹고 살기 위해서는 마을에서 자연이 주는 먹거리(개구리, 게, 우렁 등)로 모든 것을 해결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시장에 자주 가야 하는데요. 라오스에서는 한 번에 많은 양을 구입하기보다는 작은 돈을 가지고 자주 시장에 들러서 소량의 채소 등 먹거리를 구입하는 빈곤한 삶입니다. 어떤 이들은 하루에 5000낍(약 650원)으로 시장을 찾아 장보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그래서 저도 통제로 인하여 팍세 시내는 나가지 못하지만, 옆마을에 위치한 폰통시장에 2~3일이면 한 번씩 다녀오는데요. 폰통시장은 팍세에서 태국 국경(총맥) 방면 약 2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시골 시장이지만, 아침과 오후 시장이 열립니다. 시장 풍경은 코로나 이전과 크게 다를 바 없습니다. 평소와 다른 게 있다면, 시장 상인은 물론 시장을
[전창관의 태국이야기 14] 언젠가부터 방콕의 쇼핑몰 진열대에서 한국상품과 만나는 것이 무척이나 자연스러워졌다. 한국 국격을 받쳐주는 제품들이 탁월한 품질과 디자인에 힘입어 태국 쇼핑몰에서 눈에 띄는 것이 어제오늘의 일이 아닌 까닭이다. 방콕 곳곳에 산재한 쇼핑 몰에는 ‘한국산(팔릿따판 컹까울리=ผลิตภัณฑ์ของเกาหลี)’과 ‘한국 품질(쿤나팝 컹까울리=คุณภาพของเกาหลี)'에 이어 ‘메이드 인 코리아’뿐만 아니라 현지에서 생산한 ‘한국스타일(สูตรต้นตำรับของเกาหลี=쑤웃 똔땀랍 컹까울리)’ 제품까지 대접을 받기 시작했다. 태국에서는 먹는 농수산물과 바르는 화장품은 물론, 각종 가전제품과 휴대폰에 이르기까지 ‘한국 제품은 우수 상품’이라는 공식이 성립되고 있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필자가 처음 태국 땅에 발을 내디뎠던 1990년대 중반의 태국과는 영판 다른 세상이 됐다. 당시에는 방콕시내를 질주하는 허름한 시내버스에 붙은 대우자동차 로고만 봐도 신바람이 났다. 한인타운 수쿰윗 플라자 내의 한국인 전용 마트에 가야 겨우 살 수 있던 '신라면'이 현지의 대형 체인마트 유통인 탑스 슈퍼마켓에 진열된 것을 보고 기뻐하던 것이 언제였던
[일본의 신국론(神国論)] 上....천황의 완전무결 군주론-국수주의적 신도론 신앙적 지주 일본에는 저들 나라가 ‘신국’(神国)이라는 ‘사상’이 흐르고 있다. 여느 때에는 잔잔한 물결로 남아 있지만 여차하면 출렁이는 파도가 된다. 군국주의 시절에는 이것이 일본군 무패론으로 둔갑해 수많은 자국 청년들을 죽음으로 몰아넣었다. 이 허무맹랑한 신국 사상은 한편으로는 천황의 완전무결한 군주론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국수주의적 신도론의 사상적·신앙적 지주로 활약했다. 이 신국 사상의 근원도 한반도와 인연을 갖는다. 즉, 신공황후의 ‘신라 정토’ 또는 ‘삼한정벌’에 뿌리를 두고 있어서이다. 이전 이야기에 보듯이 신공황후가 신라를 쳐들어가 복속시켰다며 <일본서기>는 신라 왕의 입을 빌려 다음과 같이 적는다. “때에 바람의 신이 바람을 일으키고, 파도의 신이 파도를 일으켜, 바다 속의 큰 고기들이 모두 떠올라 배를 도왔다... 노를 쓸 필요 없이 신라에 이르렀다.” “신라의 왕은 벌벌 떨며 어쩔 줄을 몰랐다. 일찍이 바닷물이 저절로 올라오는 일은 없었다. 천운이 다하여 나라가 바다가 되는 것은 아닌가... 내가 들으니 동방에 신국(神国이 있는데 일본이라 한다. 성왕(
싱가포르의 SEA는 아시아를 대표하는 스타트업이다. 그 중심에는 SEA가 운영하는 싱가포르 E-커머스(E-Commerce) 1위 ‘쇼피(Shopee)’가 있다. ‘씨리미티드(Sea Limited)’의 주가는 지난 한 해 397% 상승하는 기염을 토했다. 보도에 따르면 씨는 2017년 뉴욕 증시 상장 이전 37억 5000만 달러(약 4조 2176억 2500만 원)의 기업가치를 4년 사이 1270억 달러(약 142조 8369억 원)로 끌어올렸다고 한다. 이는 미국에 상장된 아시아 기업 중 최대 상승 폭이다. 2009년 싱가포르에서 온라인 게임퍼블리셔 가레나(Garena)로 시작한 씨는 최근 3년 사이 E커머스 1위 쇼피를 통해 게임과 전자상거래를 앞세워 연일 종횡무진중이다. 씨의 디지털 파이낸싱 부문의 경우 자체 전자결제 플랫폼인 씨머니(Seamoney)의 매출 비중이 아직 적지만 최근 2년간 연간 500% 이상 매서운 성장세를 보이고있다. 초창기 씨는 배틀로얄게임인 가레나 ‘프리 파이어(Free Fire)’로 큰 성공을 이루었다. 이 씨드머니로 E-커머스업계에 도전장을 내었고 업계의 리더가 되었다. ■ 쇼피, 아세안의 아마존이 될 수 있을까? 지난 3년간 과연
“음악은 언제, 어디서나 항상 옳다.” 2017년 겨울, 한-아세안 협력기금 사업 일환으로 열린 ‘한-아세안 플루트 페스티벌’ 공연을 보고 벅찬 감동을 받았던 기억이 있다. 각 국가별로 비슷하면서도 또 다른 느낌의 ‘플루트’가 존재하였고 11개국 연주자가 어우러져 아름답게 내는 소리는 필자가 한-아세안 협력사업 담당자로서 근무하는 이유를 느낄 수 있게 해줌과 동시에 음악 애호가로서 하나의 창작 장르를 알게 된 것에 뿌듯함을 느꼈다. 공연은 서울과 부산에서 개최되었다. 당시 개원한 지 2~3개월 남짓했던 부산 아세안문화원의 공연장을 처음으로 경험하면서 느낀 감동도 덧붙여져 필자에게 더 큰 감동으로 다가왔는지도 모르겠다. 그렇게 외교부 생활 중 손꼽히는 특별한 기억이 무색하게 국악, 그리고 아세안 전통음악은 필자에게 잊혀 갔다. 그러던 중 잔잔하게 남아있던 본능을 이끌어 준 공연을 지난 3월 다시 만날 수 있었다. ■ 음악 덕후에게도 소외되었던 국악, 아세안을 통해 다시 만나다 그 감동은 바로 아세안문화원 주최로 3월 한 달 간 선보인 온라인 공연, 국악으로 만나는 아세안 음악 <아세안 X 시나위>를 통해서이다. 아세안 10개국의 전통음악을 국악으로
최근 몇 년 전부터 알고 지낸 인도네시아의 한 대기업과 자주 커뮤니케이션을 주고받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 가축사료 시장 점유율 70%가량을 차지하며 2019년에 39억 달러(약 4조3000억 원) 매출을 기록한 화인(華仁) 재벌 중 한 곳입니다. 인도네시아를 포함해 베트남, 중국 등 아시아 5개 나라에 4만여 명 임직원이 근무하는 이 기업은 현재 전세계 스타트업계를 대상으로 경진 대회를 진행하는 중입니다. 농식품 테크 분야의 혁신적인 아이디어나 기술력을 갖춘 스타트업과 적극적으로 협업 기회를 모색하기 위해서입니다. 동물 백신 관련 기술을 보유한 한국의 한 스타트업과 머리를 맞대고 대회 참가를 준비하면서 거대 기업의 달라진 모습에 유독 눈길이 쏠렸습니다. 싱가포르의 창업 전문 엑셀러레이터와 손잡고 설립 50년 만에 처음 유력 스타트업을 선발해 투자하는 파일럿 프로젝트를 도입할 만큼 달라지는 인도네시아 대기업들의 현주소를 목격한 까닭입니다. 1년 넘게 지구촌 곳곳에서 위력을 떨치고 있는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로 신음하기는 동남아시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이는 GDP(국내총생산) 기준 동남아 경제의 약 40%를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진 인도네시
[전창관의 태국이야기 13] 태국은 프랑스와 대등할 정도로 넓은 국토를 가졌지만 대중교통 발달이 미흡하고 연중 폭염에 가까운 날씨가 이어지는 나라다. 그래선지 태국인들은 어느 정도 생활에 여유가 생기면 주택보다는 할부일지언정 쾌적한 냉방 속에서 이동할 수 있는 수단인 자동차를 구입할 궁리부터 한다. 방콕이 교통지옥으로 일컬어져도 태국인들의 자동차 사랑은 그칠 줄 모른다. 태국에서 ‘전시 이벤트의 꽃’으로 여겨지는 자동차 판매 박람회 중에서도 가장 인기를 끄는 ‘방콕 모터쇼’가 제일 무더운 이맘때쯤 열리는 것도 그런 이유인 듯 싶다. 올해도 어김없이 이달 초에 방콕 므엉통타니 전시장 챌린저홀에서 ‘방콕 모터쇼 2021(제 42회 방콕 인터내셔널 모터쇼 2021)이 열렸다. 무려 30여개 내외의 세계적인 자동차 브랜드가 선보인데다가 전시만이 아닌 열띤 실판매 행위가 현장에서 진행됐다. 코로나19 사태 여파 와중이지만 각 사의 세일즈 파워뿐 아니라 마케팅력이 총동원되어 전사적 역량을 겨루는 명실공히 태국 내 가장 큰 규모의 자동차 전시·판매 행사였다. 이번 방콕 모터쇼 2021에서도 여느 해와 다름없이 ‘톱 10 판매 리스트’는 ①도요타 4406대 ②마즈다 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