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 모터분야의 글로벌 리딩 기업인 일본전산(Nidec)이 국내 공조기업인 한온시스템(Hanon Systems)의 인수 위해 6조 원 규모의 딜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경제에 따르면, 한온시스템의 대주주인 사모펀드(PEF) 한앤컴퍼니는 일본전산과 한온시스템에 매각을 위한 주요 합의를 마쳤고, 가격 등의 세부 조건을 진행 중이다. 매각 대상은 한앤컴퍼니의 보유 지분 50.50%와 2대 주주인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의 지분 19.49% 등 총 69.99%다. 현재 한온시스템의 매각은 모건스탠리와 에버코어가 주관 중이다. 코스피(KOSPI) 상장사인 한온시스템의 시가총액은 약 7조 원 수준으로 경영권 프리미엄을 고려해 6조 원 규모에서 매각 협상이 진행될 것으로 증권가에서는 예상되지만, 최종 매각협상에서 2000~3000억 정도의 이견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온시스템 매각 예비입찰에는 일본전산을 포함해 글로벌 PEF인 칼라일 그룹과 베인캐피털 등 재무적 투자자와 독일 말레, 프랑스 발레오, 일본 칼소닉 칸세이 등 글로벌 자동차 부품업체 5~6곳이 참여했다. 국내 유력 인수 후보였던 LG전자와 한라 그룹은 불참은 선언해 해외에서 한온시스템의 새로운 주인
2022년에 유망한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업의 코스닥(KOSDAQ) 행이 예정되어 있다. 한국거래소(KRX)는 2022년 코스닥 상장을 앞둔 소부장 기업이 10여 개에 이른다고 밝혔다. 이지트로닉스, 퓨런티어, 비씨엔씨, 나래나노텍, 아셈스, 풍원정밀, 지투파워, 에이엘티, 범한퓨얼셀, 성일하이텍, 세아메카닉스, 넥스트칩 등이 12월 15일을 기준으로 한국거래소에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하고 상장을 기다리고 있다. 2020년부터 도입된 소부장 특례 상장뿐만 아니라 일반 상장, 기업인수목적회사(SPAC)를 통한 우회상장까지 여러 방식으로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이 중 가장 빠르게 상장되는 기업은 이지트로닉스, 비씨엔씨, 나래나노텍이다. 3개 기업은 11월에 심사 승인을 마쳤고 증권신고서 제출을 올해 안에 마친 뒤 2022년 1분기 중 상장 일정을 정해 공모 절차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사업 분야도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전력, 시스템반도체, 개발업체 등 다양하다.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핵심 장비인 PI코터(도포장비)와 PI오븐(Oven)을 생산하는 나래나노텍 외에도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생산에 필요한 박막금속 가공(포토에칭) 분야의 풍원정밀을
아크 인베스트(ARK Invest)가 투명성에 중점을 새로운 상장지수펀드(ETF)를 출시한다. 12월 8일 캐시 우드(Catherine D. Wood) 아크 인베스트 최고경영책임자(CEO) 겸 최고투자책임자(CIO)는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아크인베스트의 신규 ETF인 ‘ARK 투명성 ETF(CTRU)’의 거래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캐시 우드는 2020년 아크 이노베이션 ETF의 152%라는 경이적인 수익률을 달성해 서학개미들로부터 ‘돈나무 누나’ 또는 ‘돈나무 언니’라는 칭호로 불리고 있다. 아크 인베스트의 9번째 ETF이자 2021년 2번째로 출시되는 ETF인 ‘CTRU’의 수수료는 0.55%로 기존 ETF의 수수료가 0.75%인 점을 감안하면 상당히 저렴한 편이다. ‘ARK 투명성 ETF’가 중점적으로 보는 점은 환경‧사회‧지배구조(ESG)이며 그 중에서도 지배구조에 해당하는 기업정보 투명성에 중점을 둔다. 기업이 정보를 얼마나 투명하게 공개하는지, 소송에 연루되지는 않았는지를 고려해 가장 투명한 100개 기업을 선정해 지수를 추종한다. 한편, 아크 인베스트의 대표 ETF인 ARK 이노베이션 ETF는 2021년에 들어서 20% 가까이 하락세다. 바이오 기업에
글로벌 기업 인텔(Intel)이 애리조나 주(Arizona State)에 200억 달러(원화 약 23조 5700억 원)를 투입해 팹 52(Fab 52) 반도체 공장과 팹 62(Fab 62) 반도체 공장을 설립한다. 공장 설립이 완료되면 애리조나 주 챈들러 오코틸로 캠퍼스에 있는 인텔 반도체 공장은 총 6개로 늘어나게 된다. 양산 목표는 2024년으로 두 공장은 미국 반도체 입지를 제고하는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9월 24일 공장 착공식에서 인텔 팻 겔싱어 CEO는 “반도체 공급망이 유연성을 갖추면서 미국 유일한 첨단 반도체 기업으로 반도체 리더십을 되찾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한, “외부 고객에게 생산량을 판단하기는 이르지만 매주 수 천 개에 달하는 웨이퍼를 생산할 것”이라면서 “연말까지 또 다른 반도체 산업 단지 건설 계획을 발표해 향후 반도체 공장이 8곳으로 늘어날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경쟁기업인 삼성전자는 미국에 170억 달러(원화 약 20조 345억 원)을 투입해 파운드리 제2공장 부지를 선정 중에 있다. TSMC도 애리조나 주에 360억 달러(원화 약 42조 4260억 원)을 투입해 반도체 생산랑니 6개를 증설할 계획이다.
대만 전자기기 제조기업 폭스콘(Foxconn)이 미국의 전기차 기업 로즈타운 모터스(Lordstown Motors Corporation)의 오하이오 공장을 인수했다. 1일 폭스콘이 로즈타운 모터스의 오하이오주 공장을 2억 3000만 달러(한화 약 2732억 원)에 인수하기로 로즈타운 모터스와 합의했다. 또한 주당 6.8983 달러(한화 약 8250원)에 로즈타운 보통주 약 5000만 달러(한화 약 598억 원)를 매입하기로 합의했다. 합의에는 로즈타운의 허브 모터 조립라인, 배터리 모듈, 포장 라인 자산, 특정 지식재산권이 제외됐지만, 로즈타운의 대형 트럭은 인듀런스(Endurance)의 계속 생산은 포함됐다. 로즈타운 오하이오 공장은 전체 면적이 620만 평방피트 규모로 지난 2019년 제너럴모터스(GM)로부터 인수했다. 폭스콘은 2022년 4월부터 인듀어런스를 생산한 뒤 2023년부터 다른 전기차 기업인 피스커(Fisker)의 전기차를 생산할 계획이다. 폭스콘 류양웨이 회장은 “이번 협력을 통해 북미 시장에서 전기차 생산 능력을 구축하려는 폭스콘의 목표가 더 빨리 실현될 것”이라며 “폭스콘의 전기차 사업과 혁신 전략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
이차전지 기업인 원준이 오는 27일, 28일 양일간 일반 투자자를 대상으로 공모주 청약을 진행한다. 원준은 2차전지 양극재와 음극재와 같이 첨단소재 생산용 열처리 장비와 공정 기술을 공급하는 기업이다. 청약 주관사는 NH투자증권이다. 원준은 지난 15~!6일 양일간 진행한 기관 투자자 대상 수요예측 결과 공모가격을 희망밴드 상단을 초과한 6만 5000원으로 결정했다. 희망밴드는 5만 2000원에서 6만 원의 범위다. 양일간 신청한 국내외 기간은 1466곳이며 수량은 10억 5942만 9000주로 집계됐으며, 수요예측은 1464.1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원준은 “수요예측에 참여한 전체 기관 투자자 중 희망 밴드 상단인 6만 원을 초과한 금액을 약 83%가 제시했다. 기업가치에 대한 시장의 평가, 향후 성장성 지표 등을 두고 주관사 NH투자증권과 협의 후 공모가를 확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소 15일부터 최대 6개월까지의 의무보유 확약 부문에서 확약을 내건 기관은 총 640 곳으로 수량은 4억 6942만 주로 전체 44.3%를 차지한다. 원준은 코스닥 상장 이후 연구개발 및 시설투자를 통해 열처리 솔루션 분야의 글로벌 최고 기업으로 성장하겠다는 포부를
중국 전기자동차 제조기업인 샤오펑 모터스(小鹏汽车)가 홍콩 증권시장에 상장해 18억 달러(한화 약 2조 316억 원)의 자금을 조달할 전망이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홍콩 증권시장에서 주당 165홍콩 달러(한화 약 2만 3987원) 가격으로 판매해 총 18억 달러(한와 약 2조 316억 원)를 마련한 샤오펑 모터스가 뉴욕권시장(NYSE)과 홍콩 증권시장 등 주요 시장에서 이중 상장을 추진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샤오펑 모터스가 공개한 투자 설명서에서는 이번 상장을 추진하면서 샤오펑 모터스의 전체 자본 5%에 해당하는 8500만 주를 팔았으며 1275만 주의 초과배정옵션(Green Shoe)를 실행해 2억 7000만 달러(한화 약 3053억 7000만 원)를 추가로 조달할 수 있다. 뉴욕증권시장에서 샤오펑 모터스는 미국 예탁증서(ADR)는 1% 가까이 하락한 44.32달러(한화 약 5만 125 원)에 거래를 마쳤다. 2020년 8월 뉴욕증권시장에 미국예탁증서(ADR) 형태로 상장된 이후 ADR 가격은 2배로 상승했지만 최고치를 기록한 11월의 64.28달러(한화 약 7만 2700 원)에 못 미치고 있다. 2020년 8월 초과배정옵션을 실행한 샤오펑 모터스는 1
새마을금고중앙회(회장 박차훈)와 새마을금고복지회(대표이사 최천만)가 업무협력을 통해 사회적경제조직의 ‘MG eshop’ 입점을 지원한다. MG eshop은 새마을금고 임직원 및 전국 1300여 금고에서 사용하는 물자구매 채널이다. 사회적경제 구매채널을 통해 새마을금고는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워진 사업 환경을 함께 극복하고, 나아가 지역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자 사회적경제조직의 입점 지원을 결정했다. 이번에 입점하는 9개 사회적경제조직은 새마을금고중앙회에서 진행하는 ‘MG희망나눔 소셜 성장 지원사업’ 3기 선정팀으로 우리 사회에 산재하는 다양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투철한 소셜미션을 가지고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9개 사회적경제조직은 ▲대지를위한바느질(대표 이경재, 친환경 로컬 패션상품) ▲우시산(대표 변의현, 폐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우산 및 생활소품) ▲농업회사법인 과일드림(대표 황찬영, GAP/저탄소 인증 친환경 사과 및 컵과일) ▲리벨롭(대표 한동귀, 친환경 소재 주방 및 생활용품) ▲마린이노베이션(대표 차완영, 해조류 추출물 양갱 및 플라스틱/펄프 대체 소재) ▲스페이스선(대표 엄수정, 친환경 비건 비누/화장품) ▲스프링샤인(대표 김종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