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제품 20종이 카본 트러스트로부터 ‘제품 탄소 발자국’ 인증을 취득했다. 또한, 2020년 ‘제품 탄소 발자국’ 인증을 받은 메모리 반도체 5종의 후속 제품들도 탄소 저감을 인증받아 ‘탄소저감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지난 9월 시스템 반도체 제품 4종에 이어 SODIMM(8㎇/16㎇), LPDDR5(8㎇/12㎇/16㎇) 등 메모리 제품 제품 20종에 대해 ‘제품 탄소 발자국’ 인증을 받았고 메모리 제품 5종(HBM2E(8㎇), GDDR6(8㎇), UFS 3.1(512㎇), Portable SSD T7(1TB), microSD EVO Select(128㎇)은 ‘탄소저감 인증’을 받았다. ‘탄소저감 인증’은 ‘제품 탄소 발자국’인증을 받은 제품이나 후속 제품의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실제로 감소시켰을 때 받는 인증이다. 해당 5개 제품의 생산과정에서 저감한 탄소 배출량은 약 68만t으로 30년생 소나무 약 1억 그루가 1년 동안 흡수하는 탄소량과 동일한 수치다. 삼성전자는 이전 세대보다 크기가 줄면서 생산성이 향상된 차세대 메모리 칩으로 인해 제품 당 전력 사용량과 투입 원자재량 감축에 성공했다. 제품의 소비전력
삼성전자의 브랜드 가치가 746억 달러(원화 약 88조 5129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 10월 20일 브랜드 컨설팅 기업 인터브랜드(Interbrand)가 발표한 ‘글로벌 100대 브랜드(Best Global Brands)'에서 삼성전자는 전년 동기 대비 브랜드 가치가 20% 이상 성장한 746억 달러를 기록하며 Top5에 포함됐다. 2020년 처음 Top5에 진입한 삼성전자는 2021년에도 Top5의 지위를 유지하게 됐다. 삼성전자의 브랜드 가치는 2012년 9위에 처음 10위권에 진입한 이후 2017년 6위 2020년 5위로 브랜드 가치 순위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인터브랜드는 “삼성전자의 브랜드 가치 상승 주요 요인으로 ▲고객 중심(Customer-centric) 경영체제 개편 ▲지속가능경영 활동 ▲‘갤럭시 Z 플립3’, ‘Neo QLED’, ‘비스포크(BESPOKE)’ 가전 등 혁신 제품 출시 ▲AI‧5G‧전장‧로봇 등 미래 기술 선도를 위한 지속 투자 등을 꼽으며, 이 부분들이 이번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한편, 인터브랜드는 ▲기업의 재무성과 ▲고객의 제품 구매시 브랜드가 미치는 영향 ▲브랜드 경쟁력 등을 종합 분석해 브랜
삼성SDI가 미국에 자동차 배터리 공장을 짓는다. 10월 22일(현지시간) 삼성SDI는 미국 자동차 제조사인 스텔란티스(Stellantis)와 전기차 배터리와 전기차 모듈을 생산하는 합자회사와 공장 건립에 대한 내용이 포함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2025년 상반기부터 미국에서 삼성SDI는 23GWh 규모 배터리 셀과 모듈을 생산하고, 추후에 생산 규모를 40GWh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삼성SDI는 공장 건설 비용 등 재무 방면 세부 사항은 공개하지 않았으며 배터리 생산 공장 부지 선정은 현재 평가 중이다. 합자회사가 생산한 배터리는 스텔린티스 미국, 캐나다, 멕시코 공장에 공급할 예정이다. 삼성SDI는 울산, 중국, 헝가리 등에 배터리 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BMW, 포드 등에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61종 스마트폰이 세계 6위 스마트폰 시장인 러시아에서 판매 중단 위기에 처했다. 10월 21일(현지시각) 로이터 통신은 러시아 모스크바 중재법원이 10월 19일 삼성전자 스마트폰 61개 제품에 대해 판매 금지 판결을 내렸다고 보도했다. 판매 금지 품목에는 폴더블 폰을 포함해 갤럭시Z폴드3‧플립3‧S21 등 삼성페이 기능이 들어간 대부분의 삼성 스마트폰이 포함됐다. 이번 판결은 지난 7월 스위스 기업 ‘스크윈SA'가 삼성전자 러시아 법인을 상대로 제기한 소송에서 스크윈SA가 승소함으로써, 벌어진 후속 조치다. 모스크바 중재법원은 판결 당시 삼성전자 스마트폰에 탑재된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 ‘삼성페이’가 스크윈SA의 기술을 무단으로 사용했다는 주장에 손을 들어줬고 8월 1일 삼성전자는 판결에 항소했다. 판매 금지 조치에 삼성은 러시아 스마트폰 사업에 경종이 울린 상황이지만, 1심 판결에 항소심이 진행 중이기 때문에 당장 판매가 중단된 것이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 또한, 특허 침해 소송에서 스마트폰 판매 중지 결정이 나온 것도 이례적이지만, 삼성 측에서는 충분히 반격이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외국인 투자자들의 강력한 순매수세가 삼성전자로 몰려들면서 삼성전자의 동학개미들이 긴장감을 고조시키고 있다. 이달 들어 삼성전자를 매수하던 외국인 투자자들의 순매수는 1조 이상으로 전환됐다. 이는 삼성전자의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업황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된다. 18일 한국거래소(KRX)에 따르면, 9월 들어 17일까지 외국인들이 삼성전자 주식을 순매수한 금액은 1조 1347억 원으로 주식수는 1475만 주다. 2020년 11월 1조 4366억 원(2371만 주) 이후 무려 10개월 만의 매수 우위세다. 2020년 당시에는 반도체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났으나 공급이 이를 따라가지 못해 반도체 가격이 폭등하면서 외국인 매수세 늘어났다. 이에 한 달 넘게 7만원대를 유지 중인 삼성전자 주가도 조금씩 오르고 있다. 8월 20일 7만 2500원까지 떨어진 삼성전자 주가가 회복세에 접어들더니 추석 연휴 직전인 지난 17일에는 7만 72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삼성전자가 집에서 편안하게 피트니스 코칭을 받을 수 있는 ‘삼성 홈 피트니스’ 서비스를 공개했다. ‘삼성 홈 피트니스’ 서비스는 호텔신라 운동연구소와의 협업으로 만들어졌으며, 홈트레이닝을 원하는 고객들이 집에서도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운동 능력과 취향에 맞게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삼성 홈 피트니스는 각 분야 전문 트레이너들의 체계적인 커리큘럼으로 구성되며, 바디웨이트‧댄스‧필라테스‧요가 등 운동 종목이 다양한 것이 특징이다. 이 밖에 운동 시간, 운동 효과, 소모 칼로리 등 각종 운동 정보를 아이콘, 그래프, 차트 등으로 제공해 수강자가 원하는 정보를 쉽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 서비스에는 온라인 학습 솔루션인 온더라이브(ONTHELIVE)가 적용돼 수강자가 트레이너와 고화질로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다. 이 밖에 TV‧PC‧스마트폰‧태블릿 등 삼성 기기들과 쉽게 연동되며, 삼성닷컴을 통한 실시간 예약ㆍ수강 시스템이 갖춰져 있어 편리하다. 삼성 홈 피트니스는 ▲홈트레이닝에 입문하는 초보자들을 위한 스타 강사의 데일리 라이브 서비스인 ‘베이직’ ▲최대 8명의 수강자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리미엄’ ▲오직 나
시장조시기관 가트너가 2021년 1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량을 공개했다. 1위는 2020년 1분기에 비해 26% 증가한 삼성전자가 여전히 굳건히 자리를 지킨 가운데 2위는 애플, 3위는 샤오미가 뒤를 이었다. 가트너는 2020년부터 억제된 수요와 소비자의 전망 개선, 지속적인 원격 학습과 재택근무 등의 요인이 20201년 1분기의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량 증가를 이끌었다고 분석했다. 전세계 각지의 코로나19 상황이 개선되고 시장이 점차 열리면서 소비자들이 비필수 소비품을 구매하기 시작했다는 의미다. 하지만 가트너 안슐 굽타(Anshul Gupta)수석 연구 책임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비교 기준이 2019년보다 낮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라고 지적했다. 1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량에서 삼성전자는 7661만 대를 팔아 시장 점유율 20.3%로 1위를 차지했다. 가트너는 150달러(한화 약 16만 원) 이하 중저가 스마트폰 출시와 주력 제품인 5G폰 조기 출시가 삼성전자 스마트폰 판매 증가를 이끌었다고 평가했다. 2위에 오른 애플은 5855만대를 판매해 15.5%의 점유율을 기록했으며, 2020년에 처음으로 5G 폰을 출하했다. 2021년에도 수요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길리어드사이언스와 체결한 위탁생산 계약 금액이 60% 가량 늘어난 3006억 원으로 공시됐다. 지난 2018년 이뮤노메딕스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체결한 1,845억원 규모의 의약품 위탁생산(CMO) 계약 금액은 최종적으로 3,006억원으로 증가했다고 7일 공시했다. 계약 상대방도 이뮤노메딕스에서 길리어드사이언스로 변경됐다. 길리어드사이언스가 2020년 10월 이뮤노메딕스를 인수하면서 계약 상대가 변경되면서 계약 상대도 변경된 것이다. 2018년 이뮤메딕스와 346억 원 규모의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0년 1845억 원으로 계약금액이 증액됐다. 이 계약금액은 2021년에 다시 한번 늘어났고 계약 기간도 2025년까지 늘어났다. 위탁생산 항목은 양사 합의에 따라 비공개처리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