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달랏이다. 지난 7월 베트남 남북철도 10일간 여행에 이어 4박 5일 ‘달랏(Da Lat)’을 찾았다. 달랏은 해발고도 1400미터에 위치했다. 사시사철 기온은 섭씨 18~23도다. 덥지도 춥지도 않아 ‘봄의 도시’로 불린다. 동남아 특유의 열대우림과는 달리 지중해성 기후로 소나무숲이 울창하고 일년내내 꽃이 핀다. 달랏이 더욱 눈길을 끄는 것은 프랑스가 식민지 시절 다낭 등과 같이 선택한 최적의 휴양지라서다. 시내에는 팰리스호텔 같은 프랑스풍의 건축물이 많이 남아있어 ‘미니 파리’로 불리기도 한다. 여기에다 프랑스가 만든 산중 인공호수 ‘쓰엉흐엉(Hồ Xuân Hương)’이 도시를 품고 있다. 베트남 응우웬(阮朝, Nguyễn triều) 왕조 마지막 황제 바오다이의 여름별장도 관광객을 맞고 있다. 과일, 와인, 커피로도 유명한 달랏은 일년내내 꽃이 피기 때문에 ‘꽃의 도시’로 불린다. 5000여 농가가 1044만 평에 달하는 농장에서 연간 10억 송이의 꽃을 생산한다. 가로등에 달려있는 도시 상징도 매화꽃 문양이다. “달랏의 꽃이 무척 아름다워 베트남 전쟁에도 이 달랏만은 지킬 수 있던 일화가 있다. 달랏은 식민 시절부터 프랑스가 점 찍어둔 땅으
후에(HUE)에서 아침을 맞았다. 옛말에 ‘금강산 구경도 식후경(食後景)’이라고 했다. 금강산 구경도 밥부터 먹고 하라는 것, 호텔 체크아웃하고 택시를 탔다. ‘퀴안 분보후에 바 트엣’. 후에 특산음식인 ‘분보후에’(BIN BO HUE)로 유명한 집이다. 이른 시간에도 발 디딜 틈 없이 장사진이었다. 식당은 문턱이 없다. 도로에서 바로 들어간다. 입구에서 주인인 듯한 한 여성이 선지를 자르고 있었다. 다른 직원은 대접을 두 줄로 정렬시켜 고명을 넣으며 국수를 말았다. ‘분보후에’는 매콤한 쌀국수다. 한국식으로 하면 ‘짬뽕’이다. 소고기에다 돼지고기와 숙주나물, 선지, 동그랑땡, 도가니 등을 넣었다. 식탁은 좁은 통로를 두고 다닥다닥 붙어 있었다. 손님들은 낚시의자와 낮은 식탁에 앉아 쌀국수를 먹었다.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맛있다. 후에에는 이름난 전통 음식들이 많았다. 분보후에, 껌헨(조개 국밥, 재첩), 반코아이(작고 바삭한 반쎄오) 등이 있다. 전날 흐엉강(香江) 강변에서 먹은 ‘한막뜨 조개국밥’은 재첩 비빔밥이었다. 김석운 베트남경제연구소장은 “의자가 낮을수록 가격이 낮다”며 낮은 식탁과 의자에서 다닥다닥 붙어 국수를 먹고 있는 이들을 보며 웃었다. ■
다낭에서 15인승 고급리무진을 타고 후에(Hue)에 2시간만에 당도했다. 후에는 한국의 ‘경주’처럼 유서 깊은 베트남의 고도(古都)다. 베트남 최초 통일 왕국이자 마지막 왕조(1802년부터 1945년까지)인 응우옌 왕조가 정한 도읍지다. 하노이로 옮겨갈 때까지 143년간 베트남의 수도였다. 베트남 중부 투아티엔 후에라는 성(Thua Thiên-Hue Province)의 성도인 후에는 인구는 약 45만 5240명이다. 많은 역사적 기념물과 건축물들을 보유한 구시가지는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후에는 베트남인에게 역사 그 자체이자 정신을 가꾸어가는 도시이기도 하다. 프랑스 식민지, 베트남 전쟁 역사까지 ‘영광과 상처’가 켜켜이 쌓여있는 곳이다. 리무진에서 내려 택시로 옮겨 타고 호텔로 이동했다. 다낭보다 후덥지근했다. ■ 2대 황제 민망황제릉...엄청난 크기와 호수와 건축물 아름다워 고풍스런 장식과 왕궁 그림이 장식된 호텔에 체크인 했다. 곧바로 응우옌 왕조의 2대 황제인 민망황제의 무덤으로 갔다. 후에의 3대 유적지를 꼽을 때 후에왕궁과 카이딘황제릉, 민망황제(1820~1840)릉을 가장 많이 꼽힌다. 택시는 후에시를 관통하는 흐엉강(Perf
다낭에 밤이 왔다. 다낭에서 30km 떨어진 예쁜 강변도시 호이안으로 갔다. 거기서 전통배를 타고 강물에 비치는 보름달에 소원을 빌었다. 다낭 시는 중앙도시다. 베트남 중앙도시는 하노이-호치민-하이퐁-다낭-컨터 6개다. 다낭과 맞붙은 호이안시는 중앙도시는 아니다. 광남성 안의 오래된 도시다. 15세기 이래 세계무역항으로 발전해왔다. 동서양의 독특한 건축양식을 띠어 199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선정되었다. 이 때문에 호이안을 찾기위해 다낭을 찾을 정도로 유명한 관광지가 되었다. 원래 무역항이라 동남아시아인 일본인, 중국인이 모여들었다고 한다. 일본-중국-베트남의 문화가 융합되는 도시다. 다낭에서 택시로 30분. 도시에 들어서 강 하나 넘으니 거기는 불야성이었다. 옛날 도시인 소위 ‘올드타운’ 구경을 찾아온 이들로 북적였다. 밤이라서 잘 분별을 할 수 없지만 건물 벽은 대부분이 노란색이다. 건물 높이는 대개 2층이고 1층과 2층 사이에 기와 처마가 있었다. 딱 알겠다. 이 도시는 낮보다 밤이 핫하다는 걸. 형형색색 알록알록한 등이 켜지면 도시는 환상적으로 변신한다. 여기저기서 호객하는 목소리가 울려 퍼졌다. 먼저 호이안 특산 국수를 뚝딱 먹고, 전통 야시
“오대산 같은 높이 산꼭대기서 거인을 만났네요.” 최근 방영된 인기 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에서는 바다 위로 떠다니는 3.2km 목포해상케이블카가 나온다. 이 케이블카를 타보면서 “‘개벽’이 이런 것”이라는 생각을 했다. 한국에서는 남해나 여수케이블카도 명물이 되었다. 이전 설악산 권금성 케이블카나 남산케이블카도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았지만 이제는 차원이 달라졌다. 그렇지만 바나힐(Bana Hills)행 케이블카에 비하면 ‘새발의 피’였다. 다낭 바나힐행 케이블카(총 5개)를 타면서 마치 미지의 초대형 거인을 소재로 한 일본 애니메이션 ‘진격의 거인’(작가 이사야마 하지메) 속 풍경으로 들어간 느낌이었다. 그건 스멀스멀 공포감이 스며들었기 때문이다. ■ 바나힐, 해발 1487미터 정상-거리만 5.042km-케이블카로만 25분 케이블카 유리벽에 빗방울이 다닥다닥 묻어있었다. 밖은 온통 안개 속이었다. 정상 근처에서 다시 한번 유리벽을 치고 가는 빗발의 기습을 당했다. 운행거리 5.042km, 케이블카는 무려 25분간 정상을 향해 올라갔다. 바나산 정상은 해발 1487미터였다. 케이블카에서 내려 그 높이에 다시 놀랐다. 우리나라 오대산 같은 산 정상에 조성된…
내가 묵은 레지던스는 40층 알타라(Altara)였다. 30층 내 방에서 퀴논 시내와 해수욕장, 그 반대편으로 항구가 보였다. 소위 ‘시티뷰, 바다뷰’가 끝내줬다. 전날 저녁을 먹고 커피와 음료수를 먹었던 ‘불야성’이었던 모래사장에는 아침 일찍부터 해수욕하는 이들이 보였다. 시선을 돌려 퀴논 시내를 한눈에 훑어보니 오른쪽으로 항구다. 어선이 정박한 ‘만 안의 만’ 그리고 그 바깥 무역항에는 컨테이너 야적장이 이어졌다. 그 유명한 프랑스 ‘풀만’ 호텔도 우뚝 서 있다. FLC 호텔 등 10여개만이 30층 높이의 건물이었다. 10층 안팎의 건물이 몇 개, 그리고 2~3층이 대부분인 소박한 도시였다. 시내 외곽 쪽으로 신도시가 건설 중이었다. ■ 퀴논성당과 랑송수도원 천주교 유서 깊은 건물 오전에 퀴논 유적지들을 둘러보기로 했다. 먼저 찾은 곳은 퀴논성당이었다. ‘농 성당’으로 불리는 이곳은 베트남인이 자주 쓰는 모자 ‘농’을 닮았다. 정말 꼭대기가 농을 덮어쓴 것 같았다. 평일 낮 인적이 드문 성당은 적막했다. 건물들은 정갈하고 단아했다. 본당 건물 첨탑 위쪽 ‘농’을 보다가 성당 안으로 들어가 봤다. 서울 명동성당 같은 역사의 숨결이 느껴졌다. 아니 더 유럽풍
빈딩성 퀴논시는 베트남 중부 항구도시다. 인구는 약 43만 명이다. 현지인의 발음은 ‘꾸이년’이다. 오늘부터 [Viet 철도여행] 컨셉을 좀 바꾸었다. 당초 하기로 한 열차여행을 퀴논 방문부터는 9인 미니버스 이동 등 변화를 주기로 했다. 베트남 동해안 철도여행 취지는 살리면서 새 도전미션에 도전하기로 한 것이다. 출발 시각은 오전 6시, 이동거리는 4시간. 서둘러 호텔 체크아웃하고 밖으로 나오니 새벽 해수욕을 마치고 노인과 한 부부들과 마주쳤다. 특히 노인은 상의를 벗은 채 유유자적으로 호텔로 돌아오는 중이었다. 미니버스는 9인승이었다. 계약은 우리팀이 했다. 그리고 퀴논 가는 이들이 합승과 카풀을 신청한다. 우리가 묵은 호텔에서 처음으로 손님을 태우고 카풀 멤버가 서있는 곳을 하나씩 찾아간다. 버스는 이미 해가 떠오른 해안을 끼고 달렸다. 바다에는 벌써 해수욕을 즐기는 사람들로 북적였다. 사람들이 부지런한 것인지, 아니면 이 시각에도 바다는 해수욕이 가능할 수온을 유지하고 있는지 궁금했다. 아마 둘 다 맞는 것 같다. 차창 밖으로 체조하는 이와 산책이나 조깅을 하는 이들이 스쳐간다. 개와 산책 나온 이들의 실루엣도 스쳐갔다. 리무진 미니버스는 달리면서도…
나트랑(Nha Trang)은 베트남어로는 낫짱이다. 현재 베트남어 의미로는 ‘하얀 집’이라는 뜻이지만 참족 언어로 “Ya Tran” 혹은 “Ea Trang”에서 유래하였으며 ‘갈대가 우거진 강(Reedy River)’이라는 뜻이다 무려 6km에 이르는 길고 완만한 해변, 복잡하지 않게 늘어서 있는 선베드, 해변을 둘러싼 공원과 그늘을 드리운 야자나무는 베트남 최고 휴양지의 상징이다. 일조량이 풍부한 날씨로 ‘베트남의 나폴리’라는 명성을 얻었다. 아침에 눈을 뜨니 호텔 창문으로 비치는 일출의 모습이 장엄하다. 절로 발길이 바다로 향했다. 걸어서 3~4분 거리 해수욕장에 갔다. 해안은 모래사장, 공원, 바다로 연결되었다. 나트랑 해변이 왜 좋으냐고? 가보면 단박에 알게 된다. 에메랄드 빛 바다와, 천연 백사장, 부드러운 모래사장이 끝없이 이어지는 해안선이 정말 아름다웠다. 특히 나트랑 해변은 러시아인들이 가장 좋아한단다. 세계 3대 휴양지의 명성도 얻은 나트랑 해변에는 고급 호텔들이 해안선을 따라서 쭉 들어서 있다. ■ 아름다운 섬 전체가 테마파크 ‘빈펄랜드’ 나트랑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혼쩨섬 빈펄랜드(Vinpearl Land)’다. 베트남에서도 가장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