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의 첫 주미 대사에 강경화 전 외교부 장관(70·여), 주일 대사에는 이혁(李赫) 전 주베트남 대사(67)가 내정됐다. 동아일보에 따르면 이 대통령의 첫 한미·한일 정상회담을 앞두고 공석이었던 주미·주일 대사 인선에 나서면서 본격적인 외교 정상화에 나선 것으로 전했다. 18일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대통령실은 강 전 장관과 이 전 대사에 대한 아그레망(외교사절에 대한 주재국 동의) 절차에 착수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미국과 일본 정부에서 아그레망을 받으면 이 대통령의 신임장을 받아 현지에 부임할 수 있으며 이어 파견국 정상의 신임장 절차를 거쳐 대사로 정식 부임한다. 강 전 장관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4년여간 문재인 정부 초대 외교부 장관을 지냈다. 외교부 특채 출신으로 외교부 국장을 지냈고 유엔에서 코피 아난-·반기문-안토니우 구테흐스 등 사무총장에게 중용되는 등 국제무대에서 활동해왔다. 현재 미국 싱크탱크 아시아소사이어티 회장을 지내고 있는 강 전 장관은 정식 임명되면 한국 최초 여성 외교부 장관에 이어 첫 여성 주미 대사가 된다. 이 전 대사는 위성락 국가안보실장과 외무고시 동기(13회)로 1980년 외교부에 입부해 주일본 공사,
외교부 강경화 장관은 중국 왕이(王毅) 외교부장과 일본 외무부 모테기 도시미쓰(茂木 敏充) 외무대신이 참석한 한중일 외교장관 화상회의를 지난 20일 주재했다. 이번 화상회의는 한중일 외교부 장관들이 자국의 코로나19 확산 현상과 대응상황에 대해 정보를 공유하고 세계경제에 부정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했다. 외교부는 화상회의를 통해 국가 간의 교류협력과 코로나19 확산 차단, 그리고 조기 종식을 위해 3국이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강경화 장관은 대한민국 행정부가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노력한 점과 성과에 대해서 설명하고 한중일 3국이 최선을 다하는 와중에도 교류협력의 위축과 경제적‧사회적 충격을 최소화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왕이 부장은 중국내 방역상항을 설명하고 모테기 대신은 일본내 방역상황에 대해서 설명하고, 국제사회와의 경합공유와 협력강화, 세 나라간 보건당국의 협력을 강화할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고 회의에서 제시된 방안들을 외교당국에서 긴밀히 검토해 3국 보건장관 회의 개최에 대한지지 입장들을 표명했다. 또한, 사우디아라비아가 추진 중인 G20 특별화상정상회의 논의 방향과 2020 도쿄 올림픽의 완전 형태의 개최에 대해서도지
"인도네시아가 한국 국민의 입국 금지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 감사한다. " 지난 3월 3일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인도네시아 레트노 마르수디(Retno L.P. Marsudi) 외교부 장관과 전화통화를 가지고 양 국의 코로나19에 대한 방역과 외교적 조치에 대해 이야기했다. 외교부는 인도네시아 레트노 장관과의 통화에서 강경화 장관이 한국 정부가 범정부적인 차원으로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선제적인 조치와 총력적인 대응 취하고 있음을 설명했다고 전했다. 또한, 한국 방역 역량에 대해 인도네시아 측에서 신뢰를 가져주고 한국 국민의 입국 금지 조치를 취하지 않음에 대해 감사를 표했다. 레트노 장관 역시, 한국의 방역 역량에 대해 높이 평가하고 인도네시아에서도 최근 확진자가 발생했다고 이야기했다고 전했다. 레트노 장관은 “한국-인도네사아는 밀접한 경제 관계 및 활발한 인적 교류를 감안해 한국인의 입굼 금지 조치는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한국도 인도네시아인들에 대한 ㅇ닙국 관련 정책을 유지해주기를 당부 한다.”고 말했다. 외교부는 양국간 우호‧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현 상황을 극복하는데 공감했고, 양국 정부 간 지속적으로 긴밀하게 소통해 나가기로 했다며 통화를 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