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동남아학회 연례학술대회(KASEAS Conference 2024)에 거의 100명이 참석했어요.” 김동엽 부산외대 아세안연구원장이 제18대 한국동남아학회장으로 연례학술대회 마지막날 단독후보로 출마해 선출되었다. 김 원장은 당선 축하와 함께 소감을 묻는 아세안익스프레스에 우선 학술대회에 대해 언급했다. 그는 “부산에서 열린 이번 학술대회는 거의 100여명이 참석했다. 총 25패널이 참가했다. 총 발표수는 69개이고 한일공동 17개다. 3일내내 참석하고 마지막날 총회에 참석한 이들이 60여명(투표 참가자 55명)이었다. 이는 모두 전제성 17대 회장의 노력과 열정의 결과다”며 말했다. 예년 1박2일이었던 일정도 3일간 열린 것도 처음이었다. 학술대회 주제는 다양했고, 한-아세안협력사업, 한-아세안 ODA(개발원조), 한-아세안 협력기금 섹션도 눈에 띄었다. 서정인 전 아세안대사, 김영선 전 인도네시아도 참석했다. 김 원장은 “외교부의 김동배 아세안국장이 ‘한-아세안 정치 경제’ 섹션의 발제 토론을 했다. 국립외교원을 비롯한 KF아세안문화원 정부기관도 관심을 가져주었다. 한-아세안센터는 지난해 김해용 사무총장에 이어 올해도 김재신 사무총장이 점심-저녁을 냈다
“동남아시아의 2022년, 핵심 이슈를 짚어보고 2023년을 전망한다.” 전북대 동남아연구소가 올해도 (사)한국동남아학회와 함께 2월 1일(수)과 2일(목) 이틀간 동남아시아의 2022년을 돌아보고 2023년을 전망하는 동남아지역동향설명회(이하 설명회)를 개최한다. 동남아지역동향설명회는 (사)한국동남아학회의 학회지 동남아시아연구 에서 매년 특집호로 기획 출간하는 국가리뷰 내용을 필진이 직접 나서 학회원, 연구자, 대학원생 및 일반 대중과 공유하고 토론하는 학술행사이다. 동남아시아의 정치, 경제, 대외관계(한국과의 관계 포함)에서의 핵심 쟁점과 주목할 만한 사회문화적 현상을 톺아보고 논의하는 장이다. 이제는 매년 8월 개최되는 정기학술회의와 함께 연례행사로 자리잡았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 각국 리뷰를 녹화영상으로 제작하여 유튜브를 통해 송출하는 방식으로 시작된 첫 설명회 이래 동남아지역동향설명회는 매년 줌을 활용한 실시간 웨비나로 개최되어왔다. 2023년을 맞아 어느덧 5회차에 접어든 이번 설명회의 첫날에는 베트남, 태국, 캄보디아, 미얀마, 싱가포르의 2022년 동향을 짚어본다. 이튿날에는 필리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와 아세안의 동향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