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이하 ‘LG엔솔’)이 미국 전기차 회사 ‘리비안’에 차세대 배터리인 ‘46시리즈’(지름 46㎜) 원통형 배터리를 공급한다. 계약 규모만 최소 8조 원에서 최대 9조 원에 달하는 대형 계약이다. 지난 11월 8일 ‘LG에너지솔루션’은 2026년부터 5년간 미국 애리조나 공장에서 리비안에 67GWh(기가와트시) 규모의 배터리를 공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리비안 전기차 약 60~70만대 분량, 금액으로는 8~9조원 규모다. LG에너지솔루션이 전사적 역량을 투입하고 있는 46시리즈 원통형 배터리가 납품될 예정이다. 46시리즈는 기존 2170(지름 21㎜, 높이 70㎜) 원통형 배터리의 크기를 대폭 키워 지름을 46㎜까지 늘린 차세대 폼팩터다. 동일 무게당 에너지밀도가 20~30% 이상 높고 화재안전성도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46시리즈는 크게 높이가 80㎜인 ‘4680’, 95㎜인 ‘4695’로 나뉘는데 이번에 리비안에 공급되는 모델은 ‘4695’다. 전 세계 배터리사 중에 가장 선제적으로 46시리즈에 투자해온 LG엔솔이 먼저 치고 나가는 모양세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24년 12월 처음으로 46시리즈를 양산해 테슬라에 납품할 예정으로, 차세대
삼성SDI가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 설계를 확정해 2023년 양산에 들어갈 예정이다. 원통형 46파이(Φ·지름 46mm) 배터리로 지름은 46㎜로 유지하면서 높이를 95㎜, 120㎜ 등으로 다변화하는 방향으로 개발이 진행 중이다. 흔히 ‘테슬라표’ 배터리로 불리는 지름 46㎜, 높이 80㎜(4680) 규격도 46파이 제품에 포함된다. 2023년에 설계가 확정되면 양산 준비에 곧 들어가게 되며 LG에너지솔루션, 일본 파나소닉과 시점이 겹친다. 원통형 배터리를 개발했다고 밝힌 여러 중국 업체를 제외해도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파나소닉의 삼파전이 불가피하다. 성능, 안정성, 가격을 무기로 테슬라 공급 성사를 위한 경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삼성SDI 중국법인 최훈 법인장은 중국매체와의 인터뷰에서 “(46파이) 연구‧개발(R&D) 단계에 있으며 2023년 설계가 확정된다.”면서 구체적으로 “니켈 함량 90% 이상의 하이니켈 양극재, 실리콘 음극재를 적용했고 에너지 밀도는 모듈 기준으로 520와트시리터(Wh/L)다. 이는 5세대(젠5) 각형 배터리 셀의 78% 수준이다.”고 언급했다. 현재 삼성SDI는 천안에 46파이 파일럿 라인을 구축 중이다. 1기가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