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은행(World Bank) 마누엘라 페로(Manuela V Ferro) 부총재가 니혼게이자이 신문과 진행한 인터뷰에서 인플레이션 고금리 현상 등으로 동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의 위기에 대해서 경고했다. 세계은행은 동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의 경제성장률을 약 5%로 전망한 상황이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여전히 끝나지 않았고,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으로 인해 인플레이션과 무역 제재, 자원‧식량‧에너지 위기가 이어져 오고 있다는 점은 전 세계적인 현상이라고 페로 부총재는 이야기했다. 동아시아와 태평양이 전세계 경제성장의 동력으로 역할을 하고 있지만 인플레이션에 맞서는 상황은 여전히 불확실성과 하방의 가능성이 남아있음을 강조했다. 러시아, 중국 등 갈등 상화을 일으키거나 이에 동조하는 국가들에 대해 제재에 나서는 서방국가들에 맞추어 동아시아 지역의 대처방안이나 디커플링에 대해서도 국제적인 디커플링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세계 경제에 가장 영향력이 큰 미국 연방 준비 제도 이사회(Fed)에서 금리 인상과 긴축 통화의 속도에 대해서도 인상 자체는 예상된 바이기 때문에 놀라울 것이 없으며, 중요한 것은 코로나19 이후 위기 대응에서 정상화를 어떻게 할 것이냐는
월드 뱅크(World Bank)가 태국 경제 성장률을 3.4%에서 2.2로 하향 조정했다. 관광업이 경제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태국은 2020년 경제 성장률이 6,1% 감소해 20년 만에 최악의 경제 불황에 빠졌다. 월드 뱅크가 발행한 보고서는 태국의 경제활동이 2022년까지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반면, 2022년 태국 GDP 성장률은 양호한 수출과 지속적인 태국 정부의 재정 지원 조치의 영향으로 5.1%로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태국 중앙은행(Bank of Thailnad)는 태국의 2021년 GDP 성장률은 1.8%, 2022년 GDP 성장률을 3.9%로 예상했지만, 최근 코로나19의 변이 확산에 예상보다 낮을 수 있다는 의견을 발표했다. 월드뱅크는 사태 완화와 회생 조치를 고려했을 때, 태국의 공공채무 수준이 2022년 GDP의 62%까지 올라 정부의 목표 상한선이 6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지만 재정 지속가능성 리스크는 계속 통제 가능한 범위에 들어설 것으로 판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