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2일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Upbit)를 운영 중인 두나무는 가상자산 지수서비스 UBCI(Upbit Cryptocurrency Index)에 새로운 ‘BTC-ETH 듀오 전략 지수’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BTC-ETH 듀오 지수는 가상자산 시장에서 시가총액 1위인 비트코인(BTC)과 2위인 이더리움(ETH)으로 구성된 전략 지수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매월 1:1 비중으로 조정하는 동일 가중 방식을 적용한다. 지난 1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상장을 승인하면서, 대표 가상자산으로 꼽히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고, 가격도 이에 맞춰 상승하면서 두나무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보유하는 전략 지수를 설계했다. BTC-ETH 듀오 지수의 최근 1개월간 수익률은 58%에 달했다. 같은 기간 업비트 시장지수(UBMI) 수익률이 55%인 것과 비교하면, 전체 가상자산 시장의 수익률을 3%포인트(p)를 상회하는 수치로 고무적이다. 두나무는 “비트코인 현물 ETF 상장 승인으로 비트코인이 미국 제도권에 진입하면서 가상자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며 “앞으로도 투자자의 관심을 빠르게 파악해 수요에 맞는 지
가상자산 거래소이자 월렛 서비스인 비둘기 지갑(Dove Wallet)이 이더리움 예치 상품을 내놨다. 지난 2월에 1호 비트코인 예치 상품을 내놓은데 이어 2번째 예치 상품이다. 비트코인 예치 상품과 마찬가지로 디지틸 저산 전문기업 비브릭 산하의 자산운용사 블루핀을 통해 제공되는 이번 상품은 30일동안 이더리움(ETH)을 예치할 시 연 복리 8%의 이자를 이더리움으로 지급받는 고정상품이다. 비트코인(Bitcoin)이 가격 상승과 함께 시총 2위를 자랑하는 이더리움은 디파이(De-Fi)의 흥행과 이더리움 2.0 출시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은행권에서 보기 불가능한 8%의 이자를 고정적으로 제공하는 예치 상품을 내놓아 장기적 투자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선택지가 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의 금리가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가운데 높은 이자율의 가상자산 예치 서비스에 대한 관심도가 높다. 비둘기 지갑은 향후 수요가 높은 가상자산을 중심으로 사용자들의 니즈에 맞춘 예치상품을 지속적으로 개발, 제공해 나갈 계획이다.
탈중앙화 금융(De-Fi)에 대한 관심이 상승하면서 디파이 인프라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더리움 또한 이더리움 2.0 출시를 앞두고 업계 전반의 관심이 집중되는 가운데,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하는 분산 금융 시스템인 디파이 서비스에 대한 예치금 및 투자자 급증에도 관심이 쏠리는 중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비대면 산업들이 주목받는 가운데 디파이 역시 전세계 금융 타격을 받으면서 대피처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디파이 서비스는 현재 제로금리에 가깝게 변경되는 금융권의 정책에 비해 고이율을 지급하고 본인확인 절차를 거치지 않는 다는 특징이 있어 인터넷만 있다면 전세계 어떤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컴파운드(Compund) 등 디파이 프로젝트를 통해 가상자산을 예치하고 가상자산을 대출하거나 대출을 해줌으로써 얻게 되는 이자 농사(yield farming)가 성행하면서, 초기 진입자가 되기 위해 새로운 디파이 프로젝트를 찾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더리움 볼트(ETHV) 역시 디파이 프로젝트 중 하나로 초기 프로젝트 중 하나다. 이더리움 볼트는 코인닐에 신규 상장을 시작으로 스테이킹 및 디파이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
‘이더리움 볼트’가 글로벌 거래소 코인닐(Coinneal)에 상장된다.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닐(Coinneal)이 이더리움 볼트(ETHV)를 8월 2일에 상장 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코인닐은 중국에 본사를 둔 거래소로 일본, 한국, 베트남, 러시아 등에 지사를 두고 글로벌 영업을 하는 거래소로 코인마켓캡 기준으로 20위권의 거래량을 유지하는 거래소다. 이더리움 볼트는 현재 블록체인에서 핫한 아이템인 디파이(De-Fi)를 위한 커스터마이징을 지원하는 인프라 프로젝트다. 스마트 컨트랙트를 기반으로 금융 활동에 대한 인프라 코어를 제공하고 어플리케이션 등에 적용될 자동화 서비스 개발을 지원하는 프로젝트다. 초기 시작하는 프로젝트로서 현재 디파이 기능 중 스테이킹(Staking) 기능을 우선 도입해, 낮은 진입 비용을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으며, 플랫폼에 예치하는 것으로 이더리움과 비트코인 볼트(Bitcoin Vault)를 보상으로 제공한다. 코인닐이 이더리움 볼트를 상장하는 것은 현재 가장 핫한 아이템인 디파이 분야를 따라갈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생태계 구축을 지원해 더 많은 유저를 유치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크립토 글로브(Crypto Globe)에 따르면, 라쿠텐 월렛이 포인트를 암호자산으로 교환하는 서비스에 이어 암호자산 마진 거래를 지원한다. 런칭 예정은 2020년 봄이다. 일본의 인터넷 종합 서비스 기업인 라쿠텐(Rakuten) 그룹은 라쿠텐 이치바와 라쿠텐 증권사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아마존 재팬과 함께 일본 내 1위를 다투는 이커머스(e-Commerce) 기업이다. 2019년 8월에 처음 런칭된 라쿠텐 월렛은 라쿠텐 은행을 중심으로 고객을 확보해 암호자산 보관 및 거래 기능을 제공 중이다. 2019년 12월에는 라쿠텐 그룹에서 사용하는 라쿠텐 슈퍼 포인트(Rakuten Super Point)를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비트코인 캐시(BCH)의 3종의 암호자산으로 교환하는 서비스를 라쿠텐 월렛에 출시했다. 이번에는 라쿠텐 월렛에서 보유한 암호자산의 마진 거래 기능을 제공할 계획이다. 라쿠텐 월렛은 현재 마진 거래를 이용하려는 고객들은 신청서 작성과 마진 거래 계좌 등록을 받는다. 1월에 일본 금융청(FSA)에서 마진 거래 레버리지를 4배에서 2배로 제한함에 따라 라쿠텐 우러렛에서 제공하는 마진 거래 역시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0에서 블록체인을 대표한 프로젝트가 선보였다. 바로 스테이블 코인 다이(DAI)와 그 담보를 통해 발행되는 메이커(MKR)를 발행한 메이커다오(MakerDAO)다. 메이커다오(MakerDAO)는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하는 스테이블 코인 다이와 유동성 공급 및 커뮤니티 투표를 위해 사용되는 메이커(Maker) 토큰을 개발한 디파이(De-Fi) 글로벌 기업이다. CES 2020에 부스를 설치한 메이커다오는 다이가 실제 페이먼트의 수단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이벤트를 방문자들에게 진행한다. 다른 부스들은 주로 방문객들의 SNS 이벤트를 시행하는 반면, 메이커다오 측은 다이를 사용해 결제하고 선물을 사는 방식으로 결제를 체험하도록 유도한다. 부스에 펀디엑스(PundiX) 포스(POS) 기기를 비치하고 방문자들이 포스기에 사용 가능한 실물 다이 카드를 지급한다. 지급된 카드에는 $5에 해당하는 5 DAI가 들어가있고, 포스기에 지불할 금액을 결정한 뒤, 포스기와 카드를 접촉하면 결제가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지급이 완료되면 메이커다오 측이 준비한 상품의 구매가 완료된다. 메이커다오의 유럽 커뮤니티를 담당하는 렌카 후다코바(Len
독일의 저가 항공사 '한 에어(Hahn Air)'가 블록체인 스타트업 와인딩 트리(Winding Tree)의 솔루션을 도입하고 블록체인에서 정보를 기록한 항공권을 발권하고, 실제 승객이 여행을 마쳤다. 와인딩 트리의 솔루션은 이더리움(Ethereum)을 사용해 개발한 솔루션이다. 항공권 결제는 기존의 현금과 카드의 사용도 가능하지만 이더리움(ETH)이나 와인딩 트리가 발행한 LIF 토큰을 통해서도 결제를 지원한다. 이 솔루션은 기존 티켓 발권에서 발생하는 수수료를 낮추고 이용객들도 숙박과 항공사를 연계하는 서비스의 편의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받고 있다. 한 에어는 독일 뒤셀도르프 공항을 허브 공항으로 삼고 있는 저가항공사(LCC)로 1994년에 설립됐다. 설립 당시 미국과 NATO가 군용공항으로 사용하다가 1993년 민간공항으로 개항한 공항(HHN)을 사용하면서 이름을 따와서 지어졌다. 한 에어의 수익사업은 운송업이 아닌 IATA의 멤버로서 제작해 운영중인글로벌 디스트리뷰션 시스템(Global Distribution System)을 통해 구축된 전세계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한 발권 솔루션에서 발생하고 있다. 한 에어 세일즈 담당자인 프레데릭 노보트니(Fre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