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 첨단복합항공단지에 저비용항공사(LCC) 최초로 항공기 정비시설이 들어선다. 지난 1월 6일 인천국제공항공사(이하 ‘인천공항’)는 지난 12월 30일 티웨이항공(T-Way)과 이와 같은 내용의 ‘첨단복합항공단지 신규 항공기 정비시설 투자유치에 관한 실시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티웨이항공은 E급(약 350석 규모) 항공기 1대 및 C급(약 190석 규모) 항공기 4대를 동시에 정비 가능한 2베이(Bay) 규모 격납고를 구축할 계획이다. 정비시설은 2028년 초 운영을 목표로 1,500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2025년 올해 본설계를 진행한 뒤 2026년 상반기 착공해 2027년 격납고를 준공하고 이듬해인 2028년부터 본격적인 운영에 나선다. 준공 후 최초 3년간은 티웨이항공이 보유한 항공기 위주로 정비를 수행하고, 4년 차부터 국내 항공사 우선 외주정비를 시행할 계획이다. 이로써 그간 주로 해외 항공기 MRO(유지・보수・정비) 기업에 위탁했던 티웨이항공은 자체 정비시설을 운영하면서 연간 항공기 70대를 정비할 수 있게 된다. 정비 비용은 연간 129억 원가량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나아가 다른 국내 LCC의 정비도 수주가 가능
지난 10월 11일 하나은행은 인천국제공항공사와 안면인식 출국 서비스인 ‘스마트패스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스마트패스는 안면과 여권 정보를 사전에 등록하면 인천국제공항 출국장과 탑승구에서 여권과 탑승권을 일일이 제출하지 않아도 안면인식만으로 신속하게 심사대를 통과할 수 있어, 번거로운 출국절차를 혁신적으로 간소화한 서비스다. 하나은행은 이번 협약으로 대표 모바일앱인 ‘하나원큐’에서 인천국제공항 스마트패스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하나원큐 이용 손님의 공항 출입국 절차를 간소화하고 대기시간을 줄여 공항 이용 편의성을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나은행은 인천국제공항이 개항한 2001년 이래 23년간 인천국제공항과 동행해 온 유일한 은행으로, 제1여객터미널에는 지점을 제2여객터미널에는 출장소를 운영하고 있다. 인천국제공항지점에서는 손님들이 쉽고 빠르게 업무를 볼 수 있도록 무인환전기와 STM(Smart Teller Machine, 지능형 자동화 기기)을 설치하였으며, 제2여객터미널 출장소에 대한항공 승무원을 위한 전용 창구를 마련하는 등 공항 이용 손님과 공항 종사자에게 최상의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
지난 5월 22일 신한은행은 인천국제공항공사와 인천국제공항 스마트패스 금융권 연계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지난 2023년 7월 ‘스마트패스’는 인천국제공항에 도입한 얼굴인증 시스템으로 여권, 안면정보, 탑승권 등을 사전 등록하면 공항 출국장, 탑승게이트 등에서의 출국 절차를 얼굴 인증만으로 통과할 수 있는 혁신적인 서비스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신한은행은 ‘신한 SOL뱅크’ 앱과 ‘스마트패스’를 연계하는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인천국제공항공사와 협업하고 고객들이 ‘스마트패스’를 간편하게 이용 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신한은행은 지난 2021년부터 얼굴인증 솔루션을 도입해 ‘신한 SOL뱅크’ 앱과 영업점 창구에서 활용하고 있다. 얼굴인증 솔루션은 로그인 뿐만 아니라 출금업무에도 적용되면서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향후 ‘신한 SOL뱅크’ 이용 고객들이 더 쉽고 편안하게 스마트패스를 등록할 수 있어 여행 편의성이 크게 개선될 것이다.”라며 “앞으로도 인천국제공항공사와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고객들에게 더욱 혁신적이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얼굴인증서비스도 계속 안정적으로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3월 6일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지능형 통합보안시스템을 개발하는 사내벤처 1기 ‘씨큐어포트’를 독립법인으로 분사한다고 밝혔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사내 혁신문화 확산 및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2018년부터 사내벤처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사내벤처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위해 독립적인 업무환경을 제공하고, 1억 원의 예산집행 권한을 부여한다. 사업이 성공해 창업 시 창업휴직이 가능하며 사업이 실패하더라도 3년 이내에 다시 회사에 복귀할 수 있다. 이번에 분사하게 된 사내벤처 씨큐어포트는 2019년부터 약 4년간 지능형 통합보안시스템을 개발한 팀이다. 해당 시스템은 보안구역의 출입 인원에 대한 보안검색 수준을 모니터링하고 보안 위협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출입보안 강화 솔루션이다. 2023년 2월 내‧외부 전문가가 참여한 최종 심사에서 혁신성과 효용성을 인정받아 최종적으로 분사가 결정됐다. 씨큐어포트는 “분사 후 내부자 보안 위협에 대응이 필요한 국내외 공항 보안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며 “향후 인공지능(AI) 기반 지능형 통합 보안시스템을 추가 개발해 국제 보안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인천국제공항공사(IIAC, 사장 김경욱)는 인도네시아 바탐 경제자유구역청(BIFZA)과 바탐공항 개발 및 운영사업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21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바탐 래디슨 컨벤션센터에서 체결된 이번 계약으로 인천국제공항공사가 따낸 역대 최대로 향후 25년 간 5억3000만달러(약 6293억 7500만 원)에 달하는 수주 규모이다. 인니 바탐공항사업은 사업기간이 25년에 이르고 사업기간 동안 예상되는 누적 매출액(2022~2047년)은 약 6조 4000억 원 규모로 추정된다. 체결식에는 인천국제공항공사 김경욱 사장, 인니 경제조정부 Airlangga Hartarto(아이를랑가 하르타르토) 장관, 바탐 경제자유구역청(BIFZA) Muhammad Rudi(무함마드 루디) 청장, 인니 제1공항공사(AP1) Faik Fahmi(파익 파미) 사장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하였다. 공사는 스위스 취리히공항, 프랑스 EGIS, 인도 GMR 등 세계 유수의 공항 운영사들과의 치열한 경쟁 끝에 지난 3월 19일 발주처인 바탐경제자유구역청으로부터 본 사업의 최종 낙찰자로 선정되었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바탐공항 공사는 내년 6월부터 운영과 유지·보수를 맡는 동시에 기존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구본환)는 10일 오후 공사 회의실에서 인도네시아 제1공항공사(PT Angkasa Pura 1, 이하 “AP1”)와 '인천공항-발리공항 간 코로나19 위기대응 컨설팅 사업 계약'을 체결하고 앞으로 인니 발리공항에 인천공항의 코로나19 위기극복 노하우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체결식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양사를 화상으로 연결한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인천국제공항공사 구본환 사장, AP1 파익 파미(Faik Fahmi) 사장 등 양사 주요 임직원 1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계약 체결식을 바탕으로 공사는 인니 발리공항에 코로나19 위기대응 컨설팅을 제공함으로써 'K-공항방역'수출에 본격 시동을 걸게 되었다. 컨설팅의 주요 과업은 스마트 방역, 비상운영체제 선제가동, 체계적 위생 강화 등으로, 인천공항의 방역 노하우를 바탕으로 발리공항 현지 운영환경을 분석해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할 계획이다. 공사가 컨설팅을 제공하는 발리 응우라라이공항은 세계적 관광지인 발리의 관문공항이지만 코로나19 확산으로 수개월 간 국제선 운영이 대부분 마비된 상태다. 발리공항당국은 연말부터 외국인 관광객을 다시 맞이하겠다는 목표 하에 전격 재정비를 진
인천시 공공기관들이 인천 스타트업 파크 조성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지난 4일 인천시청 2칭 대접견실에서 인천광역시, 인천경제청, 인천국제항공공사, 인천테크노파크 등 4개 기관이 스타트업 발굴과 육성을 위한 상호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인천시 박남춘 시장,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이원재 청장, 인천국제공항공사 구본환 사장, 인천테크노파크 서병조 원장 등이 업무협약식에 참석했다. 업무협약은 인천경제자유구역(IFEZ)과 인천공항 내 실증자원 공유 및 적극 지원에 대한 상호협력을 추진하고 스타트어 발굴 및 육성을 위한 실행 계획 수립 및 예산 지원, 그리고 공동 사업 발굴과 상호 교류를 위한 실무 운영위원회에 대한 내용이 포함됐다. 업무협약을 통해 인천 스타트업 파크 조성사업과 3K(K투어리즘, K컬처, K푸드) 스타트업 발굴 육성 사업이 연계할 수 있게 됐다. 업무협약의 목적은 플랫폼, 인프라, 데이터, 전문가 등 실증자원 지원을 이끌어내기 위해 인천 스타트업 생태계 구축 당사자들간의 협력을 이끌어내는 것이다. 인천 스타트업 파크에 입주한 기업들은 공항 실증 자원을 통해 스타트업 제품 및 서비스를 실증하고 이를 통해 조기 사용화까지 가능한 시너지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
공항에서 기업인(Commercially Important Person, CIP) 우대 서비스가 축소 되고 있다. 지난 2008년 이명박 정부가 수출 우수 기업을 배려한다는 취지로 도입된 ‘공항 기업인 우대 서비스’가 대폭 축소되는 중이다. 인천국제공항은 7월부터 기업인 전용 CIP 라운지 서비스를 중단했다. 기업인 전용 CIP 라운지 서비스에서는 ‘체크인’과 ‘수하물 위탁서비스’, ‘식음료 서비스’ 등을 제공해 왔다. 지난 2015년 7월 인천국제공항은 기업인에 대한 귀빈 주차장 제공을 중단하면서 기업인 서비스를 점차적으로 중단하면서 남은 우대 서비스는 전용 출국 우대 심사대인 패스트트랙(fast track)밖에 없다. 인천공항의 조치를 따라 국내 공항에서도 기업인 우대 서비스를 줄인다. 한국공항공사는 2019년 1월부터 기업인 우대 서비스를 대폭 축소 시행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이에 따라 국내 공항 귀빈실의 기업인 무료 개방과 귀빈 주차장 제공이 중단된다. 공항 기업인 우대 서비스는 2008년 4월 정부와 인천공항이 기업 활동을 지원한다는 취지로 시작해 수출 및 고용 우수 기업인으로 인천공항공사가 경제단체의 추천을 받아 선정해왔다. 현재까지 4기까지 기업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