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4일 중국・아프리카 협력포럼(FOCAC)이 중국 베이징에서 개막했다. 중국과 아프리카 50여 개국은 9월 6일까지 사흘 동안 투자와 경제협력 등을 논의한다. 중국은 이번 포럼에서 서방과의 전략경쟁을 염두에 두고 아프리카 국가들을 괴롭히는 ‘부채의 덫’ 문제 해결에 나서겠다고 시사했다. 시진핑 주석은 지난 9월 2일부터 이날까지 총 15개국 지도자와 연쇄 양자회담을 가졌다. 2000년부터 시작된 중국・아프리카 협력포럼은 3년에 한 번씩 중국과 아프리카 국가들에서 번갈아 열렸으며 2024년에 8회 포럼이 개최된다.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이번 포럼을 위해 아프리카 53개국 외교장관・경제장관급 인사와 아프리카연합(AU) 등 지역 국제기구 대표를 포함해 300여명이 방문했다. 중국은 이번 포럼이 중국과 아프리카 관계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각별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 등으로 지역에서 서방 패권이 흔들리고 중국・인도 등의 영향력이 커지며 다극적 세계질서가 도래할 것이라는 진단이 나오는 상황에서 열린 첫 포럼이기 때문이다.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은 전날인 9월 3일 무사 파키 마하맛 아프리카연합(AU) 집행위
중국 최초 말레이시아행 직행 철도 복합열차가 13일만에 차이나반도 운송의 새 역사를 썼다. 싱가포르 관영매체 CNA에 따르면 지난 7월 초 각각의 목적지인 말레이시아의 셀랑고르와 중국의 충칭에 도착하면서 양방향으로 첫 운행을 시작했다. 전자제품과 농산물이 첫 화물에 포함되었다. 아세안익스프레스(ASEANEXPRESS)로 불리는 이 철도는 해상(수상) 운송보다 40% 이상 짧은 시간에 운송을 해냈다. 중국-라오스 철도를 통한 인도차이나 반도 운송의 혁명으로 불리고 있다. 철도는 중국 충칭에서 출발해 중국-라오스 철도를 통해 비엔티안에 도착한다. 여기사 궤간변경을 거친 다음 말레이시아 파당 베사르까지 이동한다. 현재 중국 내 25개 성, 자치구, 시가 동남아시아와 연결되는 국경간 화물열차를 개통했다. 역내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RCEP)이 진전하면서 중국-라오스-태국-말레이시아 교역을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10월 중국-라오스-태국 철도 복합운송열차는 성공적인 운행을 마쳤다. 이 복합운송은 중국에서 말레이시아 및 싱가포르로 가는 철도운송의 잠재력을 확인한 바 있다. 이 같은 말레이시아행 직행 철도 복합열차의 등장은 윈난성 쿤밍(昆明)에서 라오스 수도
“베트남이 미국의 파트너가 되길 원한다” “동남아는 중국 파트너 국가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8일(미국시간) 정치자금 모금행사에서 “베트남 조만간 방문하겠다”고 밝혔다.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곧(shortly)’이라는 표현으로” 베트남 방문계획을 밝혔다. 구체적인 일정은 공개하지 않았지만 머지않은 방문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바이든이 내년 대선을 앞두고 중국 견제를 위한 인도-태평양 전략을 공고하게 다지기 위한 행보로 분석했다. 미국은 2007년 베트남과와 국교를 정상화했다. 이후 미국은 베트남을 향해 우호 손짓을 계속해왔다. 특히 미국-중국 갈등 이후 더욱 빨라지고 있다. 미국은 지난해 11월 베트남을 환율관찰대상국에서 제외했으며, 올해 4월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이 방문했다. 지난달에는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이 베트남을 찾았다. 그는 “미국은 베트남을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 발전에 있어 주요 파트너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미국은 베트남의 최대 수출 시장을 담당하는 긴밀한 경제 파트너"라고도 표현했다. 바이든은 지난 9일 반도체와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양자정보기술, 특정 인공지능 시스템 등 3개 분야에
방글라데시에 남아시아 최초 수중 터널 부분 완공을 통해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구상이 건재함을 알렸다. 중국교통건설유한공사(中国交通建设股份有限公司)가 수주해 완공한 방글라뎃디 카나프리 강바닥 수중터널 프로젝트 남선 터미널이 완공되면서 중국은 국제 인프라 프로젝트를 계속 진행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중국교통건설주식회사(China Communications Construction Company Limited, CCCC)가 시공한 카나프리 강바닥 터널의 길이는 9.3㎞이다. 카나프리 강바닥 터널 프로젝트가 현지 교통 개선, 아시아 도로망 개선, 방글라데시와 주변국 간의 상호 연결 촉진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현지에선 기대하고 있다. 중국 외교부 자오리젠(趙立说) 대변인은 “중국 측이 카나프리 강바닥 터널 남선 터널의 완공을 축하했다.”고 말하며 “카나프리 강바닥 터널 프로젝트는 방글라데‧중국‧인도‧미얀마 경제회랑의 중요한 일환”이라며 “이 프로젝트의 남선 터널 완공은 중국과 주변국 간 '일대일로' 건설의 또 다른 중요한 성과”라고 말했다.
중국은 미얀마의 중요한 파트너다. 투자의 원천이자 외교적 보호 및 소수민족과 분쟁에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나라다. 미얀마는 중국에 대해 양가감정(兩價感情)을 갖고 있다. 정반대되는 두 감정을 동시에 갖고 있다는 것이다. 미얀마는 중국에 대한 불신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다른 국가들과 전략적인 외교 관계를 만들어 가면서 중국의 영향력에 대한 균형을 맞춰 나가고 있다. 특히 미얀마가 2016~2017년 ‘로힝야 분쟁’으로 서방 국가 관계가 악화되면서 추가 중국으로 기울어져 더 의존을 하게 되었다. 중국 정부에서도 이런 상황을 활용하여 대규모 프로젝트와 소규모 민간 투자를 적극적으로 미얀마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올초 1월 17~18일 중국 시진핑 주석의 미얀마 방문은 거의 20년만의 중국 국가 지도자의 방문이었다. 협의되었던 많은 프로젝트들은 코로나19로 인해 보류된 상황이지만 최근 주미얀마 중국대사관에서 적극적으로 사업 추진을 위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 미얀마는 중국 ‘일대일로’ 요충지:해당 주민들과는 끊임없는 분쟁 중국에게 있어서 미얀마는 ‘일대일로(一帶一路, One belt, One road)’ 사업에서 지리적 전략적으로 중요한 거점을 차지하고 있
미얀마 군부가 다시 한번 중국의 세계전략인 ‘일대일로(一帶一路, 육상·해상 실크로드)’에 대해서 적극적이고 견고한 지지의사를 밝혔다. 아웅산 수찌의 NLD 행정부 역시도 중국과의 관계를 중시하기는 하지만 미국을 비롯한 서방세계와의 관계를 고려해 줄타기 외교를 하는 것과는 뚜렷한 차별성을 보이는 행보로 평가할 만하다. 7월 16일 미얀마 주재 중국대사관은 이날 미얀마의 행정수도 넷피도에서 열린 천하이(陳海) 중국대사와 민아웅흘라잉 총사령관과의 회담 사진을 공개하고 회담 내용을 일부 공개했다. 미얀마 군부는 중국의 야심찬 인프라 건설계획인 '일대일로'와 더불어 그 세부계획 중의 하나인 '중국-미얀마 경제회랑계획(CMEC)'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협력할 뜻임을 내비쳤다. 중국-미얀마 경제회랑계획은 2018년 두 나라 간에 체결된 협약이다. 중국의 윈난성에서 시작해 미얀마 북부의 최대도시 만달레이와 경제중심인 양곤을 거쳐 벵갈만의 짜욱퓨 특별경제지구(SEZ)에 이르는 1700km 구간의 송유관 및 도로 항만 등 인프라 건설계획을 뜻한다. 중국은 인도양 진출을 위해서 미얀마에 오랜 기간 공을 들이고 일대일로 참여를 독려해 왔다. 특히 올해 1월에는 시진핑 중국국가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