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여전히 1위, 2위는 무비자 선언 중국이 치고 올라왔네” 한국교통연구원의 연간 항공통계에 따르면, 2024년 한국 항공여객 수는 총 8,930만4,439명으로 전년대비 30.1% 증가했다. 이 중 인천공항 여객수가 약 7,067만명으로 전체의 79%를 차지했다. 2024년 인천공항 연간 탑승객수를 보면 전년대비 26.7% 증가한 7,066만9,108명에 달했다. 2019년에 비교해보면 100% 회복한 수치다. 그렇다면 인천공항의 2024년 연간 인기 톱5 목적지는 어딜까? 바로 일본, 중국, 베트남, 미국, 태국이었다. 엔저과 지리적인 이점으로 일본이 여전히 1위를 차지했다. 2023년 4위였던 중국은 지난해 11월 중국정부의 무비자 입국 허용 이후 추격자로 변신했다. 2023년과 비교해 2배 수준(+92.7%) 가까이 성장했다. 베트남은 중국에 밀리며 3위로 주저앉았다. 미국은 장거리 중 유일하게 인천공항 인기 목적지 톱5에 이름을 올렸다. 2024년을 3위로 마무리한 베트남은 여객수는 819만3,444명으로 2023년 대비 19.2%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여전히 높은 인기 관광지인 다낭이 탑승률 89%, 여객수 211만 2961만명이다. 전년대비
호텔스닷컴은 최근 ‘언팩 ‘25’ 연례 보고서를 통해 ‘'올 인클루시브(all-inclusive) 여행’을 대표 여행 트렌드로 발표했다. 올 인클루시브는 여행객이 식사, 엔터테인먼트, 현지의 독특한 액티비티 등 여행의 모든 것을 한 곳에서 경험할 수 있는 포괄적 숙박 시설을 의미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 응답자 중 절반 이상이 내년에 올 인클루시브 호텔 예약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텔스닷컴 플랫폼에서 검색량 경우 일본 벳푸, 베트남 나트랑, 호주 시드니 검색량이 전년 겨울 시즌 대비 두 자릿수 성장률 기록했다. 이에 발맞춰 호텔스닷컴은 올 겨울 한국 여행객들이 완벽한 그곳을 찾을 수 있도록 일본 벳푸, 베트남 나트랑, 호주 시드니의 올 인클루시브 리조트를 소개한다. 한 해를 마무리하는 이들이 겨울 휴가 계획을 짜볼 기회가 될 것 같다. ■ 베트남 중남부 해안지역 칸호아성 나트랑 6km 해안선 '스노클링' 호텔스닷컴은 올 인클루시브 호텔의 인기가 여행 계획에 대한 부담 없이 온전히 휴가를 즐기고 싶은 여행객의 진정한 욕구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언팩 '25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들은 식사 장소를 따로 찾을 필요가 없고, 여행 장소
해외 골프여행 전문 여행사 바로여행(대표 허이선)이 올 가을 오키나와 골프 투어 참가자를 모집한다고 9일 밝혔다. 이번 투어는 10월부터 11월까지 매주 출발 예정이며, 오키나와의 최고 골프장들을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한다. 허이선 대표는 "10월과 11월은 오키나와를 방문하기에 최적의 시기"라며, "쾌적한 날씨와 합리적인 가격, 그리고 아름다운 자연을 모두 즐길 수 있는 골든타임"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투어의 가장 큰 특징은 다양한 골프장과 숙박 옵션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참가자들은 사잔링크스CC, 키세CC, 그랜드PGM, 팜힐즈, 카누차, 지앗타, 오션캐슬, 오키나와CC 등 오키나와의 대표적인 골프 코스에서 라운드를 즐길 수 있다. 또한, 개인의 취향에 따라 시내에 위치한 호텔에 숙박하며 2~3개의 골프장을 선택하여 다채로운 경험을 할 수 있다. 숙박 옵션도 다양하다. 중부 지역의 고급 리조트나 남부 지역의 도심형 4성급 및 5성급 호텔 중 선택 가능하다. 특히 안사리조트, 문비치리조트와 로얄CC의 조합은 골프 애호가들에게 최고의 선택지로 추천한다. 골프장에서 가까운 숙소와 함께, 오키나와에서 보기드문 36홀의 골프코스를 즐길 수 있다. 바로
올해 항공편으로 한국인이 가장 찾은 나라는 어딜까? 법무부의 외국인 정책 통계월보에 따르면, 1~7월 1위 일본 519만9,834명, 2위 베트남 259만830명에 이어 중국이 119만9,300명으로 3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한국인 방문 상위 항공 여객수만으로도 일본(696만명), 베트남(360만명), 태국(166만명), 미국(160만명), 필리핀(145만명)이었다. 법무부의 ‘도착지별 내국인 출국자수’는 항공 여객에 한해 최초의 도착지를 기준으로 산출된다. 법무부는 2022년 9월부터 '출입국 외국인 정책 통계월보'를 통해 '도착지별 내국인 출국자 현황'을 발표하고 있다.
이른 추석에 연휴를 즐기려는 늦은여행(늦캉스)에 여행업계가 술렁이고 있다. 이번 추석연휴는 단 이틀의 연차로 최장 9일의 긴 연휴를 보낼 수 있는 늦캉스의 황금찬스다. 물가 상승과 폭염으로 여행 수요가 주춤해 휴가를 미룬 이들과 합세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올해 추석 연휴는 주말인 9월 14~18일로 5일인데 19일과 20일 이틀 연차를 내면 최장 9일간 휴가를 즐길 수 있다. 이같은 들뜬 분위기를 반영한 것이 18일 네이버 검색 트렌드다. 최근 한 달간(7월 1일~8월 1일) 추석 여행 관련 키워드 검색량은 전년 대비 29% 늘었다. 여행업계 분석 결과도 유사했다. 호텔스닷컴이 밝힌 추석 기간 해외여행 검색량도 지난해 대비 40% 늘었다. 역시 가장 많이 검색한 해외여행지는 일본이었다. 검색량 기준 상위 10곳 중 6곳이 일본 주요 도시다. 1위는 도쿄로 전년 대비 85% 늘었다. 다음으로 오사카, 후쿠오카, 구마모토, 발리(인도네시아), 오키나와, 홋카이도, 방콕(태국), 다낭(베트남), 나트랑(베트남) 순이었다. 여행업계들도 “추석에도 근거리 여행지 수요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프로모션도 일본 동남아 위주로 준비했다. 추석 연휴 해외 패키지여행 예약
“인천공항 국제선 이용 여객은 코로나19 이전 시기로 돌아갔다.” 인천공항공사는 올해 1~6월 국제선 기준 여객 실적이 3404만 8517명을 기록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상반기(3525만8765명) 대비 96.6%의 회복률이다. 여객 실적은 동남아(전체 30.7%), 일본(25.1%), 중국(13.6%), 미주(9.1%) 순이었다. 올해 상반기 인천공항 국제선 이용 여객은 3400만명을 기록했다. 국제선 운항은 코로나19 이전 시기를 뛰어넘었고, 환승객은 97% 회복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상반기(2440만1190명)보다 39.5% 늘었다. 지난 2월 25일에는 코로나19 이후 하루 최다 여객인 21만3351명을 기록했다. 동계성수기 및 유학생 입국 시기가 겹친 영향으로 분석된다. 공사는 올해 상반기 여객 증가가 “동남아 및 일본 단거리 노선 선호가 지속되고, 중국노선 여객이 회복된 데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역별 여객실적을 보면 동남아(1046만8345명·전체 30.7%), 일본(854만3501명·25.1%), 중국(462만8310명·13.6%), 미주(308만4670명·9.1%), 동북아(304만9724명·9.0%)
한국인의 올 여름 해외여행 최고 선호지역은 어딜까? 데이터 컨설팅 기업 ㈜피앰아이가 전국 20~69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올여름 휴가 계획에 대한 조사 결과가 눈길을 끌고 있다. 여름휴가 중 여행 계획이 있는 응답자의 1687명 중 70.8%가 국내 여행을 준비했다. 해외여행 계획이 있는 응답자는 18.6%였다. 국내 여행과 해외여행 둘 다 계획이 있는 응답자는 10.6%로 확인됐다. 국내의 경우 강릉, 속초, 양양 등이 포함된 강원도(31.3%)가 최애 선호지역이었다. 뒤를 이어 제주(18.1%), 부산(9.1%) 순이었다. 해외여행을 계획 중인 응답자가 가장 많이 선택한 국가는 ‘일본(37.3%)’이었다. 엔저현상으로 상대적으로 저렴해진 여행 경비와 가까운 거리의 이점이 작용했다. 주목할 만한 것은 베트남을 포함한 동남아시아가 여름휴가 여행지로 인기가 높다는 것이다. 베트남(13.5%), 태국(7.4%), 싱가포르(3.9%), 중국(3.5%), 필리핀(3.3%) 순으로 나타났다. 한때 ‘경기도 다낭시’라는 별칭을 얻은 다낭의 경우 빌 게이츠, 미국의 억만장자 조지 소로스,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토트넘 홋스퍼 구단주인 영국 억만장자 조 루이스
2013년 이후 11년 만에 일본이 금리 있는 세계에 도달했다. 지난 5월 22일 니혼게이자신문(닛케이)는 ‘장기금리 지표’인 10년물 국채 금리가 전날인 5월 21일보다 0.02%p 상승한 1%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은 지난 3월 19일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기존 -0.1%였던 단기금리를 0.1%p 상향한 0~01.% 수준으로 유도한다고 발표했다. 2016년 2월부터 8년간 유지한 ‘마이너스 금리’를 해제했고 2007년 2월 이후 17년 만에 금리를 인상했다. 2016년 9월부터 금융완화 정책을 추진해온 일본은행은 ‘수익률 곡선 제어’(YCC)도 폐지했다. 수익률 곡선 제어(YCC)는 중앙은행에서 금리 변동 폭을 설정해 일정한 범위 안에 가두는 국채 대량 매입 정책이다. 일본은행은 10년물 국채 금리를 0% 정도로 유도했던 기존의 방침을 YCC 폐지로 상한선 없이 변동을 용인하는 방향으로 선회했다. 일본은행의 통화정책 전환은 경기침체를 동반한 물가하락 상황인 ‘디플레이션’을 벗어나 금융완화 기조를 끝낸 조치로 일본은행은 지난 4월 26일 금융정책회의에서 단기금리를 동결하는 현행 금융저책을 유지했다. 일본 금융정책 추가 조정 가능성이 거론되
“이것은 ‘신태용 매직’이다.” 신태용 감독(55)의 인도네시아 A대표팀에서 베트남 상대 첫 승리했다. 1-0으로 이겼다. 남은 경기는 일본전, 24일 치러지는 이 경기는 조별리그서 16강 진출을 좌우하는 최종경기다. 인도네시아 축구대표팀을 이끌고 있는 신태용 감독은 지난 15일 2023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 1차전에서 이라크에 1-3로 패했다. 하지만 19일 3일만에 열린 2차전에서 동남아패권을 앞두로 다투는 베트남을 1-0으로 이겼다. ‘우승후보’ 일본과 이라크와 베트남과 인도네시아가 속한 D조에서는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이변의 속출이 이어졌다. 우선 이라크는 이번 대회 최강팀으로 불리며 우승후보 1순위 일본을 꺾으며 ‘충격파’를 던졌다. 승점 6점으로 1위에 껑충 뛰어올랐다. 인도네시아는 베트남전 승리로 1승 1패 승점 3점을 기록하며 3위로 올라섰다. 베트남을 순서대로 이긴 일본과 인도네시아는 승점 3점으로 동점이 되었다. 다만 득실차에서 일본이 앞서 2위, 인도네시아가 3위다. 반면 베트남은 일본전에 2-4로 패배 이후 다시 인도네시아에서 패배해 최하위로 떨어졌다. 눈길을 끄는 것은 ‘동남아 패권의 라이벌’ 베트남-인도네시아와 전 베트남 박
“베트남 외국인 직접투자 1위국은 한국, 2위는 싱가포르” 베한타임즈 11월 24일자에 따르면 지난 35년 동안 베트남에 등록된 외국인 직접투자(FDI)는 크게 증가했다. 1988년 당시 불과 200만 달러(약 26억 1,200만 원)였던 베트남의 FDI는 현재 5240억 달러(약 684조 3440억 원)로 급증했다. 지난해 말을 기준으로 베트남에서 진행 중인 FDI 프로젝트는 3만 6000건이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총 투자 금액은 4410억달러(약 575조 9460억 원)로 이 중 57%는 집행이 완료된 것으로 파악됐다. 35년이 지난 현재를 기준으로 한국, 싱가포르, 일본은 베트남 FDI에서 상위 3개 국가에 포함돼 있다. 미국은 베트남 FDI 규모에서 10위 권 안에도 진입하지 못하고 있다. ■ 1988년 첫 유치, 혼다 오토바이-인텔-포스코에 이어 삼성 최대 투자 1988년 베트남은 남부에 소재한 바리아(Ba Ria)-붕따우성(Vung Tau)에서 최초의 FDI 프로젝트를 유치하며 경제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이후 1991년부터 FDI 성장세는 급물살을 타기 시작했다. 대만의 신발 제조기업인 포우첸(PouChen), 펭타이(Feng Tay)를 비롯
올해 태국을 찾은 한국인 관광객은 137만 5,958명으로 국가별 순위 3위에 올랐다. 네이션에 11일자 따르면 “수다완 왕수파키이코솔 관광체육부 장관이 발표한 태국 외국인 관광객은 1월 1일부터 11월 12일까지 태국에 2324명 1338명”이었다. 사무국 경제관광체육부에 따르면, 올해 한국을 방문한 상위 5개 나라와 관광객은 다음과 같다. 1. 말레이시아: 3,824,445 2. 중국: 2,902,462 3.대한민국: 1,375,958 4. 인도: 1,354,712명 5. 러시아: 1,170,203 수다완 왕수파키이코솔 장관은 “태국의 비행 횟수가 늘어나고 추운 겨울 덕분에 다음 주에 더 많은 외국인들이 태국 땅에 착륙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 카자흐스탄, 인도에서 온 관광객들에 대한 비자 수수료 면제와 러시아인들에 대한 비자 연장이 연말을 앞두고 더 많은 관광객들에게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 8월 2일 일본의 니혼게이자(日本經濟)신문은 일본 정부가 아프리카 3국과 전기차 배터리에 필요한 광물의 공급망 구축에 나섰다고 보도했다. 아프리카 3국은 잠비아‧콩코민주공화국‧나미비아로 공동 탐사와 공급망 구축 등이 포함된다. 현재 잠비아 등 3개국에서 에너지‧금속광물자원기구가 활동하고 있지만 중요 광물의 광산개발에 뛰어든 일본 기업은 없다. 일본 에너지금속광물자원기구는 잠비아와 양해각서를 체결해 위성 이미지 분석을 기반으로 광산 지역을 결정하고 원격탐사 기술을 제공해 공동 탐사를 시작할 예정이다. 탐사 광물은 코발트와 구리에 니켈도 새로 포함된다. 광산 투자에는 닛산‧한카‧흥업 등 민간기업도 참석한다. 콩고민주공화국에서는 구리와 리튬 탐사에 확대된다. 중국이 아프리카에 대한 투자를 늘리는 가운데 일본은 수입원 다변화를 통해 경제안보를 강화한다. 일본 에너지금속광물자원기구는 조만간 잠비아와 양해각서를 체결하는 한편 콩고민주공화국, 나미비아와 체결한 양해각서에 대한 사업계획을 구체화할 예정이다. 나미비아는 아연과 구리 매장량이 충분하지만 공급망이 부족해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일본 광산기업과 희토류 등의 공급망 강화를 위한 협력을 맺을 예정이다. 일본은 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