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월 23일 일본 완성차 제조사 혼다와 닛산이 기본합의서를 체결하고 경영통합을 위한 본격적 협의에 들어간다. 2025년 6월까지 합병에 대한 최종 합의를 거쳐 2026년 8월까지 지주회사를 설립해 각사를 브랜드로 두고 도쿄 증권시장에 상장한다는 계획이다. 닛산 산하의 미쓰비시 자동차도 2025년 1월 말까지 지주회사에 합류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지난 2023년 기준 혼다는 398만 대, 닛산은 337만대를 판매해 지주회사가 설립될 경우 2023년 기준 730만대의 자동차를 판매한 현대자동차를 넘어선 완성차 지주사가 탄생하게 된다. 혼다 자동차 미베 토시히로 사장과 닛산 자동차 우치다 마코토 사장, 미쓰비시 가토 다카오 사장은 기자회견에서 합병 절차를 위한 이사회를 설치한다고 밝혔다. 닛산과 혼다는 신설되는 지주회사의 자회사로 편입하기 위해 도쿄 증권시장에서 상장 폐지된다. 신설 지주사의 사장은 혼다가 지명하고 사내이사와 사외아사의 과반 이상도 혼다가 지명하기로 했다. 합병을 위한 위원회 설치와 연구개발과 구매부문・생산부문에서 최적의 체제나 회사 명칭, 소재지 등도 고려대상이다. 글로벌 자동차 브랜드인 ‘혼다 자동차’와 ‘닛산 자동차’가 합병을
테슬라(Tesla)가 2021년 2분기부터 완전자율주행 기능의 정식서비스를 예고했다. 현재 시험 운행 중인 완전자율주행(FSD: Full Self-Driving) 기능을 고가의 옵션 형태로 판매해온 테슬라는 2분기부터 구독 형태의 모델로 변경하면서 월 사용료를 내고 사용하도록 방침을 정했다. 기존에 900만원의 FSD 기능을 옵션으로 사용하는 고객들은 대상이 아니며, 신규 구매자들도 900만원 상당의 옵션을 선택해 구독료 없이 기능을 무제한 사용 가능하다. 완전자율주행 기능의 옵션 가격이 1000만원 상당에 이르면서 차량 가격도 덩달아 올라가는 상황에 처한 테슬라에게 구독 옵션은 정부 지원금을 받거나 초기 구매에서 비용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월간 지속적인 수익 모델을 통해 매출 구조도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구독 서비스는 완전자율주행기능 뿐만 아니라 구매자들을 위한 엔터테이먼트 지원을 통해서 다각화될 전망이다. 한편, 공정거래위원회는 테슬라의 완전자율주행 기능에 대해 허위 및 과장광고에 대해 검토 중이다. 테슬라가 주장하는 완전자율주행 기능이 실제로는 2.5레벨의 주행보조시스템으로 평가받고 있어 무책임한 마케팅이라는 것이 자율주행 전문가들의
‘애플카’로 불리는 애플의 자율주행차 프로젝트의 논의가 중단된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Bloomberg)에 따르면, 애플(Apple)이 기아자동차와 논의해오던 애플카의 위탁 생산에 관련된 논의가 중단됐다. 블룸버그는 애플은 완성차 기업들과 애플카에 대해 논의해 왔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지만, 정확한 기업명은 공개하지 않았으며, 기아차는 그 기업들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일본 니혼게이자신문은 애플 부품 공급사의 관계자를 인용해 일본 내에서도 6개 기업과 협의를 진행중이며, 도요타, 닛산, 혼다, 미쓰비시, 마쯔다, 스바루가 해당 기업이라고 밝혔다. 애플카 프로젝트는 비밀리에 추진해온 프로젝트지만, 최근 수면 위로 부상하면서 여러 소식들이 전해지고 있다. 애플은 이에 공식적인 언급은 피하고 있지만, 기아자동차는 간접적으로 이를 시인하면서 이런 행위가 애플의 심기를 건드렸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한편, 중단된 애플과 기아차의 논의가 재개될 지에 대해서는 미지수로 남았지만, 전 세계 완성차 기업 중 애플이 원하는 사양의 완성차를 위탁 생산이 가능한 기업은 손에 꼽을 정도인지라 재개 가능성은 아직 남은 것으로 보인다. 현대자동차 그룹 내에서도 현대차와 기아차
산업통상자원부가 전기자동차, 수소자동차, 자율주행차의 핵심부품 기술개발과 글로벌 기술강국 도약을 위해 2021년 신규 R&D 과제 지원을 시작한다. 미래차 핵심 기술 확보를 통해 자동차 기업의 지속성장과 기업경쟁력 제고를 위해 5개 사업의 신규 R&D 과제로 총 24개 과제에 279억 원을 투입해 지원한다. 전기자동차의 대중화 시대에 맞춰 소비자 중심의 자생적 시장경쟁력을 갖는 안전하고 편리한 자동차 핵심부품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11개 과제에 134억 원이 투입된다. 전기차와 수소차의 핵심 기술인 에너지 저장 기술, 구동 및 전력변화 기술, 공조 및 열관리 기술, 수소연료전지 기술 분야 등 4개 분야 8개 과제에는 104억 원이 투입된다. 대형 수소 상용차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연료전지 스택 내구성 확보 기술, 수소 전기차용 대형 수소저장용기 성능 향상 및 가격저감 기술, 수소 저장시스템용 고압 대유량 요소 부품 기술, 수소 충전시간 단축 기술에도 집중 지원할 예정이다. 전기차용 배터리의 사용 규모도 급격한 증가가 예상되면서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가 수명이 종료된 후에도 잔존가치를 가지고 있음에 따라 배터리 재사용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중국 스타트업 위라이드(WeRide)가 자율주행 버스 개발을 위해 위퉁 그룹과 손을 잡았다. 중국 자율주행 스타트업인 위라이드(WeRide, 文远知行)는 중국 최대 버스제조업체인 정저우 위퉁그룹(宇通集团)로부터 2억 달러(한화 약 2214억 원)의 자금을 투자받아 자율주행 버스 개발에 협력한다. 이 외에도 자율주행 승용차와 기타 상용차 개발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미 위라이드는 자체 개발한 풀 스텍 소프트웨어‧하드웨어를 탑재한 자율주행 미니버스 ‘미니 로보버스(Mini Robobus)'를 위퉁그룹과 함께 개발한 경험이 있다. 10인승 미니 로보버스는 핸들이 존재하지 않고 최대 속도는 40km를 낼 수 있다. 이번 협력을 통해 양 사는 위라이드가 로보택시(Robotaxi) 서비스를 1년 이상 운영한 데이터와 위퉁 그룹이 제작‧판매하는 위퉁버스(宇通客车)의 제조 노하우를 합쳐 혁신적인 결과물을 내기 위함이다. 위퉁그룹은 다양한 상용차 제품에 위라이드의 자율주행 시스템을 적용해 위라이드는 더 많은 데이터를 축적하고 위라이드는 위퉁그룹이 안정적인 자율주행 자동차를 개발하도록 협력한다. 위퉁 그룹의 한 CEO는 “앞으로 기술 개발, 차량 플랫폼 등 다양한 분야에
중국 최대 검색엔진 기업인 바이두가 전기자동차 시장에 뛰어들 것이란 보도가 나왔다. 로이터 통신 등 외신들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바이두가 전기자동차를 직접 생산하는 것을 검토 중이며, 제조업체들과 협의를 거쳤다고 보도했다. 바이두의 전기차 생산 방식을 아웃소싱 또는 제조기업과의 합자회사 설립 방식으로 알려졌다. 로이터통신은 인용을 통해 지리자동차(吉利汽车) 모기업 저장지리홀딩스(浙江吉利控股), 광저우자동차(广汽集团), 이치자동차(一汽集团) 등 자동차 제조업체와 합자기업 설립에 대한 기초적인 협상을 벌였다고 밝혔다. 한편 해당 보도에 대해 바이두와 이치자동차는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광저우자동차는 바이두와 전략적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고 밝히고 추가 협력은 논의 중이라고 답신했다. 저장지리홀딩스는 해당 사항에 대해 전혀 모르는 일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현재 바이두는 자사의 IT 기술을 활용해 자율주행 영역에서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텐센트, 아마존, 알파벳(구글) 등 글로벌 IT 기업들이 자율주행차 기술에 투자하거나 관련 기업들과 협업하는 중이다. 2013년 자동차 진출한 바이두는 2017년 자회사 바이두 아폴로를 설립했고, 지리자동차, 폭스바겐,
LG유플러스가 에이스랩, 컨트롤웍스와 함께 5G 이동통신 자율주차 기술을 공개 시연했다. LG유플러스(UPlus), 한양대학교 자동차전자제어연구실 에이스랩(Acelab), 자율주행 솔루션 깅버 컨트롤웍스(Controlworks)나 5세대 이동통신 기반의 자율주차 기술을 시연했다. 5G 자율주차는 자동차가 인근의 주차장의 반 지라에 주차하는 일종의 ‘자율 발렛파킹’ 개념으로 통제되지 않은 도로와 공영 주차장에서 5G 자율 주차와 주차 기술은 연계해 선보인 것이다. 2019년 10월 LG유플러스는 차량 무인 원격호출 기술을 선보인 이후 약 1년만에 선보인 자율주행 기술로 차량이 스스로 오고 사람이 승차하면 자율주행을 하고, 혼자서 주차장으로 이동해 주차를 할 수 있는 무인차 자율주행의 시스템을 마련하게 됐다. 이번 시연에는 지난 해 선보인 5G 자율주행차 ‘에이원(AI)’이 모습을 드러내 좀 더 발전된 모습을 보여줬다. 실시간 주차공간 인식 솔루션, 5G 클라우드 관제 서비스 플랫폼이 추가됐고,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연계해 운전자가 차량 조작 위치 파악을 손쉽게 하도록 했다. 공개 시연에서 에이원은 상암 5G 자율주행 시범지구에서 진행됐고 YTN뉴스스퀘어
중국 내 기업들의 자율주행자동차 개발이 가시화되는 가운데 중국 정부의 자율주행차 등급 분류가 2021년 1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기존에는 자율주행자동차 국가분류가 없어 제조사들이 레벨 2.5, 레벨 2.9 등의 임의표현으로 단계를 지정해왔었다. 이에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2020년 3월 ‘자율주행차 등급 분류(汽车驾驶自动化分级)’를 발표했고 2021년부터 시행을 앞두고 있다. 국가표준화관리위원회에서 ‘자율주행차 등급 분류’를 승인해 중국은 자체적인 자율주행 기준 단계를 갖게 됐고, 자율주행차 등급 분류가 시행되면 제조사들은 임의로 자율주행 단계를 정할 수 없게 된다. 현제 국제적인 자율주행 단계 기준은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과 미국자동차공학회(SAE)가 제시한 2가지 기준이 있고, 이 중 SAE가 제출한 기준이 표준 기준으로 인정받고 있다. 자율주행차 등급 분류와 국제 표준 기준은 자율주행 단계를 0~5단계로 구분한다. 국제 기준은 레벨 0을 수동 운동의 단계로 보지만, 중국 기준은 응급 보조 단계로 차선이탈경고 시스템(LDW), 자동긴급제동장치(AEB) 등 안전 보조 장치 기능이 추가된 것을 의미한다. 국제 통용 기준의 레벨 0~2는 자율주행차가
독일 자동차 기업인 폭스바겐이 자율주행차 시장을 목표로 한다. 독일 경제지 비르츠샤프트보케(Wirtschaftswoche)에 따르면, 폭스바겐 헤르베르트 디스(Herbert Diess) CEO는 폭스바겐이 2025년 자율주행차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자율주행은 선행 연구가 필요한 분야로 이를 뒷받침할 통신기술 및 인공지능 기술의 개발이 가속화되면서 자율주행의 기반이 만들어졌다고 폭스바겐은 판단했다. 이에, 2025년까지 자율주행차의 시판을 목표로 투자를 진행할 것을 결정하고 자본 지출 규모를 410억 달러(한화 약 44조 7925억 원)으로 책정하고, 이 중 절반 규모인 205억 달러(한화 약 22조 3965억 원)을 자율주행차와 전기자동차에 사용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관련 기업과의 연계도 강화하고 있다. 우선 폭스바겐은 자회사인 트라튼을 통해 자율주행 트럭 스타트업인 투심플(Tusimple)과 협력하는 중이다. 카-소프트웨어 조직은 헬라 이글라이아 모바일 비전 전방 카메라 소프트웨어 사업 부문을 인수해 이미지 프로세싱 분야의 기술을 확보했다.
후베이성 우한(武汉)에 자율주행 테마파크가 개점했다. 우한시 경제기술개발구 룽링산(龙灵山) 생태공원에 19대의 자율주행 차량으로 이루어진 자율주행 테마파크가 열렸다. 테마는 택시, 이동 매점, 환경 미화, 셔틀 버스 등의 자율주행차량으로 구성됐다. 중국 최초의 자율주행 테마파크인 이 곳은 국가코넥티드카 우한 시범지구가 상업화 운영을 기반으로 구축됐다. 자율주행 테마파크에는 우한 처바이(车百) 지능형 네트워크 연구원이 인프라와 플랫폼 구축을 총괄하고 바이두, 둥펑 자동차(东风汽车), 헤이리온 테크놀로지(海梁科技), 바이두, 딥블루 테크놀로지(深兰科技), 아이드라이버플러스 테크놀로지(智行者), 네오릭스(新石器), 위라이드(文远知行), 싱선테크(行深智能) 등 자율주행 기업이 지원 및 운영에 공동 참여한다. 경제기술개발구는 테마파크의 원활한 운영을 돕기 위해 주변 도로에 5G 기지국 설치와 같은 지원 플랫폼 구축을 담당했다. 테마파크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은 10인승 규모의 관광버스 또는 택시를 타고 5km 길이의 도로 풍경을 감상할 수 있고, 자율주행 환경미화 차량은 공원 도로를 청소하면서 보행자와 안전을 위협하는 차량을 마주하면 급제동 정지를 하거나 피한다. 음료나
글로벌 자동차 기업인 GM이 5년간 30조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를 감행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제네럴 모터스(General Motors, GM)가 테슬라를 제치고 전기자동차 시장의 선두에 서기 위한 대규모 투자를 감행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지난 3월 GM은 전기자동차와 자율주행차 부분에 200억 달러(한화 약 30조 699억 원)의 투자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지만, 실제 투자액은 270억 달러(한화 약 30조 699억 원)으로 약 35%를 더 늘렸다. GM은 투자를 확대하면서 전기차 신종 모델을 30여개 출시 계획도 밝혔다. 지난 3월에 12개보다 18개 더 추가된 것이다. 전기차 판매 계획 역시 2025년까지 100만대로 올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메리 바라 GM 최고경영자(CEO)는 “GM은 오랫동안 자동차 제조 및 판매 분야에 강점이 있는 만큼 테슬라를 따라잡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또 자본구조 변화를 열어두고 있다며 전기차 부문의 분사 가능성도 시사했다.
미국 3대 자동차 기업 중 한아니 포드가 3분기 성과로 4조 원의 순이익을 달성했다. 크라이슬러, GM과 함께 미국 자동차산업 빅3로 손꼽히는 포드(Ford)는 3분기 매출 347억 1000만 달러(한화 약 39조 3264억 원)을 달성했고 순이익은 36억 달러(한화 약 4조 7898억 원)을 달성했다. 이는 주당 65센트(한화 약 736 원)을 기록한 것이고 전년 동기 순이익 4억 달러(한화 약 4532억 원), 주당 11센트(한화 약 124원)과 비교해 크게 개선된 지표임을 알 수 있다. 시장은 포드의 매출을 335억 1000만 달러(한화 약 38조 원), 주당 19센트(한화 약 215 원)으로 예상했다. 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팬데믹이 불러올 충격과 글로벌 수요 둔화 등으로 부진이 예상된 것이었으나, 포드에 새로 부임한 짐 팔리 CEO가 비즈니스 청사진과 성과를 통해서 결과를 내보이고 있다. 짐 팔리 CEO는 2022년에 4세대 자율주행자동차를 출시할 것이라고 선언하고 준중형 SUV인 ‘이스케이프’의 하이브리드 모델을 기반으로 한 자율주행차량을 공개했다. 이스케이프는 포드의 자율주행 기술 개발스타트업 아르고 AI와 개발중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