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월 23일 일본 완성차 제조사 혼다와 닛산이 기본합의서를 체결하고 경영통합을 위한 본격적 협의에 들어간다.
2025년 6월까지 합병에 대한 최종 합의를 거쳐 2026년 8월까지 지주회사를 설립해 각사를 브랜드로 두고 도쿄 증권시장에 상장한다는 계획이다.
닛산 산하의 미쓰비시 자동차도 2025년 1월 말까지 지주회사에 합류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지난 2023년 기준 혼다는 398만 대, 닛산은 337만대를 판매해 지주회사가 설립될 경우 2023년 기준 730만대의 자동차를 판매한 현대자동차를 넘어선 완성차 지주사가 탄생하게 된다.
혼다 자동차 미베 토시히로 사장과 닛산 자동차 우치다 마코토 사장, 미쓰비시 가토 다카오 사장은 기자회견에서 합병 절차를 위한 이사회를 설치한다고 밝혔다.
닛산과 혼다는 신설되는 지주회사의 자회사로 편입하기 위해 도쿄 증권시장에서 상장 폐지된다.
신설 지주사의 사장은 혼다가 지명하고 사내이사와 사외아사의 과반 이상도 혼다가 지명하기로 했다.
합병을 위한 위원회 설치와 연구개발과 구매부문・생산부문에서 최적의 체제나 회사 명칭, 소재지 등도 고려대상이다.
글로벌 자동차 브랜드인 ‘혼다 자동차’와 ‘닛산 자동차’가 합병을 추진하는 이유는 글로벌 자동차 시장이 ‘전기차’와 ‘자율주행차’등으로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투자비용이 기하급수적(幾何級數的)으로 증가한 반면, 매출의 성장세는 둔화하는데, 미국의 테슬라, 중국의 BYD 등 경쟁사 등이 치고 올라오고 있다.
닛산 자동차의 경우 2025회계연도 상반기인 2024년 4월부터 2024년 9월까지 연결결산에서 순이익이 2023년 4월부터 2023년 9월 대비 90% 감소했다.
혼다 자동차는 중국 시장에서 판매 부진이 이어지고 사륜차 판매가 부진하면서 경영 악화가 이어지고 있다.
경영 부진을 극복하기 위해 양사는 합병을 통해 규모의 경제를 구축하고 전기차와 자율주행 부문에서 핵심이 될 소프트웨어를 공동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각지의 생산기지를 공동이용해 생산비도 절감하고 공장가동률을 높여 인건비를 비롯한 고정비 삭감과 부품 및 원자재 등 공동조달로 경쟁력 우위를 확보한다는 계획도 포함됐다.
양사의 브랜드는 유지해 신차 개발도 양사가 각자 주도하는 방침을 유지한다.
혼다 미베 토시히로 사장은 “양사 합병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화학반응이 발생해 시너지 효과는 더욱 커질 것.”이라며 “합병 후 매출은 30조엔 이상, 영업이익은 3조엔으로 세계를 대표하는 리딩 컴퍼니로 탈바꿈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지난 2024년 3월 기준 혼다의 연결 영업이익이 1조 3,819억엔, 닛산은 5687억엔으로 합쳐 2조엔 정도였다는 것을 고려하면 양사 합병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1조엔으로 판단한 것으로 해석된다.
미베 사장은 이어서 “자동차 산업의 지각변동을 생각한다면, 앞으로 자동차산업에서 중요한 것은 하드웨어의 차별화가 아닌 지능화(AI)와 전동화”라고 강조했다.
닛산 우치다 마코토 사장은 “업계 지형이 계속해서 바뀌는 가운데, 규모의 경제는 큰 무기가 된다.”고 강조했다.
문제는 양사의 규모다. 일본 자동차 업계에서 2위와 3위를 확실한 기업적 입지와 양사의 소비시장의 미국과 중국으로 겹친다.
닛산이 경영난을 겪고 있어 일본 정부의 압력을 받아 혼다 자동차가 구원투수로 나선 것이 아니라는 지적에 혼다 자동차 측은 닛산의 구제 목적으로 합병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지난 11월 닛산 자동차는 경영악화에 전 세계적으로 9,000명에 달하는 인력 감축과 생산능력을 20%를 줄이는 구조조정안을 발표했으나, 이번 합병안과 구조조정안은 별개라고 일축했다.
또한, 폭스콘(Foxconn)이 닛산 자동차의 경영에 간섭하려는 시도가 닛산과 혼다의 합병을 가속화한 것이 아니냐는 질문에 양사는 모두 사실이 아니라고 일축했지만 닛산 측은 폭스콘이 매수 제안을 해온다면 이사회에서 진지하게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한편, 양사의 합병이 해외 자동차와 맺고 있는 지분관계과 협력 관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입장을 내놨다.
혼다 자동차는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 닛산 자동차는 프랑스 르노자동차와 협력관계를 맺고 있다.
다만, 자본 제휴관계는 청산되고, 닛산과 르노의 지분 출자 관계가 재조정될 예정이다.